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계층과 관련된 진로발달 연구동향 분석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A systemic review on career development research focusing on social class: Keywor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2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study involv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career development. We examined trends in vocational research published in a Korean peer-reviewed journal that focused on social class or socioeconomic s...

      Our study involv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career development. We examined trends in vocational research published in a Korean peer-reviewed journal that focused on social class or socioeconomic status, using samples of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of 94 studies that included social class or related keyword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2.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ise in the number of manuscripts per year starting in 2013, reaching a peak in 2020, and subsequently experiencing a slight decrease. Second, career papers focusing on social class were published in diverse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al welfare, vocational, youth, and education journals.
      Most of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followed by college students or adults, and the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comprised the majority, making up 72% of the total. Fourth, the main keywords were "youth," "poverty," "relationships," and "maturity," indicating that many studies centered on the experiences of impoverished youth, the exploration of related variables, and career maturity. Finally,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by major keywords resulted in three clusters: cluster 1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career-related constructs for college students), cluster 2 (testing program effectivenes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cluster 3 (broadly exploring career-related factors for adolescents). Last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실린 학생(초·중·고·대학생) 대상 진로발달연구 중 사회계층 또는 사회경제적지위를측정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흐름�...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실린 학생(초·중·고·대학생) 대상 진로발달연구 중 사회계층 또는 사회경제적지위를측정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 향후 진로교육에서 사회계층과관련된 연구와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00년에서 2022년까지 사회계층 또는 관련 키워드를포함한 국내 학술지 논문 94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2013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 2020년에 정점을 찍고 그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흐름이 나타났다. 둘째, 복지, 직업, 청소년, 교육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회계층을 다룬 진로논문이 출판되고있었으며, 연구대상별로는 고등학생, 대학생(성인), 중학생 순으로 연구가 활발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으로는양적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물이 전체의 72%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청소년’, ‘빈곤’, ‘관계’, ‘성숙’ 등이 빈번하게등장한 주요 키워드로 나타나 청소년의 빈곤경험, 관련된 변인의 탐색, 진로성숙과 관계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음을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키워드별 군집분석 결과는 대학생 대상 진로관련 구인 간 관계 연구 군집1, 저소득가정아동 대상 프로그램 효과성 또는 제도적 지원에 대한 군집2, 청소년 대상 진로 관련 요인을 광범위하게 탐색한 연구군집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