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 = Establishment of a public safety network app securit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0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security response to application service app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initial opening of the public safety network. Therefore, preemptive security measures are essential. In this study, we proposed to establish a 'public safety network...

      Korea's security response to application service app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initial opening of the public safety network. Therefore, preemptive security measures are essential. In this study, we proposed to establish a 'public safety network app security system' to prevent potential vulnerabilities to the app store that distributes app in public safety network and android operating system that operate app on dedicated terminal devices. In order for an application service app to be listed on the public safety network mobile app store, a dataset of malicious and normal app is first established to extract characteristics and select the most effective AI model to perform static and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afety App Certificate' is certified for non-malicious app to secure reliability for listed apps. Ultimately, it minimizes the security blind spots of public safety network app. In addition, the safety of the network can be secured by supporting public safety application service of certified ap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재난안전통신망 개통 초기로 응용서비스 앱에 대한 보안 대응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기에, 이에 대한 선제적 보안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우리나라는 재난안전통신망 개통 초기로 응용서비스 앱에 대한 보안 대응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기에, 이에 대한 선제적 보안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앱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와 전용 단말에서 앱이 동작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한 잠재적 취약점을 사전 예방하고자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응용서비스 앱이 재난안전통신망 모바일 앱스토어에 등재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우선 악성 및 정상 앱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축하여 피쳐를 추출하고 가장 효과적인 AI 모델을 선정하여 정적 및 동적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에 따라 악성 앱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 '안전 앱 인증서'를 인증하여 공인 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 재난안전통신망 앱의 보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인증된 앱의 재난안전 응용 서비스 지원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통신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nderstanding the Public Safety Network"

      2 "Statcounter-Mobile OS"

      3 "Protect your device from harmful apps with Google Play Protect"

      4 "Notification No. 2021-21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5 "LTE Overview"

      6 "KISA Report, Security that has supported Android to Android" KISA

      7 "Guide for Google Play Protect"

      8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FirstNet's 2015 National Public Safety Broadband Annual Report" 2015

      9 "American Disaster Network"

      10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3rd Comprehensive Plan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posal)" 2018

      1 "Understanding the Public Safety Network"

      2 "Statcounter-Mobile OS"

      3 "Protect your device from harmful apps with Google Play Protect"

      4 "Notification No. 2021-21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5 "LTE Overview"

      6 "KISA Report, Security that has supported Android to Android" KISA

      7 "Guide for Google Play Protect"

      8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FirstNet's 2015 National Public Safety Broadband Annual Report" 2015

      9 "American Disaster Network"

      10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3rd Comprehensive Plan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posal)"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