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의 매개효과 검증 = A Study on Influence of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Food 3PL Perceived by Shipper Companies :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4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outbreak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supply chain, and many organizations have com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etwork stabil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amidst the ongoing pa...

      The recent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outbreak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supply chain, and many organizations have com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etwork stabil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amidst the ongoing pandemic. Furthermore, the need for cold chain vaccine-related medicines is becoming increasingly apparent, and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the process of vaccine distribution as well as vaccine development is also becoming critical. Moreover, with increased consumer demand for food safety, the fresh logistics market is seeing a noticeable growth, and the necessity for a cold chain is becoming ever more crucial. Also,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ld chain 3PL grows with the opening of the logistics marke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maximize company performance by reducing logistics expens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llaboration, which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necte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ith corporate performance and on the assumption that logistics service quality is a key variable i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he shipper company.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collaboration a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Second,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indirec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rough collaboration?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related to cold chain 3PL for food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00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in the cold chain 3PL for food industry, and survey data of 26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1 and AMOS21 statistics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hipper company employees.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 difference test was also run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osition-, company size-, and industry-specific general characteristic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key finding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on. Seco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also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collaboration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the 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in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ignify that not only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directly affect corporate quality, but it also promotes collaboration and thereby enhances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reason, promoting collaboration and exploring ways to cooperat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ways that can benefit both parties seem essential i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or be used as fundamental data in verifyi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nd collaboration as key predicting variables of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d by shipper companies to secure a collaboration-centered expertise and to design a win-win process that benefits both the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the rapidly growing onlin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post-COVID-19 era. Therefore, taking into account that collaboration has a substantial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3PL in occasions such as new employee training, OJT, and in-compan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펜데믹(pandemic) 상황의 연속으로 많은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중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펜데믹(pandemic) 상황의 연속으로 많은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중요한 요소로 여기게 되었다. 더불어 COVID-19로 인해 백신 관련 의약품 콜드체인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 되고 있으며 백신의 개발 뿐만 아니라 백신 유통간 발생하는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식품의 안전성 요구 증대에 따라 신선 물류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어 콜드체인의 필요성은 점점 더 부각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물류시장의 개방으로 콜드체인 3PL의 역할이 중요시 되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물류비 절감과 물류 서비스 향상으로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점과 콜드체인 식품 3PL의 기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더 나아가,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를 예견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가정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협업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과 협업은 화주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을 매개로 화주기업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267부의 설문자료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1과 AMOS21 통계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먼저 화주기업 임직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직급별, 기업규모별, 업종별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 간의 협업의 간접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업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이르는 직접경로와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통해 기업성과에 이르는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기업성과의 수준을 높이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주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업을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더 나아가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간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통해서 상호간 협력할 수 있는 상생 방안을 찾아 성과를 향상시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거나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콜드체인 식품 3PL과 연관된 화주기업은 COVID-19 이후 온라인 유통의 급성장에 대비하고 본 연구가 밝힌 협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3PL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화주기업과 WIN-WIN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구조모형에서 협업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입사원 입사시 입문교육, OJT, 회사내 보수교육시 사내 교육을 통해서 3PL과의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재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7
      • 제 1 절 콜드체인의 특성과 물류서비스 7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재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7
      • 제 1 절 콜드체인의 특성과 물류서비스 7
      • 1. 콜드체인의 개념과 특성 7
      • 2. 콜드체인과 식품 10
      • 3. 콜드체인과 3PL 13
      • 제 2 절 물류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 15
      • 1. 물류서비스품질의 개념 15
      • 2. 물류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 16
      • 제 3 절 콜드체인에서의 협업 20
      • 1. 협업의 개념 20
      • 제 4 절 기업성과 22
      • 1. 기업성과의 개념 22
      • 2. 기업성과의 구성요소 22
      • 제 5 절 선행연구 분석 24
      • 1.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 24
      • 2. 물류서비스품질과 협업 25
      • 3. 협업과 기업성과 26
      • 4.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와의 관계 27
      • 제 6 절 본 연구의 차별성 28
      • 제 3 장 연구모형의 설정 및 분석 30
      • 제 1 절 연구방법론 30
      • 1. 구조방정식의 개념 30
      • 2.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평가 31
      • 제 2 절 연구 모형 33
      • 제 3 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항목 34
      • 1. 물류서비스품질 34
      • 2. 협업 36
      • 3. 기업성과 38
      • 제 4 절 측정도구 40
      • 1. 물류서비스품질 40
      • 2. 협업 41
      • 3. 기업성과 41
      • 제 5 절 연구의 대상 및 분석방법 43
      • 1. 연구의 대상 및 자료수집 43
      • 2. 분석방법 43
      • 제 4 장 실증분석 결과 45
      • 제 1 절 표본의 특성 45
      • 제 2 절 기초연구 47
      • 1. 다중공선성 점검 47
      • 2. 상관분석 47
      • 3. 표본 특성별 차이 분석 50
      • 가. 직급별 차이 분석 50
      • 나. 기업 규모별 차이 분석 51
      • 다. 업종별 차이 분석 52
      • 제 3 절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54
      • 1. 적합도 분석 54
      • 2. 타당성 분석 56
      • 제 4 절 구조모형 분석 58
      • 1. 연구모형 58
      • 2. 물류서비스품질, 협업의 직접효과 분석 59
      • 3.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협업의 매개효과 분석 60
      • 제 5 장 분석의 시사점 62
      • 제 1 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62
      • 제 2 절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와의 관계 65
      • 제 3 절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협업의 매개효과 69
      • 제 6 장 결론 71
      • 제 1 절 연구의 요약 71
      • 제 2 절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과제 73
      • 참고문헌 75
      • 부록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