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월남 아동작가와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강소천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Author and Diasporic Imagination-Based on Kang So-chun’s 1950’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강소천은 북한에서 생활 근거를 박탈당하고 고향을 떠나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작고하기 전까...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강소천은 북한에서 생활 근거를 박탈당하고 고향을 떠나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작고하기 전까지 한 시대를 주도하였다. 월남 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을 규율하는 근본 요소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상상력을 부인할 수 없다. 그동안 전후 월남 아동작가의 작품은 유사한 관점으로 균일하게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의식과 연결하여 규명하게 되면 작가 개인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찰하는 동시에 해방 이후의 역사와 문학(사)을 보다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직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실,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들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찾고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현상(現象)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작품을 보다 폭 넓게 읽으려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살핀 바에 의하면, 강소천 작품의 많은 부분에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띄고 있었다. 작가는 한편으로 이산자로서의 근원적 정체성을 찾지만 다른 한편으로 응축된 몸부림을 내재하였다. 이는 분단 현실에 대한 단순한 대응이 아니라 망명자로서의 죄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지배문화와 지배체제에 동조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망명자라는 기표, 즉 전후 디아스포라 의식의 표상과 작품화라는 측면으로 분석한다면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강소천의 작품 곳곳에서 디아스포라 의식에 따른 귀향과 향수의 세계, 전후 현실에 대한 환멸의 서사, 환상의 초월과 탈주의 세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월남 작가들에게 씌워진 프레임, 즉 반공 이데올로기적 편견에서 벗어나 한층 근원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시각이 제공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asporic imagination shown in the works of Kang So-chu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ang So-cheon led an era until his death in North Korea, when he was deprived of his living grounds and left his homet...

      This study examines the diasporic imagination shown in the works of Kang So-chu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ang So-cheon led an era until his death in North Korea, when he was deprived of his living grounds and left his hometown to settl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fundamental element of discipline in the works of Kang So-chun, the North Korean refugee writer, cannot deny diasporic 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It is true that the works of post-wa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writers have been studied uniformly from a similar perspective. However, if it is identified in connection with the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critical and objective to examine the literary identity of the individual writers and to face up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n fact, this study started with a broader reading of the works by looking at the diaspora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nd looking at how it was developed in their works.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Kang's works contain plenty of diasporic imagination. On the one hand, the author seeks the fundamental identity of the disciple, but on the other, embodies condensed strugg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 sense of guilt as a refugee, not just a response to the reality of division. Of course, he created works that sympathized with the ruling culture and system. However, if thi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exile, namely the expression and work of post-war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Kang So-cheon's works include a world of homecoming and nostalgia following diaspora rituals, a narrative of disillusionment with the post-war reality, and a world of fantasy and deser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by evading the frame, or anti-communist ideological prejudice, these existing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will provide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덕, "한국전쟁과 종군작가" 국학자료원 2002

      2 류동규, "전후 월남작가와 자아정체성 서사" 역락 2009

      3 장영미,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2) : 205-229, 2012

      4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5 이충일, "순수주의의 아동문학과 ‘꿈’의 해석 - 강소천 동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8) : 35-63, 2016

      6 박선양, "디아스포라의 불온한 주체성— 수잔 최의『외국인 학생』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회 71 (71): 373-399, 2019

      7 김유순, "디아스포라 문학에 발현된 생존전략-체험과 담론의 경계와 관련하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8) : 61-92, 2018

      8 강소천, "꿈을 찍는 사진관" 교학사 2006

      9 강소천, "꽃신을 짓는 사람" 교학사 2006

      10 강소천, "강소천 소년문학선" 경진사 1954

      1 신영덕, "한국전쟁과 종군작가" 국학자료원 2002

      2 류동규, "전후 월남작가와 자아정체성 서사" 역락 2009

      3 장영미,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2) : 205-229, 2012

      4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5 이충일, "순수주의의 아동문학과 ‘꿈’의 해석 - 강소천 동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8) : 35-63, 2016

      6 박선양, "디아스포라의 불온한 주체성— 수잔 최의『외국인 학생』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회 71 (71): 373-399, 2019

      7 김유순, "디아스포라 문학에 발현된 생존전략-체험과 담론의 경계와 관련하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8) : 61-92, 2018

      8 강소천, "꿈을 찍는 사진관" 교학사 2006

      9 강소천, "꽃신을 짓는 사람" 교학사 2006

      10 강소천, "강소천 소년문학선" 경진사 1954

      11 김수영, "강소천 동화의 특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12 장수경, "강소천 동화에 나타난 월남의식과 서사의 징환" 한국문학연구학회 (48) : 253-283, 2012

      13 정주아, "‘정치적 난민’의 공간 감각, 월남작가와 월경의 체험" 한국근대문학회 (31) : 39-63, 2015

      14 선안나, "1950년대 동화·아동소설 연구 :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1-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4-1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re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 and Traslation's Institute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