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로컬푸드체험관광이 지역의 음식가치, 이미지, 애호도 및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local food experience tour on the value, image,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local f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95590

      • 저자
      • 발행사항

        경주 : 慶州大學校,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慶州大學校 大學院 , 觀光學科 ,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6.392 판사항(6)

      • DDC

        338.479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i, 181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41-16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신경주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as to how the food value experienced after an experience tour of local food influences the value of the local region and how the perceived image of the local reg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of that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as to how the food
      value experienced after an experience tour of local food influences the
      value of the local region and how the perceived image of the local reg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of that region. The purpose was to help with
      the popularization of local regions and to suggest ways to use local food
      for experience tour, which has recently become popular, through a
      substantial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trends of local studies
      on the local food experience tour which are not yet very popular in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goa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1
      • 2. 연구목적··············································································································7
      • 제 2 절 연구범위와 구성 ·························································································9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1
      • 2. 연구목적··············································································································7
      • 제 2 절 연구범위와 구성 ·························································································9
      • 1. 연구범위 ············································································································9
      • 2. 연구구성 ···········································································································12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4
      • 제 1 절 로컬푸드체험관광 ···················································································14
      • 1. 로컬푸드체험관광의 개념···············································································14
      • 2. 로컬푸드체험관광의 측정유형 ·······································································19
      • 제 2 절 지역의 음식가치 ·····················································································36
      • 1. 음식가치의 개념 ·······························································································36
      • 2. 음식가치의 측정유형·······················································································38
      • 제 3 절 지역 이미지 ······························································································40
      • 1. 지역 이미지의 개념·························································································40
      • 2. 지역 이미지의 측정유형 ·················································································46
      • 제 4절 지역 애호도 ································································································48
      • 1. 지역 애호도의 개념·························································································48
      • 2. 지역 애호도의 측정유형 ·················································································54
      • 제 5절 지역 활성화 ································································································58
      • 1. 지역 활성화의 개념·························································································58
      • 2. 지역 활성화의 측정유형 ·················································································60
      • 제 3 장 연구방법 ····························································································63
      • 제 1 절 연구 모형 ··································································································63
      • 제 2절 가설 설정 ····································································································64
      • 제 3 절 측정변수의 설정과 분석 방법 ····························································79
      • 1. 측정변수 설정···································································································79
      • 2. 분석 방법 ···········································································································83
      • 제 4 장 분석 및 결과해석 ···········································································85
      • 제 1 절 기초자료 분석 ··························································································85
      • 1. 인구 통계학적 특성·························································································85
      • 2. 로컬푸드의 이용형태·······················································································86
      • 3. 체험관광의 이용형태·······················································································90
      • 제 2 절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정 ·······························92
      • 1.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92
      • 2.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정·················································································97
      • 제 3 절 확인적 요인분석(CFA) ·······································································104
      • 1. 로컬푸드 체험관광 활동···············································································105
      • 2. 측정척도의 단일 차원성 검정 결과···························································121
      • 제 4 절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 ·········································································123
      • 1. 이론적 모형분석. ····························································································123
      • 2. 수정모형분석 ···································································································124
      • 3. 가설의 검정 ·····································································································126
      • 제 5 절 연구모형의 이론적 변수간 효과 ······················································128
      • 제 5 장 결론 및 시사 ··················································································131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131
      • 제 2 절 연구시사 ··································································································136
      • 1. 이론적 시사점·································································································136
      • 2. 실무적 시사점·································································································137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40
      • 참고문헌 ······················································································································141
      • 설문지 ···························································································································167
      • Abstract ······················································································································17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종덕, "미국의 농민시장", 사회연구, 15, 213-238, 2004

      2 김제시청, "홈페이지 (http://www", gimje.go.kr), null

      3 평택시청, "홈페이지 (http://www", pyeongtaek.go.kr), null

      4 류선무, "농촌관광 성공전략", 백산출판사, 2000

      5 이태희, "『관광상품기획론』", 백산, 2000

      6 이병오, "푸드투어리즘 활성화", 소이월드 홈페이지 (http://www.soyworl d.org), 2009

      7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분석AMOS 7.0", 학현사, 2007

      8 김양숙, 홍경완, 김지영, "로컬푸드의 개념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2(3), 1629-1649, 2009

      9 이장주, "향토축제의 지역 활성화", 한국국토도시계획학회, 221, 3-15, 2000

      10 이동필, 최경은,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 김종덕, "미국의 농민시장", 사회연구, 15, 213-238, 2004

      2 김제시청, "홈페이지 (http://www", gimje.go.kr), null

      3 평택시청, "홈페이지 (http://www", pyeongtaek.go.kr), null

      4 류선무, "농촌관광 성공전략", 백산출판사, 2000

      5 이태희, "『관광상품기획론』", 백산, 2000

      6 이병오, "푸드투어리즘 활성화", 소이월드 홈페이지 (http://www.soyworl d.org), 2009

      7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분석AMOS 7.0", 학현사, 2007

      8 김양숙, 홍경완, 김지영, "로컬푸드의 개념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2(3), 1629-1649, 2009

