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점자 약자 중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 폐지와 소괄호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 부피와 점자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the Elimination of Contractions for final consonant ‘ssang-si-ot’ and ‘eo yi-eeung’ and the modified Braille Symbol for open-&-close Parenthesis on the volume and the Reading Speed of Braille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3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점자 사용자들 사이에 약자의 활용이 자료의 부피를 줄이고 읽기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한국 점자 규정’의 한글점자 약자 중 받침...

      점자 사용자들 사이에 약자의 활용이 자료의 부피를 줄이고 읽기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한국 점자 규정’의 한글점자 약자 중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 폐지 및 소괄호의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의 부피와 점자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각장애인들이 널리 구독하고 있는 “점자새소식” 4개 호를 조사한 결과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를 폐지하고 소괄호의 점형을 변경할 경우, 부피가 1.3%(총 1,358줄 중 18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 성인 20명과 시각장애 중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현행 ‘한국 점자 규정’을 적용한 자료와 한글점자 약자 축소 및 소괄호 점형 변경 내용을 적용한 자료의 읽기 속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글점자 약자 일부의 축소와 소괄호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 부피를 미미한 수준에서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점자 읽기 속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erception that the use of contraction would reduce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 and increase the reading speed has been pervasive among braille us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whether the elimination of contract...

      A perception that the use of contraction would reduce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 and increase the reading speed has been pervasive among braille us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whether the elimination of contractions for final consonant ‘ssang-si-ot’ and ‘eo yi-eeung’ and the modification of braille symbol for open-&-close parenthesis influence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 and the reading spe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n increase of 1.3% in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when aforementioned changes were applied.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speed among braill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limination of contractions for final consonant ‘ssang-si-ot’ and ‘eo yi-eeung’ and the modification of braille symbol for open-&-close parenthesi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the volume nor the reading speed of braille materi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재, "한국 점자 규정 개정안 마련을 위한 실증연구" 국립국어원 2012

      2 조성재, "한국 점자 규정 2차 개정(안)검토보고서" 국립국어원 2013

      3 임안수, "한국 시각장애인의 역사"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9

      4 김영일, "시각장애인언어 사용 환경 개선 중장기 계획 수립" 국립국어원 2014

      5 김영일, "시각장애인복지론" 집문당 2010

      6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15

      7 임안수, "시각장애아교육" 학지사 2008

      8 Hong, S., "The impact of early exposure to uncontracted braille reading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96 : 325-340, 2004

      9 Herzberg, T. S., "Teaching and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uncontracted braille" 98 : 773-779, 2004

      10 Wetzel, R., "Studies of braille reading rates and implications for the Unified English Braille Code" 98 : 275-284, 2006

      1 조성재, "한국 점자 규정 개정안 마련을 위한 실증연구" 국립국어원 2012

      2 조성재, "한국 점자 규정 2차 개정(안)검토보고서" 국립국어원 2013

      3 임안수, "한국 시각장애인의 역사"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9

      4 김영일, "시각장애인언어 사용 환경 개선 중장기 계획 수립" 국립국어원 2014

      5 김영일, "시각장애인복지론" 집문당 2010

      6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15

      7 임안수, "시각장애아교육" 학지사 2008

      8 Hong, S., "The impact of early exposure to uncontracted braille reading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96 : 325-340, 2004

      9 Herzberg, T. S., "Teaching and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uncontracted braille" 98 : 773-779, 2004

      10 Wetzel, R., "Studies of braille reading rates and implications for the Unified English Braille Code" 98 : 275-284, 2006

      11 Hannan, C. K., "Review of research : Neuroscience and the impact of brain" 100 : 397-413, 2006

      12 Troughton, M., "One is fun’: Guidelines for better braille literacy" Dialatype 1992

      13 Hughes, B., "Movement kinematics of the braille-reading finger" 103 : 370-381, 2011

      14 Legge, G. E., "Measuring reading speed with the MNRead test" 1 : 133-145, 1999

      15 Durre, I. K., "How much space does Grade 2 braille really save?" 90 : 247-261, 1996

      16 Wright, T., "Hand movements and braille reading efficiency : Data from the Alphabetic and Contracted braille study" 101 : 649-661, 2009

      17 Lorimer, J., "Experiments with modified Grade 2 braille codes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reading speed" 73 : 324-328, 1979

      18 Knowlton, M., "Analysis of the length of braille texts in English Braille American Edition, the Nemeth Code, and Computer Braille Code versus the Unified English Braille Code" 98 : 267-274, 2006

      19 Emerson Wall, R., "Acquisition of literacy skills by young children who are blind : Results from the ABC study" 101 : 610-624, 2009

      20 Wetzel, R., "A comparison of print and braille reading rates on three reading tasks" 92 : 146-154, 2000

      21 교육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