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공원 이용자의 설계개념 인식정도 -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사례로 - = The Cognition of Design Concepts for Urban Parks - The Cases of Seoul Forest, Yeouido Park, and Seonyudo Par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설계개념의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로 공원 이용패턴을 통해 공원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용자들의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울숲공원,...

      본 연구는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설계개념의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로 공원 이용패턴을 통해 공원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용자들의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울숲공원,여의도공원,선유도공원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이용패턴과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술통계분석,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선유도공원은 도시대표공원의 성격, 여의도공원은 근린공원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숲공원은 도시대표공원적인 특성과 근린공원의 특성을 모두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부분 방문빈도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셋째, 각 공원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개념 실현정도는 평균 3.51로 비교적 높은 실현정도를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보다는 기능적 개념의 실현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별로는 선유도공원,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순으로 설계개념 실현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공원 전체에 대한 설계개념 실현정도에 비해서 장소별 세부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설계개념을 알려준 이후에 그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별공간에 대한 설계개념 전달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의 제한성, 계절적 변수, 설계개념의 간접적 조사 등의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설계의도의 전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것은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by park use patterns and the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design concept between designers and park users. The literature stud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by park use patterns and the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design concept between designers and park users. The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were performed to analyze park use patterns and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for Seoul Forest Park, Yeouido Park and Seonyudo Park. Several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used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park use patterns, Seonyudo Park may he qualified as an urban landmark park, while Yeouido Park can he classified as a neighborhood park. Seoul Forest Park bas characteristics of both. Second, the higher frequency of visits generally leads higher preference. Third, the overall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parks shows 3.51 on average, which is comparatively high. The functional concepts are better transmitted to the users compared to abstract concepts. The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each park are evaluated in the higher order of Seonyudo Park, Seoul Forest Park and Yeouido Park. Fourth, the cognition levels of detailed design concepts for each place are lower than the overall design concepts. On the other hand, levels of satisfaction are increased after the design concepts are noticed. It would he necessary make the effort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design concept of each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it covers only three parks in Seoul, and did not consider seasonal variables. Nevertheless, this study may he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cognition of design concepts for urban park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ers and visi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과 조경, "한국의 공원: Park-scape" 도서출판 조경 2006

      2 문창현,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9): 97-118, 2001

      3 서울특별시, "여의도광장의 공원화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1997

      4 김신원, "여의도공원의 이용목적별 만족도 분석" 4 (4): 75-88, 2000

      5 서울특별시, "서울숲 조성 기본 및 실시계획" 2004

      6 정영선, "생태건축의 설계와 실제에 대하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7-191, 2002

      7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1992

      8 서정영, "도시근린공원의 공간구성분석 및 이용자실태에 관한 연구 -녹지 및 잔디공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9-111, 2009

      9 박장근,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형태분석 및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 만석공원을 대상지로" 21 (21): 129-152, 2001

      10 현중영, "도시공원 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 대구시 두류도시공원의 사례" 20 (20): 103-109, 1992

      1 환경과 조경, "한국의 공원: Park-scape" 도서출판 조경 2006

      2 문창현,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9): 97-118, 2001

      3 서울특별시, "여의도광장의 공원화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1997

      4 김신원, "여의도공원의 이용목적별 만족도 분석" 4 (4): 75-88, 2000

      5 서울특별시, "서울숲 조성 기본 및 실시계획" 2004

      6 정영선, "생태건축의 설계와 실제에 대하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7-191, 2002

      7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1992

      8 서정영, "도시근린공원의 공간구성분석 및 이용자실태에 관한 연구 -녹지 및 잔디공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9-111, 2009

      9 박장근,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형태분석 및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 만석공원을 대상지로" 21 (21): 129-152, 2001

      10 현중영, "도시공원 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 대구시 두류도시공원의 사례" 20 (20): 103-109, 1992

      11 김용수,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분석" 17 (17): 17-27, 1989

      12 엄붕훈, "대구시 근린공원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2 : 133-149, 1993

      13 Rapoport, Amos, "The Meaning of the Built Environment" Sage 1982

      14 Krampen, Martin, "Survey on current work in semiology of architecture"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