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양한 함몰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 해석 = Analysis of Reflection Coefficients of Waves Propagating over Various Depression of Top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18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유함수 전개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함몰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기울기와 곡률이 변하는 지역에 고유함수 전개법을 적용하여 해석 시 필요...

      본 연구에서는 고유함수 전개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함몰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기울기와 곡률이 변하는 지역에 고유함수 전개법을 적용하여 해석 시 필요한 적절한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개수를 제안하였다. 천해역 및 중간수심영역을 만족하는 조건에서 다양한 형태의 함몰지형에 대해 반사율을 계산하여 최적의 효율을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제시하였으며 최적 단면을 2열 및 3열로 배열하여 배열 간격에 따른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ave reflection due to depression of seabed is calculated by using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he proper numbers of steps and evanescent modes needed for analysis are suggested by applying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o bott...

      In this study, wave reflection due to depression of seabed is calculated by using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he proper numbers of steps and evanescent modes needed for analysis are suggested by applying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o bottom 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수심이 변하는 지형을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과 통과율 산정." 대한토목학회 18 (18): 351-358, 1998

      2 "다열 불투과성 수중방파제를 통과하는 다방향 불규칙파랑의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29-37, 2007

      3 "The transmission of deep-water waves across a vortex sheet. J. of Fluid Mechanics" 389-401, 1975

      4 "Surface-wave propagation over 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y. J. of Fluid Mechanics" 419-443, 1984

      5 "Propagation of obliquely incident water waves a trench. J. of Fluid Mechanics" 47-63, 1983

      6 "Computation of combined refraction-diffraction." 471-490, 1972

      7 "Analytical solutions for waves propagating over depressions of seabed" 2007

      8 "A new model for surface-wave propagation over undualting topography." 251-266, 1992

      1 "수심이 변하는 지형을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과 통과율 산정." 대한토목학회 18 (18): 351-358, 1998

      2 "다열 불투과성 수중방파제를 통과하는 다방향 불규칙파랑의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29-37, 2007

      3 "The transmission of deep-water waves across a vortex sheet. J. of Fluid Mechanics" 389-401, 1975

      4 "Surface-wave propagation over 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y. J. of Fluid Mechanics" 419-443, 1984

      5 "Propagation of obliquely incident water waves a trench. J. of Fluid Mechanics" 47-63, 1983

      6 "Computation of combined refraction-diffraction." 471-490, 1972

      7 "Analytical solutions for waves propagating over depressions of seabed" 2007

      8 "A new model for surface-wave propagation over undualting topography." 251-266,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