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 산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청도숲속놀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earner-centered Forest Education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Focused on the case of Forest Play School in Cheo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5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중요해짐에 따라 산림휴양기능이 부각되면서 산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산림교육은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

      오늘날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중요해짐에 따라 산림휴양기능이 부각되면서 산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산림교육은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며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의 교육은 숲에서 직접 체험하고 느끼면서 배우는 산림교육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가 관심과 흥미를 가지면서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교육분야는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시대를 거치면서 기존의 교육과는 다른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교육분야도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산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산림교육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양적 측면에서 산림교육의 증가는 국민들이 산림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산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가치관 습득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질적 향상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산림교육은 공공주도로 운영되어 정형화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사회적 수요와 요구에 맞추어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공급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산림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학습자 의견을 토대로 개발된 ‘청도숲속놀이학교’에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한 운영자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사업계획서, 실무진 회의, 워크숍 등의 질적 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지역자원이 투입된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산림교육과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주체가 연계해서 체계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산림자원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산림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급자 중심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recent increase in importance of the functions of forests in public interests, attention to the functions of forest recreation rose in tandem. This has sparked a rising interest in forest education. Forest education facilitates people’s learn...

      Due to recent increase in importance of the functions of forests in public interests, attention to the functions of forest recreation rose in tandem. This has sparked a rising interest in forest education. Forest education facilitates people’s learning about forests and its benefits, and offers anyone easy access to forests. However, simply transfer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forest education rather tha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feeling in a real forest is inappropriat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learner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have an interest in i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However,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andemic period, the education paradigm is changing to learner-centered customized education more than ever before. Therefore, forest education must also move toward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interest in forests increased, the number of ways for the public to access forest education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This is positive because people can easily access the program. However, improving quality is also necessary for achieving forest education goals like acquiring the right knowledge of forests.
      Currently, the public operates forest education, and it comprises standardized content.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is limited because it must align with social demands. Therefore, developing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rom a supplier-centered to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addition, systems that can evaluate forest education programs are essential for quality improvement.
      This study develops and evaluates forest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learners’ opinions by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operators in charge of planning and operating the “Forest Play School in Cheongdo” based on learner opinions and participants in that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organizing evaluation indicators using qualitative data such as business plans, working-level meetings, workshops, and quantitative data through surveys.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developed wa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orest education as a program using various local resources. This is because it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articipants' needs.
      Furthermore, the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his program was operated syst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Additionally, learners recognized that this program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local forest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witch from a supplier-centered program to a learner-centered one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st education. In addition, to continuously operate these forest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valuate them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산림교육의 흐름과 이해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산림교육의 흐름과 이해 4
      • 1. 산림교육의 변천과정 4
      • 2. 산림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5
      • 제2절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평가모형 분석 7
      • 1.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CIPP 평가모형 7
      • 2. 산림교육 프로그램 평가 동향 10
      • 제3장 연구방법 16
      • 제1절 연구의 흐름 16
      • 제2절 연구대상 18
      • 1. 프로그램 선정 18
      • 2. 연구참여자 선정 19
      • 3. 프로그램 진행 절차 20
      •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22
      • 1. 자료수집 22
      • 2. 분석 방법 23
      • 제4장 연구결과 28
      • 제1절 프로그램 개발 28
      • 1. 상황평가 28
      • 2. 투입평가 34
      • 제2절 프로그램 평가 39
      • 1. 과정평가 40
      • 2. 산출평가 44
      • 제5장 결론 및 제언 54
      • 제1절 결론 54
      • 제2절 제언 55
      • 참고문헌 57
      • 부록 63
      • ABSTRACT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