      9 이장주, "향토축제의 지역 활성화", 한국국토도시계획학회, 221, 3-15, 2000

      10 이동필, 최경은,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동필,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허남혁, "21세기 신토불이, 로컬푸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경향잡지, 6(1671), 20-23, 2007

      13 채예병, 박경호, "그린투어리즘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관광경영학회, 7, 317-346, 2000

      14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11

      15 배병렬, "Amos17,0 구조방정식모델 제2판", 도서출판 청람, 2009

      16 김종덕, "식량체계 전환의 필요성과 과제", 농정연구, 15, 101-139, 2005

      17 허남혁, "학교급식과 지역 농산물 직거래", 녹색평론, 89, 36-45, 2006

      18 김종덕, "한국의 대안농업과 농촌의 미래", 쌀.삶.문명연구원, 쌀 삶 문명연구원, 3, 161-182, 2009

      19 배병렬,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 서울", 청람출판사, 2005

      20 박시현, 김태균, 조재환, 박준형, "농촌관광에 대한 도시민 선호분석", 한국농업정책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경영 정책연구』, 30(3), 387-401, 2003

      21 소이, 이민수, 장현옥,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농업경영 정책연구, 40(2), 248-269, 2013

      22 김용우, "로컬푸드운동과 농업 농촌 살리기", 녹색평론, 93, 70-81, 2007

      23 홍경표,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4 김종덕, "천안의 지산지소운동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학, 10(2), 109-135, 2009

      25 이상엽, 황창주, "친환경농산물의 구매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학회, 2009(0), 519-544, 2009

      26 오영준, "테마파크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 20, 157-184, 2005

      27 이영주, "강원도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7

      28 허남혁, "글로벌푸드, 내셔널푸드, 로컬푸드",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 연례학술대 회, 47-49, 2006

      29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한국사회, 12(1), 111-133, 2011

      30 허남혁, "제고장 먹거리 담론: 쟁점과 가능성", 한국농촌사회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발표집, 86-97, 2006

      31 윤병선, "지역먹거리운동의 전략과 정책과제", 농촌사회, 19(2), 93-121, 2009

      32 김종덕, "지역식량체계 농업회생방안과 과제", 농촌사회, 17(1), 5-32, 2007

      33 국승영, "로컬푸드와 지역 농식품산업의 활로", 농업전망 2012, Ⅰ, 453-479, 2012

      34 고동우,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5 朴石熙, 夫素榮, "관광 후 이미지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26(1), 47-62, 2002

      36 김형길, 김정희, 안순화, "도시 브랜드 개성의 결정 요인과 결과", 한국경영학회, 한국 경영학회, 2008(0), 1-21, 2008

      37 양정영(Jeong-Yeong Yang), 손선미(Seon-Mi Son), "문화관광에서의 체험마케팅 활용방안", 한국여행학회, 한국여행학회, 16, 45-66, 2002

      38 이정환, 서운석 ( Woon Seok Suh ), 오대원 ( Dae Won Oh ), 홍정륜 ( Jung Ryun Hong ), 이은영 ( Eun Young Lee ), 유정원 ( Jung Wong Lee ), 구기보 ( Ki Bo Ku ), 이상만 ( Sang Man Lee ), 박상수 ( Sang Soo Park ), "중국7대 지역권의 대한국 이미지 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한중사회과학학회, 27, 233-271, 2013

      39 Singer, P., "Animal Liberation(김성한 역(1999), 동물해방", 인간사랑, 1975

      40 강평년(Kang Pyong Nyun), "도시민의 농촌관광지 선호에 관한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회, 18(3), 3-21, 2005

      41 노경호, 손선미, "문화관광의 체험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13호, 63-82, 2002

      42 윤희정, "향토음식관광의 시. 공간 변화 및 관계", 한국관광학회, 37(9), 147-166, 2013

      43 송광인, "농촌관광을 통한 농촌지역 활성화 방안", 한국여행학회, 22, 91-111, 2005

      44 김철규, "로컬푸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2009 국제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

      45 현혜경, "제주지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전망", 탐라문화, 35, 107-140, 2009

      46 김현정, 고동완,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27(3), 97-114, 2003

      47 김도형, "지역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육성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91, 1-154, 2013

      48 이호철, "그린투어리즘에 의한 지역사회 개발방안",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 10, 167-203, 2000

      49 조세훈, "협동조합지역사회: 원주지역에서의 실험", 생협전국연합회 2007 년 제2차 정책토론회 사례 발표문. (2007. 11. 15), 2007

