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tems for the PCK Assessment about Informatics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3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사회에서 필수과목으로 고려되는 정보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은 향후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교과의 측면에서 매...

      정보사회에서 필수과목으로 고려되는 정보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은 향후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교과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정보사회에서 정보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교사들의 정보교과에 대한 PCK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정보교과의 PCK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표현에 관한 지식, 내용에 관한 지식, 평가에 관한 지식, 그리고 교수법에 관한 지식의 5개 요인에서 39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CK of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which is viewed as one of required subjects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is linked to what and how to teach, and that is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academic education.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The PCK of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which is viewed as one of required subjects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is linked to what and how to teach, and that is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academic education.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efforts to develop items geared toward evaluating the PCK of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or to make a factor analysis of those items, though the importance of that subject in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size up the PCK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The finalized instrument consisted of 39 items regarding five factors that involved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f expression, knowledge of content, knowledge of evaluation and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이철,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에서튜터 역할의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07-232,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2006

      3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교육인적자원부 2000

      4 교육과학기술부, "중등 정보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성태제,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6 김용,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증진을 위한 학습자 만족도 평가 준거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 (10): 61-68, 2007

      7 이홍우,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6

      8 박성혜,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105-134, 2003

      9 안미리,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4 (4): 135-143, 2001

      10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1 강이철,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에서튜터 역할의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07-232,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2006

      3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교육인적자원부 2000

      4 교육과학기술부, "중등 정보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성태제,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6 김용,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증진을 위한 학습자 만족도 평가 준거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 (10): 61-68, 2007

      7 이홍우,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6

      8 박성혜,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105-134, 2003

      9 안미리,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4 (4): 135-143, 2001

      10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11 Ball, D. L., "The subject-matter preparation of teachers" Macmillan 1990

      12 Gaea L., "The Cognitive Skill of Teaching" 78 (78): 75-95, 1986

      13 Brophy, J, "Teacher’s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s it relates to their teaching practice : Advances in research in teaching : Volume 2" JAI Press 1991

      14 Thomas P. C.,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tudent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Arithmetic" 19 (19): 385-401, 1988

      15 Grossman, P. L., "Teachers of substance: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in : Knowledge base for the beginning teacher" Pergamon Press 1989

      16 Tamir, P,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4 (4): 99-110, 1988

      17 JH. Van Driel,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18 Cochran, K. F.,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44 : 263-272, 1993

      19 Marks, 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For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41 : 3-11, 1990

      20 Shulman, L. S,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Macmillan 1986

      21 S. Magnusson,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PCK and Science Education 95-132, 1991

      22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23 J. Gess-Newsome,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Publishers 1999

      24 Carlsen, W. S,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Kluwer Publishers 1999

      25 석임복,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21-154, 2007

      26 Richardson, V,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 Building New Understanding" Falmer Press 1997

      27 Schwab, J. J, "Biology teacher's handbook" Wiley 1963

      28 김계수,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7

      29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Berrett-Koehler Publishers 1975

      30 Tucker, A.,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Final Report of the ACM K-12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 2003

      31 양미경,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과제" 한국교육원리학회 14 (14): 45-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