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험성 평가 기법을 이용한 철강 제조업의 유해·위험 관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azard Managements of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Risk Assessment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70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위험성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철강 제조업의 종합적인 유해·위험 관리 방안을 연구하였다. 4M(사람, 기계·설비, 물질·환경 및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앗차사고를 발굴하고 사후관리가 가능�...

      위험성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철강 제조업의 종합적인 유해·위험 관리 방안을 연구하였다. 4M(사람, 기계·설비, 물질·환경 및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앗차사고를 발굴하고 사후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잠재위험 발굴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는 유해·위험 요인의 정량화 단계에서 중요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사고의 사전 예방을 위한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위험성 평가 기법의 활용성을 확장 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무재해 활동에 기여하였다. 또한, 철강 제조업의 플랜트 작업에 대한 조사와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플랜트 작업의 유해·위험을 식별하고 보완할 수 있는 4M 체크 시트를 활용하는 플랜트 작업용 위험성 평가서와 체계적으로 작업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이 기법은 플랜트 작업의 유해·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안전 지침서로써 플랜트 작업의 재해 예방에 기여하였다. 끝으로, 철강 제조업의 유해·위험 구역 출입관리 방안을 연구하였다. 위험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낮음, 보통 그리고 높음 등의 세 가지 유해·위험 구역으로 구분하고 위험 수준에 따라 색상 및 잠금 형태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높은 수준에서는 적색 출입문, 자물쇠형 잠금 형태 및 허가 구역으로 적용하였으며, 비상정지장치, 경광등과 연동되는 인터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아울러 위험 수준 및 주어진 유해·위험 구역의 조건을 고려한 표준화된 출입관리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유해·위험 관리 시스템과 절차는 철강 제조업의 산업재해 예방에 크게 기여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철강 제조업뿐만 아니라 유사업종에서도 시스템적 안전보건 활동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근원적인 재해 예방과 안전보건 관리의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rehensive hazard managements in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were studied using risk assessment techniques. New skills for detecting near miss and potential risks using 4M (Man, Machine, Media and Management) risk assessment method, which can carr...

      Comprehensive hazard managements in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were studied using risk assessment techniques. New skills for detecting near miss and potential risks using 4M (Man, Machine, Media and Management) risk assessment method, which can carry out following up managements, were developed. The skills developed took an effective role in basically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method, as well as in contributing the activity of zero accident. Based on the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n the plant working and open literature reviews, a 4M check-list method, which could detect and control the hazard factors of the plant workplace, and a flow-chart for safety management were also proposed. These techniques definitely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s an effective safety guide line to remove the hazardous conditions in plant workplace. Finally, an access-control of hazard zones in a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was studied. On the basis of risk assessment results, three risk zones with low, middle and high level were categorized. The hazard zones had different color door and locking shape depending on their risk levels. At the high level, red door and key-based locking system and accessed controlled path were employed and interlock system linked with emergency stop and flashing light were also introduced. A standardized procedure of access-control for hazard zones was proposed by considering the risk level and the condition of given hazard zones. The hazard management system and the procedure suggested greatly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for hazardous workshop of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Consequentiall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not only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similar industries as a source of systematic safety and health activit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fundamental accident prevention,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7
      • 제3절 연구 절차 및 방법 = 9
      • 3.1 연구 절차 = 9
      • 제Ⅰ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7
      • 제3절 연구 절차 및 방법 = 9
      • 3.1 연구 절차 = 9
      • 3.2 연구 방법 = 10
      • 제Ⅱ장 이론적 배경 = 12
      • 제1절 철강 제조 사업장의 특성 = 12
      • 1.1 철강 제조 공정의 특성 = 12
      • 1.2 철강 제조 공정의 유해·위험 요인 = 13
      • 제2절 철강 제조 사업장의 안전관리 적용 기법 = 18
      • 제3절 위험성 평가의 개요 = 21
      • 제4절 4M 기법의 개요 = 24
      • 제5절 유해·위험 작업 관리의 필요성 = 25
      • 제Ⅲ장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앗차사고의 효과적 발굴 기법 = 27
      • 제1절 머리말 = 27
      • 제2절 연구 배경 = 31
      • 2.1 선행 연구 고찰 = 31
      • 2.2 이론적 고찰 = 32
      • 제3절 연구 방법 = 34
      • 3.1 연구 대상 = 34
      • 3.2 앗차사고 및 잠재위험 발굴 모델의 개발 = 35
      • 제4절 연구 결과 및 고찰 = 41
      • 제5절 요약 = 47
      • 제Ⅳ장 철강 제조업 플랜트 작업의 유해·위험 저감방안 = 48
      • 제1절 머리말 = 48
      • 제2절 연구 배경 = 51
      • 2.1 선행 연구 고찰 = 51
      • 2.2 위험성 평가의 이론적 고찰 = 52
      • 제3절 연구 방법 = 57
      • 3.1 연구 대상 = 57
      • 3.2 플랜트 작업의 특성 분석 = 58
      • 3.3 플랜트 작업용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개발 = 60
      • 제4절 연구 결과 및 고찰 = 66
      • 제5절 요약 = 69
      • 제Ⅴ장 철강 제조업의 유해·위험 구역 출입관리 방안 = 70
      • 제1절 머리말 = 70
      • 제2절 유해·위험 구역의 개요 및 분석 = 72
      • 2.1 유해·위험 구역의 개요 = 72
      • 2.2 유해·위험 구역 관리 현황 조사 = 72
      • 2.3 유해·위험 구역 관리의 문제점 분석 = 73
      • 제3절 유해·위험 구역 관리 시스템의 개발 = 76
      • 제4절 연구 결과 및 고찰 = 79
      • 4.1 유해·위험 구역의 출입관리 표준 = 79
      • 4.2 유해·위험 구역의 작업 허가 절차 = 81
      • 4.3 유해·위험 구역의 표준화 적용 실태 확인 = 83
      • 5절 요약 = 85
      • 제Ⅵ장 결론 = 86
      • Reference = 88
      • 부록1 잠재위험 발굴 지침 = 98
      • 부록2 유해·위험 구역 관리 실태조사 설문지 = 104
      • Abstract =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