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葛洪 神仙思想의 형성과 철학적 체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2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 위진 시대에 형성된 갈홍의 신선사상에 관한 연구는 일차적으로 그 이전의 잡다한 사상형태들을 보여주는 전적들 및 위진 시대의 도교전적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

      가) 위진 시대에 형성된 갈홍의 신선사상에 관한 연구는 일차적으로 그 이전의 잡다한 사상형태들을 보여주는 전적들 및 위진 시대의 도교전적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 포함될 수 있는 전적들로는 {포박자}와 같은 갈홍의 저서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최초의 도교경전인 {太平經} 및 {老子想爾注}, 魏伯陽의 {參洞契}와 魏晋 시대의 道敎를 예증하는 上淸派의 {大洞眞經}, {黃庭經}, {靈寶經}, 南北朝 시대의 道敎를 반영하는 {黃庭經}, {陰符經}, 寇謙之의 天師道에 관한 전적들, 및 儒佛道交涉史를 예증하는 顧歡의 {夷夏論} 등이다.
      나) 魏晋時代의 道敎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에 관한 자료들을 조사하고, 그러한 사건들과 관련된 유적, 유물에 대한 탐사를 통하여 葛洪의 신선사상이 성립된 시대배경과 문화적 기반을 확인함으로써 그것의 성립동기들을 면밀히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葛洪의 도교적 활동의 주요한 근거지가 되었던 곳이 廣州 羅浮山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당시 廣州는 주로 越族들의 거주지였으며, 葛洪이 관심을 가졌던 外丹法 즉 服藥 등의 養生法이 越族을 비롯한 南方民族의 문화적 전통이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당시 孫恩.盧循의 반란과정에서 交州와 함께 廣州지역은 밀접한 관련을 갖는데, 여기에는 五斗米道로 불렸던 도교 계통의 종교집단이 간여되었을 뿐 아니라 그들의 행동과 이념체계에서는 神仙에 대한 강한 믿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葛洪의 神仙思想을 지역과 종족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할 때, 이후 寇謙之 등에 의한 北方道敎 및 山東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별도의 神仙思想의 계열과는 구분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결과적으로 중국의 신선사상의 類型과 系譜를 분류하고 그 각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 다음으로 상기 전적에 나타난 葛洪 신선사상의 논리적 체계를 분석하고 그 철학적 특징과 중국 철학사상에서 갖는 의미를 규명한다. 葛洪은 그의 행적이 廣州地域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그는 분명 당시 중화적 전통의 사상과 가치체계로 교육받고 또 이를 전수한 대표적인 중국지식인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의 神仙思想을 비롯한 철학체계는 철학사적 위상에서 볼 때 中國古典에 바탕을 둔 魏晋時代 學人들의 사유체계의 연장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후대 도교의 원형으로 간주되는 위진시대에 형성된 도교적 세계관, 자연관, 인간관 등이 지니는 특징을 파악함과 더불어 그 철학적 구조 내지 체계를 분석하고 해명하여, 그러한 철학적 발전내용이 葛洪의 神仙思想에서 갖는 의미를 검토할 것이다.
      라) 나아가 갈홍의 신선사상이 갈홍 이후의 도교사상이나 동아시아 도교사상의 형성에 미쳤고, 나아가서는 현재 동아시아인의 의식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전제 아래 현재 우리 주변에서 주어지는 문제들 즉, 현대적인 문제와의 연관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i) 20세기들어 활성화된 현재 중국에서의 도교연구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ii) 현재 중국에서의 도교를 포함한 과거의 전통철학사상들에 대한 연구상황 및 전통철학에 대한 철학계 및 일반인들의 시각을 분석하고, iii) 사상의 정체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교의 영향력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실태를 파악하는 작업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곧 葛洪의 신선사상이 동아시아의 사유체계에서 갖는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