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체시료에서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모니터링, 2005 = Monitoring on Dioxin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Korean pop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6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uman breast milk samples analyzed for PCDD/DFs, PCBs and PBDEs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at maternal clinic in Seoul city (a metropolitan area with many types of dioxin-like compounds emission) and Ulsan city (an industrial area). As donors o...

      The human breast milk samples analyzed for PCDD/DFs, PCBs and PBDEs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at maternal clinic in Seoul city (a metropolitan area with many types of dioxin-like compounds emission) and Ulsan city (an industrial area). As donors of human breast milk, 22 mothers were selected in Seoul and 22 mothers in Ulsan. The human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bout 50~100 mL each time on colostrum, 30 and 60 day after delivery. On the other hand, the Raw foodstuffs were collected at market in different locations in Seoul, Incheon, Daejeon, Gwangju and Busan from Korea during May to June 2005. Human milk samples and foodstuffs were immediately frozen in clean glass bottles and kept frozen at -20℃ until analysis. The mean Total-TEQ concentrations of PCDD/DFs and dioxin-like PCBs (∑ PCDD/DFs-TEQ + ∑Dioxin-like PCBs-TEQ) in colostrums, 30th day and 60th day after delivery human milk samples were 11.2, 7.6 and 5.0 pg WHO-TEQ/g, respectively. On the whole, we found that the residue levels of PCDD/DFs and dioxin-like PCB congeners in human milk samples collected from Seoul and Ulsan area were similar. Pretreatment for PBDEs determination, alkali digestion and L-L(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could be applied to fish and shellfish. Multi-layer column for clean up the sample, pre-elution used n-Hexane of 50 mL and post-elution used 10% DCM(in n-Hexane) of 100 mL. And activated-carbon column could applied 20% DCM(in Hexane) of 100 mL.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PBDEs in 30th day after delivery human milk samples collected Seoul(n=22) and Ulsan(n=22) were recorded 3.11 ng/g (lipid weight basis). The concentrations of PBDEs in human milk from Korean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The mean concentrations on a wet weight basis of total PBDEs determined from the various foodstuffs were meet(pork, beef, chicken) 0.06~0.13, oil(sesame oil) 0.01~0.02, milk and product(milk, icecream, cheese, butter) 0.02~0.71, eggs(egg) 0.04~0.05 ng/g. The concentrations of PBDEs in foodstuffs from Korean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but almost same with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인체 모유 중 PCDD/DFS 및 PCBs의 모니터링 조사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해 모유시료의 채취는 서울 및 을산 지역 거주 산모에게서 초유, 출산 후 30일째 그리고 50일째 모유를 각 지역별 22 개의...

      한국 인체 모유 중 PCDD/DFS 및 PCBs의 모니터링 조사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해 모유시료의 채취는 서울 및 을산 지역 거주 산모에게서 초유, 출산 후 30일째 그리고 50일째 모유를 각 지역별 22 개의 시료를 수거하여, 총 132개의 시료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유 시료의 채취는 초유 및 60일 재의 경우 50 mL 정도의 양을 채취 하였으며, 30일째 모유의 경우는 PBDEs의 분석을 병행하기 위하여 100 mL 정도의 양을 채취하여 −20∘C 에서 냉동 보관 하였다. PBDEs의 경우에는 모유 시료 뿐 아니라 식품 중의 잔류레벨 띤 노출 기여율 조사를 위하여 전극 3대도시 (서울, 인천, 대전, 광주 그리고 부산)의 대형 마트에서 육류(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유지류(참기름), 유제품 (우유, 치즈, 버터, 아이스크림) 그리고 난류(계란) 등 총 9종을 구입하여 분석을 시료로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및 울산 지역의 총 44인의 산모의 초유 중 평균 다이옥신의 총 TEQ 농도는 WHO-TEF에 따라 초유 중의 총 독성등량치 ( ∑PCDD/DFs−TEQ+∑Dioxin−likePCBs−TEQ )를 환산 한 결과 11.2±5.3pg WHO-TEQ/g(이하 : 지방 중량 기준)으로 전년도 측정 결과인 13.5±12.4pg TEQ/g(n=65)에 비교하여 유사한 농도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출산 후 30일 및 60일 채 채취된 모유 시료의 Total TEQ 레벨은 각각 평균 7.6±6.8 및 5.0±4.1pg WHO-TEQ/g을 기록하였다. 