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조어를 활용한 사회적 현상 아카이빙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rchiving of a Social Phenomenon through Neolog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1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인 동시에그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시대에 따른 사회·문화의 변화와 발전과함께 언어 또한 변하고 발전한다. 이처럼 시대�...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인 동시에그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시대에 따른 사회·문화의 변화와 발전과함께 언어 또한 변하고 발전한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신조어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와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신조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렇게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신조어를 살펴보면 시대의 세태와 갈등, 사람들의 심리, 사상, 문화 등 사회 현상을 함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신조어와 함께 관련 기록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신조어 아카이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한다. 신조어 아카이빙이 기존에 존재하는 사전의 개념과 어떻게 차이가있는지 비교를 통해 신조어 아카이빙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이 연구를 통해 세대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의 불평등 해소 등국민 언어생활에 편의와 당대의 사회상을 기억하고 더 나아가 전문가들의신조어 또는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nguage is an important medium for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and a mirror that reflects society as a whole. As society and culture change and develop over centuries, language follows suit.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the new era a...

      Language is an important medium for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and a mirror that reflects society as a whole. As society and culture change and develop over centuries, language follows suit.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the new era and express new concepts, countless new neologisms continue to appear. Recently, the use of neologisms is getting increasingly focu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other Internet communication sites, which then spread rapidly through various media. If you look at the popular neologisms on the Internet, it implicitly reflects conflicts between the eras and the generations, people’s psychology and ideology, and social phenomena such as culture. The function of neologisms is not solely for the entertainment element of communication but also for criticizing social problems and their vital use as a search keyword.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gather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records about neologisms that reflect the social phenomenon in a certain period, and this will be labeled as “neologism archiving.”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neologism archive by comparing the currently existing neologism archiving system with the existing dictionary concept. In addition, this study serves as a reminder of the convenience and the contemporary social phenomena, such a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e dissemination of inequality of information sharing. Lastly, this study aims to support experts with their research on neologisms for the social phenomen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란, "현대중국어의 신조어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진주연, "현대 중국어 신조어 연구: 1990년 이후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 박기천, "현대 중국어 문화콘텐츠 신조어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4 가토 히사타케, "헤겔사전" 도서출판b 2009

      5 Gui Dan, "한·중 신조어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劉昊, "한·중 생활분야 신조어 비교연구 : 사회·문화적 양상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7 한림학사,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청서 2007

      8 구정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해냄 2011

      9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10 김명자, "중국어 신조어 규범 문제에 관한 연구" 영남중국어문학회 (64) : 197-226, 2013

      1 정미란, "현대중국어의 신조어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진주연, "현대 중국어 신조어 연구: 1990년 이후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 박기천, "현대 중국어 문화콘텐츠 신조어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4 가토 히사타케, "헤겔사전" 도서출판b 2009

      5 Gui Dan, "한·중 신조어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劉昊, "한·중 생활분야 신조어 비교연구 : 사회·문화적 양상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7 한림학사,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청서 2007

      8 구정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해냄 2011

      9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10 김명자, "중국어 신조어 규범 문제에 관한 연구" 영남중국어문학회 (64) : 197-226, 2013

      11 최윤경, "중국개혁개방과 신오어" 제이앤씨 2009

      12 김민국, "주민참여 지향 마을 아카이빙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2

      13 이재나, "웹툰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6 (26): 123-149, 2015

      14 신윤화, "매뉴스크립트 컬렉션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 김달진문학관을 사례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15 설문원,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32) : 3-44, 2012

      16 이형수, "대중음악가 아카이빙 방안 : 김광석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2

      17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용어사전" 역사비평사 2008

      18 김관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