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젓갈 중 Oligopeptide , Free amino acids , 5'-Ribonucleotides와 Free Sugars 성분의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Content and Composition of Oligopeptide, Free amino acids, 5'-Ribonucleotides, and Free sugars in salted preserves Produced at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37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일본젓갈 중의 유리당, 5'-ribonucleotide, 유리아미노산의 분석결과로부터 양국젓갈의 呈味性 차이를 검토했다. 시료로 사용된 젓갈은 「시장젓갈」, 「반찬젓갈」, 「한국병조림젓갈...

      한국과 일본젓갈 중의 유리당, 5'-ribonucleotide, 유리아미노산의 분석결과로부터 양국젓갈의 呈味性 차이를 검토했다. 시료로 사용된 젓갈은 「시장젓갈」, 「반찬젓갈」, 「한국병조림젓갈」, 「일본병조림젓갈」 등이며 「반찬젓갈」과 「일본병조림젓갈」은 한국과 일본의 일반적인 젓갈로 했다.
      1) 식염농도는 「시장젓갈」이 23.2%, 「반찬젓갈」은 14.4%, 「한국병조림젓갈」은 7.1%, 「일본병조림젓갈」은 5.8%이다
      2) 「시장젓갈」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그 외의 젓갈에서는 3500∼6500㎎/100g의 유리당이 함유되어 있다.
      3) 젓갈에는 5'-IMP와 5'-GMP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4) 「반찬젓갈」의 유리아미노산은 「일본병조림젓갈」의 약 2배이다.
      5) 아미노산 전체양에 점유하는 글루타민산은 「일본병조림젓갈」이 45.5%, 「반찬젓갈」이 29.2%이다.
      6) 주체적 아미노산은 「시장젓갈」에는 글루타민산, leucine, alanine, lysine의 4종류, 「반찬젓갈」에는 글루타민산, leucine, alanine의 3종류, 「일본병조림젓갈」은 글루타민산이 현저하게 많다.
      본 연구는 1991년도 일본문부성 해외학술연구대학간 협력연구지원 계획에 의하여 진행됐음.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alat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we analyzed oligopeptide, free amino acids, 5'-ribonucleotides and free sugars of salted preserves from Korea and Japan. The salted preserves from Korea were grouped into 3 ...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alat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we analyzed oligopeptide, free amino acids, 5'-ribonucleotides and free sugars of salted preserves from Korea and Japan. The salted preserves from Korea were grouped into 3 classes, "Food Market (Korea)", "Side Dish (Korea)", "Bottled (Korea)". The "Side Dish (Korea)" and the "Bottled (Korea)" type are made by adding to the "Food Market (Korea)" seasonings, red pepper or other food materials. The salted preserves from Japan were bottled goods purchased at food stores, and they were classified as "Bottled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dium chloride was 23.2% in the "Food Market (Korea)" type. 14.4% in the "Side Dish (Korea)", 7.1% in the "Bottled (Korea)" and 5.8% in the "Bottled (Japan)", respectively. (2) The "Food Market (Korea)" didn't contain free sugars. but all the other salted preserves contained 3,500∼6,500㎎ free sugars/100g. (3) None of the salted preserves contained 5'IMP or 5'GMP. (4)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the "Side Dish (Korea)" were glutamic acid, leucine and alanine, but the "Bottled (Japan)" contained an extremely high amount of glutamic aci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