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테마파크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계획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ning for the Activation of Theme Pa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2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me parks have evolved for various purposes, and as the culture of leisure and relaxation expands, the number of those looking for them is also continuously rising. In particular, theme parks need to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type of locati...

      Theme parks have evolved for various purposes, and as the culture of leisure and relaxation expands, the number of those looking for them is also continuously rising. In particular, theme parks need to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type of location, distance from the city center, and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ach main space is differentially planned according to the required program. The C theme park examined i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using the given space, while its contents have a big possibility. So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irst, reconstruction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whole spatial structure is necessary in order to have significance of the theme park. Second, it needs to be used through active linking of internal and external facilities. Third, a plan is needed to increase the usability by linking each facility. Fourth, an
      essential approach of the theme park is needed through the spatialization of each unit facility. Through the approach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nique spatial system of theme parks and to create environment for usability and various experience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rough landscape planning such as planting con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테마파크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 왔으며, 여가와 휴식의 문화가 증가하면서 이를 찾는 이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테마파크는 입지 유형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주...

      테마파크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 왔으며, 여가와 휴식의 문화가 증가하면서 이를 찾는 이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테마파크는 입지 유형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되는 계획이 필요하며, 각각의 주요 공간들은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차별적으로 계획된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C 테마파크는 자체적으로 가지는 컨텐츠는 가능성이 큰데 반하여 실제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테마파크의 의의를 갖추기 위하여 전체 공간구조의 개편을 통한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단지 내·외부 활용가능한 시설의 적극적 연계를 통한 이용이 필요하다. 셋째, 각각의 시설을 연결하여 이용성을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각각 단위 시설단위의 공간 영역화를 통해 테마파크의 본질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접근을 통해 테마파크가 갖는 고유한 공간체계로의 개선과 함께 이용자의 이용성과 다양한 체험을 위한 환경마련이 가능하며, 특히 식재환경 등 조경 계획을 통한 접근이 중요성을 갖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본론
      • 3. 현황과 문제점
      • 4. 결론
      • References
      • 1. 서론
      • 2. 본론
      • 3. 현황과 문제점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