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연구 -수덕사(修德寺)와 월정사(月精寺)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ternal Settings for Temple Stay -Centered about Sudeoksa Temple and Woljeongsa Tem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8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자 중에서 외부환경을 사찰환경, 프로그램, 편의시설, 사찰탐방 조건 등으로 구분하여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수준을 향상...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자 중에서 외부환경을 사찰환경, 프로그램, 편의시설, 사찰탐방 조건 등으로 구분하여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찰외부환경에 관한 분석은 사찰환경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질문에 주변의 숲(85.7%)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주변의 숲을 적극 활용한 명상이나 힐링 프로그램의 도입이 요구된다, 둘째, 사찰의 조경요소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곳에 관한 설문분석은 집입로변 가로수의 만족도(48.7%)가 높게 나타났다. 일주분에서 대웅전까지 가는 길에 주변의 숲과 상이한 가로수를 열식하여 보행자에게 편의 및 경관적 특징을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일주문에서 대웅전 가는 길은 어떻게 조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설문분석 결과는 자연지형에 맞 추어 조성해야 한다는 답변(57.2%)이 높았고, 마당의 포장은 마사토흙포장(73.3%)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재 수종에 관한 설문분석은 전통적인 나무(70.8%)가 높았고, 도입 물의 종류는 연을 심을 수 있는 연지나 석연지(63%)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템플스테이 이용 후 만족도 분석은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다양도면에서는 조금 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의 만족은 숙박시설이 빈도가 높은 편이며, 주변 편의시설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찰탐방 조건에 대한 만족도 분석은 대상지가 전통사찰로 주변 자연환경이 수려함으로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le stayers` satisfaction with their experience of the temple-stay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elp improve the external settings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le stayers` satisfaction with their experience of the temple-stay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elp improve the external settings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ettings were categorized into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 program, amenities and other elements (roadside trees, access condition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ers were most(85.7%) satisfi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which suggests that the forest should be made most use of for meditation or healing programs during temple stay.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elements, temple stayers were highly (48.7%) satisfied with the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the access road (from the gate or Iljumun to the main building or Daeungjeon) lined with the tre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rrounding forest. Third, it was found that 57.2% of the temple stayers favored the access road made in harmony with its natural topography, and that 73.3% of them liked to see the temple courtyard paved with Masato (polished sand mixed with natural soil). On the other hand, 70.8% of the temple stayers preferred the indigenous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while 63.0% of them liked to see a natural or artificial pond with the lotus flowers. Fourth, temple stayers were satisfied or more with the temple-stay programs. However, many of them wanted more diversified programs. In terms of amenities, they were much satisfied with the boarding facilities, while being less satisfied with other amenities. On the other hand, temple stayer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harmony struck between the templ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