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대중음악에 나타난 작곡적 경향의 분류를 위한 이론적 구조 분석연구-1980년대와 199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선율과 화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대중가요에 있어서 1980년대와 1990년대는 역사적 측면에서 대중가요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우선, 한국의 대중가요는 1980년과 1990년대에 중흥기로 산업적 그리고 음악의 ...

      한국 대중가요에 있어서 1980년대와 1990년대는 역사적 측면에서 대중가요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우선, 한국의 대중가요는 1980년과 1990년대에 중흥기로 산업적 그리고 음악의 질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 대중가요의 중흥은 다양한 측면에서 볼 수 있는데 우선, 대중가요의 주요 고객층으로 10대의 비중이 높아졌고 또한 10대의 음악적 경향은 팬클럽 등을 조직하는 등 다른 어떤 연령층보다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1990년대의 음반시장은 종합적인 엔터테인먼트화 하여 전문 산업적 형태로 발전하였고 이러한 발전을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 산업은 한국을 넘어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권으로 영역을 넓히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단순한 작곡가로서의 역할을 넘어 총체적인 음반 제작에 책임자로서 음악연출가 혹은 프로듀서의 명칭이 1990년대 이후 대중에게 깊이 인식되는 시기 역시 1990년대부터 그 시작을 볼 수 있다.
      1990년대는 대중가요는 방송매체의 발전을 통해 그 영역의 광범위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90년대는 특히 음반시장과 방송매체의 발전으로 대중가요사에서 유래없는 중흥을 맞이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자연히 이러한 영향력은 사회적 현상과 사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은 새로운 음악문화를 형성하고 그 사회적 영향력도 커서 대중가요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상, 즉, 통일이나 청소년 문제 등을 가사에 담기도 했으며 랩음악에 한국적인 선율을 도입해 독창성을 가졌으며 더불어 춤과 의상에서도 유행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음악적 장르면에서도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다양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유재하, 이문세, 신승훈 등의 발라드가 주도했다면 1990년부터는 철이와미애, 현진영 등 댄스음악이 인기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서태지와 아이들의 첫 번째 음반에서 ‘난 알아요’는 당시 큰 열풍을 가져왔으며 대중가요사에 있어서 1990년대는 다른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사회 전체에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연구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대중가요사에 있어서 1980년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작곡가는 유재하라고 할 수 있으며 작곡가 이영훈의 노래들은 가장 비중 있는 영향력을 가지는 대중가요들을 작곡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유재하의 음악에서는 기존의 단순한 선율과 화성을 탈피하고 보다 다채롭고 자유로운 화성적 연결을 사용한 특징을 볼 수 있다. 일정한 화성적 연결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던 관습을 벗어나 가사에 맞는 특별한 유형의 선율들을 통절적으로 사용한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문세의 음반의 노래를 작곡하면서 대중가요계에 입문한 이영훈의 음악에서는 다양한 장르와 형식적 발전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겠다. 실제로 당시 통상적인 대중가요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작곡하였고 파격적인 음악 형식 등을 도입하는 특징을 가졌다. 또한 화성과 선율에 있어서도 보다 과감한 도약을 사용하였고 기존의 화성적 연결보다 보다 치밀하고 진보적인 성향이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 songs in Korea from the 1980s to the 1990s carry an important meaning in historical point of views. Firstly, the popular songs in Korea from the 1980s to the 1990s had grown apidly for the two decades in the field of music business. In add...

      The popular songs in Korea from the 1980s to the 1990s carry an important meaning in historical point of views. Firstly, the popular songs in Korea from the 1980s to the 1990s had grown apidly for the two decades in the field of music business. In addition to this, the popular songs had reached a significant level in terms of music. The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of Korean popular songs are follows; firstly, the teens became big fans of populare songs including all age groups. secondly, Korean popular songs had built up the music industry.
      In terms of music, Korean popular songs are improved melodically and harmonically compared to the songs before the 1980s. Besides ballade songs,various genres, such as dance music, etc. were pouring in since the early 1990s. This trends about the popular music are studied as siginificant situation socially. For instance, the first CD album by Seotaiji set the new trend and the social effect had great effect on the teens at that times.
      The composer, Ryu Jae-ha have musical influence on the composers in after 1990s. The melodies and harmony in his ballad music changed conventional idioms of popular music in 1980s although he had released just one album since his death in 1987. The music of Lee Young-hoon were originarl and unique formally although harmonically his music has radical progression. Usually his music has longer than other songs at that times.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he employed some new music form in the field of popular songs in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