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후기 자료에 나타나는 추량조동사 「べし」의 사용양상 - 구어와 문어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3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구어자료와 문어자료에 나타나는 조동사 「べし」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大蔵虎明本狂言』과 『国字本伊曽保物語』를 비교・분석하였다. 고찰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본 논문에서는 구어자료와 문어자료에 나타나는 조동사 「べし」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大蔵虎明本狂言』과 『国字本伊曽保物語』를 비교・분석하였다. 고찰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어자료 『国字本伊曽保物語』 에서의 「べし」의 사용빈도가 현저하게 높을 것이 라고 예상했으나, 검토결과 『大蔵虎明本狂言』과 전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두 자료 모두 지문에서 「べし」의 용례가 많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했으나, 지문보다 대화문에서의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주로 문어적・ 관용적인 표현으로 사용되는 「べき」와 「べからず」가 『大蔵虎明本狂言』보다『国字本伊曽保物語』에서 많이 나타난 사실은 「べき」와 「べからず」가 문어체의 특징이 강하다는 점을 확인시켜준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의미용법에서 『大蔵虎明本狂言』은 [당연・필연]이, 『国字本伊曽保物語』는 [추량] 이 많았는데, 이를 통해 「べし」의 의미용법의 추이를 유추해볼 수 있다. 즉 시대의 흐름에 따라 [추량]의 의미는 점차 감소하여 현대 일본어에서도 주로 [당연・필연・의무]로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변화의 방향이 구어자료인 『大蔵虎明本狂言』에 잘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Okuratoraakirabon kyougen」 and 「Kokujibon Isohomonogatari」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auxiliary verb 「べし」 appearing in colloquial and literary materials. The result of examination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Okuratoraakirabon kyougen」 and 「Kokujibon Isohomonogatari」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auxiliary verb 「べし」 appearing in colloquial and literary materials. The result of examination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use of 「べし」 in literary material was expected to be high remarkably, however, there was no big difference to 「Okuratoraakirabon kyougen」 generally. Second, it was expected to be seen a lot that the use of 「べし」 in the text of both materials, but the frequency of use in conversation was seen more frequently than in text. However, 「べき」 and 「べからず」 being used principally in expression literary and idiomatically appeared more in 「Kokujibon Isohomonogatari」 than 「Okuratoraakirabon kyougen」, it means 「べき」 and 「べからず」 hav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style. Third, in terms of meaning usage, 「ObviousnessㆍInevitability」 and 「Guess」 was predominant in 「Okuratoraakirabon kyougen」 and 「Kokujibon Isohomonogatari」 respectively, so development of meaning usage of 「べし」 can be inferred from this.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Guess」 was reduced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nd used in meaning of 「ObviousnessㆍInevitability」 in modern Japanese. It means the direction of change as these were reflected well in 「Okuratoraakirabon kyougen」 of the spoken mater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べし」의 의미와 의미 분류 기준
      • 3.『大蔵處明本狂言』에나타나는「べし」의 사용양상
      • 4.「國字本伊曽保物語』에나타나는「べし」의 사용양상
      • Abstract
      • 1. 서론
      • 2.「べし」의 의미와 의미 분류 기준
      • 3.『大蔵處明本狂言』에나타나는「べし」의 사용양상
      • 4.「國字本伊曽保物語』에나타나는「べし」의 사용양상
      • 5.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자, "노오ㆍ교오겐(能ㆍ狂言)" 韓国問題研究所 5 : 79-, 1999

      2 池田広司, "狂言集の研究 本文篇 上ㆍ中ㆍ下" 表現社 1983

      3 山口明穂, "日本語文法大辞典" 明治書院 710-, 2001

      4 高山善行, "日本語モダリティの史的研究" ひつじ書房 193-238, 2002

      5 時枝誠記, "日本文法 口語偏" 岩波書店 209-, 1950

      6 北原保雄, "日本国語大辞典" 小學舘 2003

      7 前田金五郎, "日本古典文学大系90 仮名草子集" 1965

      8 日榮社編集所, "新・要説文語文法" 日榮社 67-, 1999

      9 近藤泰弘, "推量表現の変遷" 大修館 22 (22): 48-60, 1973

      10 山口堯二, "推量体系の史的変容" 国語学会 165 : 26-37, 1991

      1 김효자, "노오ㆍ교오겐(能ㆍ狂言)" 韓国問題研究所 5 : 79-, 1999

      2 池田広司, "狂言集の研究 本文篇 上ㆍ中ㆍ下" 表現社 1983

      3 山口明穂, "日本語文法大辞典" 明治書院 710-, 2001

      4 高山善行, "日本語モダリティの史的研究" ひつじ書房 193-238, 2002

      5 時枝誠記, "日本文法 口語偏" 岩波書店 209-, 1950

      6 北原保雄, "日本国語大辞典" 小學舘 2003

      7 前田金五郎, "日本古典文学大系90 仮名草子集" 1965

      8 日榮社編集所, "新・要説文語文法" 日榮社 67-, 1999

      9 近藤泰弘, "推量表現の変遷" 大修館 22 (22): 48-60, 1973

      10 山口堯二, "推量体系の史的変容" 国語学会 165 : 26-37, 1991

      11 山口堯二, "中世末期口語における「べし」の後身-『天草版平家物語』の訳語による-" 84 : 55-68, 2000

      12 민병찬, "ヘボンㆍブラウン訳『馬可伝』における「べし」について" 한국일본학회 (92) : 27-38, 2012

      13 민병찬, "<べし>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일고찰 - <べから->에 대한 대역어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9) : 47-59,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