본년도 모니터링 조사 결과를 국외 데이터와 비교하였을 경우, PCDD/DFs를 비롯하여 PCBs의 모유 중 잔류 농도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구에서 수행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모유 섭취 시 유아의 모유섭취시기 6개월간의 평균일일노출량은 dioxin과 dioxin-like PCBs의 total TEQ를 근거로 할 때 23.6 pg/kg/day(mean)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평생평균일일노출량은 0.17 pg/kg/day(mean)로 계산 되었다. 이를 근거로 유아기 모유 섭취에 따른 위해도는 EPA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암잠재력 1.56×10⁻⁴ 을 활용하여 정량적 위해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2.63×10⁻⁵ 으로 계산되어졌다. 이는 EPA의 환경 중 background level에서의 강한 위해도와 비교할 때는 훨씬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품 중 PBDES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 검토 결과 Multi-layer 컬럼 정제는 pre-elution은 n-Hexane ,50 mL와 post-elution은 10% DCM(in Hexane) 100 mL. 활성탄 정제 과정은 25% DCM(in Hexane) 100 mL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질에 따른액-액 추출법과 soxhlet 추출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유 중 PBDEs의 조사는 출산 후 30일째 모유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평균 농도는 3.11 ng/g이 검출되었다. 이는 2004년 수행되었던 서울과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 결과(3.13 ng/g)과 유사한 결과이며, 유럽 및 미국 등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식품 시료에 대한 PBDEs의 모니터링 결과는 습식 중량 기준으로 육류 0.06∼0.13 , 유지류 0.01∼0.02 , 유제품 0.02∼0.71 , 난류 0.04∼0.05ng/g 이 검출되어, 유럽 및 미국 등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며 일본과는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목표
      ○ 지표성 시료인 모유 시료를 이용한 다이옥신류 및 PCBs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한국인의 인체 오염 레벨을 파악하고, 매년 변화와 추이를 예측하여 국민 보건에 유해한 이들 화합물들의 정책적 규제 마련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한다.
      ○ 다이옥신류 및 PCBs의 실질적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임산부의 노출 인자에 따른 오염 경향 특이성의 파악은 물론 수유를 통한 유아에의 노출 수준 및 그 위해성과 이점을 계량화 하여, 모유 수유의 권장 및 홍보를 위한 논리적 근거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의 연구가 미진한 PBDEs에 대한 식품 중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PBDEs 오염 경로 및 식품군에 따른 오염 기여도를 확인함은 물론 모유 중 PBDEs의 오염 레벨을 정량하여 다이옥신류와 비교 검 토함으로서 이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총체적인 오염 현황을 파악한다.
      ○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관한 특성과 위해성에 관한 정보를, 산모를 포함한 일반인들에게 올바르게 전달, 홍보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생활 속 실천 활동에 동참하도록 유도한다.
      ○ 연구내용
      ○ 본년도 조사는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 및 대규모 공업지역인 서울 및 울산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이옥신류 및 관련 화합물에 대한 분석, 조사를 수행하며, 초유 및 출산 후 30일째, 60일째 모유를 지역별 각 22개, 총 132개를 분석 대상 시료로 하였다.
      ○ 실측 모니터링 데이터와 지난 4년간의 연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노출수준을 검토한 뒤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며, 예측된 위해도를 예측 평가하였다.
      ○ PBDEs에 의한 한국인의 노출경로 및 오염수준의 파악을 위하여 일일섭취량이 많은 육류(돼지고기 5지역 2종, 소고기 5지역, 닭고기 5지역), 유제품(우유 2개 제품, 아이스크림 2개 제품, 치즈 2개 제품, 버터 2개 제품) 및 유지류(참기름 2종), 난류(계란 5지역)에 대해 전국의 5지역(서울, 인천, 대전, 광주, 부산)에서 시료를 수거하여 조사를 행하며, 출산 후 30일 째 모유에 22개에 대한 모니터링을 병행하여 이들 대표적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한 한국인의 체내 노출수준 및 오염특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였다.
      ○ 모유 수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제어하기 위하여, 한국인체 내 모유 오염 현황에 대한 객관적 자료 및 정량화된 위해성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홍보 및 교육용의 자료를 개발하여 일반 시민 및 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산모들에게 모유수유의 장점,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종류 및 특성, 인체로의 유입경로, 다이옥신의 인체 위해성, 생활속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사용 저감화 등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