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21대 총선 당락 여부와 사회인구학적 변인 간의 연관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8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각종 선거 결과는 대의 민주주의 근간을 이루는 큰 이슈가 되기 때문에 피선거권자는 물론이고 일반 유권자들에게도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다중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하여 21...

      각종 선거 결과는 대의 민주주의 근간을 이루는 큰 이슈가 되기 때문에 피선거권자는 물론이고 일반 유권자들에게도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다중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하여 21대 총선 개표 결과를 바탕으로 후보자의 당락 여부와 사회인구학적 특성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구성은 21대 지역구 선거가 실시된 전국 253개의 지역구에 대하여 당선자와 2위 낙선자를 매칭하 여 성별, 소속정당, 현역 여부 등 6개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당락여부와 범주형 설명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2원 분할표를 이용하는 카이제곱 검정을 시도할 수 있겠으나 이는 나머지 변수들의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분석에서는 나머지 설명변수들의 효과를 고정하고 각 설명변수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 모형을 가정한 편회귀계수 추정치와 오즈비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성별, 21대 이전 당선 횟수, 나이 변인들은 당선 여부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갖지 못했으나 소속정당, 현직 여부, 지역구변경 여부 등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ndidate’s succes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1st general election counting held on April 15, 2020 using a multiple logistic model. For the data, 253 reg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ndidate’s succes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1st general election counting held on April 15, 2020 using a multiple logistic model. For the data, 253 regions across the country were selected and election winn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matched with second-place losers, and six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ffiliation, and active duty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Usually, a Pearson chi-square test using a two-way crosstabulation can be attempted as the simplest wa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sponse variable and categorical explanatory variables, but thi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s of the remaining variables cannot be considered together. In this analysi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a method of fixing the effects of the remaining explanatory variables and evaluating the influence of each individual explanatory variable,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efficient estimates and odds ratio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gender, re-election status, and age grou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but their party, active duty, and district change were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자료수집
      • 3. 모형구축
      • 4. 분석결과
      • 요약
      • 1. 서론
      • 2. 자료수집
      • 3. 모형구축
      • 4. 분석결과
      • 5. 결론 및 고찰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호 ; 김민선, "후보자 요인, 현직 효과 그리고 정치적 경쟁" 한국정치정보학회 12 (12): 165-179, 2009

      2 한정택, "한국 현직 국회의원의 재당선 요인 분석-제14대부터 제17대까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7 (17): 73-99, 2007

      3 신정섭, "코로나19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선택에 미친 영향: 정부대응 평가와 개인피해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9 (29): 155-182, 2020

      4 윤용화 ; 최보승, "무응답을 가지고 있는 범주형 자료에 대한 모형 선택 방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627-641, 2012

      5 전유택 ; 조형준, "모형 기반 하이브리드 의사결정나무"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0 (30): 515-524, 2019

      6 민대기 ; 최미경, "로지스틱회귀모형을 활용한 아동학대 가족의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327-1336, 2016

      7 이갑윤 ; 이현우, "국회의원 표결과 정당 영향력:17대 국회를 대상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7, 2011

      8 Kawashi, I.,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 Hanbit Academy 2020

      9 Prentice, R. L., "Logistic disease incidence models and case-control studies" 66 : 403-412, 1979

      10 Choi, J. H., "Decision trees and its applications" 4 : 61-83, 1999

      1 박명호 ; 김민선, "후보자 요인, 현직 효과 그리고 정치적 경쟁" 한국정치정보학회 12 (12): 165-179, 2009

      2 한정택, "한국 현직 국회의원의 재당선 요인 분석-제14대부터 제17대까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7 (17): 73-99, 2007

      3 신정섭, "코로나19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선택에 미친 영향: 정부대응 평가와 개인피해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9 (29): 155-182, 2020

      4 윤용화 ; 최보승, "무응답을 가지고 있는 범주형 자료에 대한 모형 선택 방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627-641, 2012

      5 전유택 ; 조형준, "모형 기반 하이브리드 의사결정나무"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0 (30): 515-524, 2019

      6 민대기 ; 최미경, "로지스틱회귀모형을 활용한 아동학대 가족의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327-1336, 2016

      7 이갑윤 ; 이현우, "국회의원 표결과 정당 영향력:17대 국회를 대상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7, 2011

      8 Kawashi, I.,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 Hanbit Academy 2020

      9 Prentice, R. L., "Logistic disease incidence models and case-control studies" 66 : 403-412, 1979

      10 Choi, J. H., "Decision trees and its applications" 4 : 61-83, 1999

      11 Breiman, L.,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hapman and Hall 1984

      12 Agresti, A., "Categorical data analysis" Wiley 2013

      13 Breslow, N., "Are there two logistic regressions for retrospective studies?" 34 : 100-105, 1978

      14 곽민호 ; 박철우, "A comparison between logistic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s in a constructed response item study"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0 (30): 1161-1175, 2019

      15 가상준, "2020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사전투표 유권자의 특징과 투표선택" 한국정치학회 55 (55): 89-108,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