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상경험 대학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entrality of even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0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

      본 연구는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SRMQ), 외상 사건 목록 질문지,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CES-K),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개정판(IES-R-K),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중심성과 정신화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신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가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6 college students, using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6 college students, using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Trauma Incident Questionnaire, Centrality of Event Scale-Korean Version(CES-K),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Following result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study. First, centrality of ev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ization, and centrality of ev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ntal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rect pathways that affected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ollow up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4
      • 1)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4
      • 2) 외상 후 성장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4
      • 1)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4
      • 2) 외상 후 성장 5
      • 3)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 6
      • 4) 정신화 7
      • (1) 정신화 7
      • (2) 정신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 9
      • 5) 사건중심성 11
      • (1) 사건중심성 11
      • (2)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 12
      • (3) 사건중심성과 정신화 13
      • 3.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14
      • Ⅱ. 연구 방법 16
      • 1. 연구 대상 및 절차 16
      • 2. 측정 도구 17
      • 3. 분석 방법 22
      • Ⅲ. 연구 결과 23
      • 1. 인구 통계학적 특성 23
      • 2. 외상 사건의 실태 24
      • 3.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관계 30
      • 4. 측정 모형 검증 32
      • 5. 구조 모형 검증 35
      • Ⅳ. 논의 40
      • 참고문헌 45
      • 부록 53
      • 영문 초록(ABSTRACT)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