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농촌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gricultural Facilities for Developing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3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Recently, the scale and technical complex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en growing. Therefore, agricultural facilities are being gradually diversified, expanded, and made more complex. To furnish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with int...

      Abstract
      Recently, the scale and technical complex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en growing. Therefore, agricultural facilities are being gradually diversified, expanded, and made more complex. To furnish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thus necessary to introduce new management techniques. The PCM (procurement-construction-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facilities is established by setting up its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In this study, the WBS of a facility such as facility, space, element, works, and resources is analyzed. Following this analysis, a WBS of an agricultural facil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CM inform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facility, is proposed by deriving it from actual WB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농촌에서는 농업규모의 증가, 기술적 복합성 증가, 대량 생산으로 시설물이 점차 다양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관리기술이 ...

      최근 들어 농촌에서는 농업규모의 증가, 기술적 복합성 증가, 대량 생산으로 시설물이 점차 다양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관리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시설물에 대한 분류체계 및 코드부여 작업을 통해 PCM (조달-시공-유지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시설물(Facilities), 공간(Spaces), 부위(Elements), 공종(Works), 자원(Resources)의 5가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농촌시설물에 적합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농촌시설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순으로 위계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비닐하우스는 프레임 공간과 시설물 마감공간으로 구분하여 자재코드를 부여하였다. 온실의 경우는 창호의 형태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였으며, 축사는 H-beam축사, Pipe축사로 구분지어 코드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류코드는 향후 조달·시공·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제품의 부품화와 모듈화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 농민이 직접 설치 시공 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및 교체부품의 정확한 구분으로 인해 폐기물을 최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재, "효과적인 경엉정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335-349, 1994

      2 박환표, "한국건설정보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12 (12): 231-239, 1996

      3 백승호, "프로젝트 분류체계를 활용한 현장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15 (15): 167-176, 1999

      4 김학래,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기반 건설정보 온톨로지 구축" 한국전자거래학회 9 (9): 95-112, 2004

      5 전홍강, "정보시스템 개발인력 분류체계" 1 (1): 61-72, 1994

      6 강인석,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2 (2): 80-93, 2001

      7 최오영, "농업건축물 분류체계 현황 및 문제점 파악에 관한 연구" 9 (9): 253-257, 2009

      8 김병수, "국내외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9 전영일, "건축정보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 분류체계 비교 연구" 109-125, 1993

      10 건설교통부, "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 공고 제2006-281호"

      1 이영재, "효과적인 경엉정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335-349, 1994

      2 박환표, "한국건설정보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12 (12): 231-239, 1996

      3 백승호, "프로젝트 분류체계를 활용한 현장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15 (15): 167-176, 1999

      4 김학래,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기반 건설정보 온톨로지 구축" 한국전자거래학회 9 (9): 95-112, 2004

      5 전홍강, "정보시스템 개발인력 분류체계" 1 (1): 61-72, 1994

      6 강인석,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2 (2): 80-93, 2001

      7 최오영, "농업건축물 분류체계 현황 및 문제점 파악에 관한 연구" 9 (9): 253-257, 2009

      8 김병수, "국내외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9 전영일, "건축정보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 분류체계 비교 연구" 109-125, 1993

      10 건설교통부, "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 공고 제2006-281호"

      11 이재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개념적 기반에 관한 연구" 16 (16): 3-12, 2000

      12 日本建築學會, "新建築學大系 44" 建築生産System 1984

      13 SWAC, "building Construction Index"

      14 AIA, "Standard Filing System"

      15 AGCA, "Field Cost Accounting"

      16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home page"

      17 CSI, "CSI Format"

      18 RIBA, "CI/SfB Construction Indexing Manual, RIBA"

      19 농림수산식품부, "2005 채소생산실적 및 화훼 생산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6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