      50 정은미, 정천섭, "로컬푸드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2012

      51 박진도, "성장동맹에 맞선 저항 농촌에서 시작하자", 프레시안 기사, 2008

      52 김도영, "웹 여행정보시스템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한국호텔관광학회, 22, 105-118, 2006

      53 조상필, 이동신 ( Dong Shin Lee ), "21세기 전남 도서 지역 산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한국도서(섬)학회, 15(1), 25-45, 2003

      54 김철원, "관광호텔의 브랜드 자산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협회, 20(2), 103-124, 2005

      55 이동필, "농촌개발의 호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 과제", 국토연구원, 305, 102-111, 2007

      56 김동호, "토종식품자원의 가능성, 포스터 발표 논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 57-57, 2000

      57 김민주, "관광지 이미지 측정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19, 93-114, 2003

      58 김승권, 안영진, 김화환, "광주광역시 지역 생협의 로컬푸드 활용구조", 국토지리학회지, 48(2), 203-215, 2013

      59 윤희정, Yun, Hee-Jeong, "도시민의 농촌 어메니티 자원 체험욕구 분석",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 36(1), 28-37, 2008

      60 박여성, "융합기호학의 프로그램으로서의 음식 기호학", 한국기호학회, 14, 129-170, 2003

      61 강재정, "관광동기 이미지 재방문의도간 구조적 관련성", 한국관광학 회, 26(4), 221-238, 2003

      62 고태호, 엄정현, 오윤정, "농촌관광프로그램 개발 및 수익창출전략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2), 119-21, 2010

      63 허남혁, "로컬푸드와 등장배경과 향후 제도화의 가능성", 브라이언 핼웨이, 2006

      64 김범수(Kim Bum-Su), 이주희(Lee Ju-Hee), 한상열(Han Sang-Yoel), "한국과 일본의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대한관광경영 학회, 16(1), 83-103, 2001

      65 구자룡, 이정훈, "도시브랜드 자신의 평가와 지수화에 관한 연구", 한국 생산성학회, 22(3), 177-206, 2008

      66 노경희, "이벤트 만족이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벤트컨벤션 연국, 61-77, 2006

      67 김진수, "지역 이벤트와 고유성,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12(0), 83-99, 2000

      68 김성혁, 김상회, "한국인의 가치를 이용한 여행사 선택 행동 특징",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한국호텔외식 경영학회, 6(1), 253-269, 1997

      69 김경모, 전북일보, "로컬푸드 1번지 완주, 용진농협 로컬푸드직매 장", 참여농가 확대 월소득 100만원 실현, 2012

      70 김종덕, 허남혁, 구준모, "로컬푸드: 먹거리-농업-환경, 공존 의 미학, 이후", 부록 258-272, 2006

      71 김정구, 안용현, "브랜드 개성이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한 국광고학회, 11(4), 65-85, 2000

      72 윤병선, "세계 농식품체계 하에서 지역먹거리운동의 의의", 한국환경사회학회, ECO 12(2), 89-115, 2008

      73 이유재, "고객만족이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 학회, 21(2), 85-113, 2006

      74 우장명, 홍기운, "로컬푸드를 이용한 충북농업 농촌의 활성화 방안", 지 역정책연구, 22(2), 105-127, 2011

      75 이현종, "체험관광동기에 따른 관광 목적 자유형 선정 연구", 한국관광연 구학회, 21(1), 69-81, 2007

      76 오상현, 김상현,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韓國産業經營學會, 『경영연구』, 17(1), 1-28, 2002

      77 윤병선, "로컬푸드 관점에서 본 농산가공산업의 활성화방안", 산업경제연 구, 21(2), 500-522, 2008

      78 고장석, "로컬푸드시스템과 학교급식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 회지, 16(2), 289-302, 2011

      79 姜信謙(Kang Shin-kyum), 崔承淡(Choi Seung-dam ), "관광지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 측정척도 개발",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26(1), 103-117, 2002

      80 전창곤, "농산물 공동브랜드화 유형과 성공요인 및 발전방안",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 연구, 21(1), 1-24, 2004

      81 나운봉, 로저마샬, "전국 브랜드와 지방브랜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8(3), 135-147, 2003

      82 박옥희, "관광체험이 관광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0

      83 박창원, 주경로, 권혁정, "농촌마을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자원 평가기법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0(1), 9-17, 2004

      84 류선무, 서동채, "농촌마을종합개발 모댈개발 연구 , 농립수산 식품부", 문 화관광부(2007), 2008

      85 김진수, "문화적 고유성이 관광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2

      86 윤병선, 유학렬, "로컬푸드의 실태 및 충남의 실천과제. 충남리포트, 22", 충남발전연구원, 2009

      87 권기대, 김신애,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실태와 성공요인분석", 한국농업정책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경영정책연구, 38(4), 1007-1031, 2011

      88 최진희, "지역축제로서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발전과정 및 평가", 경상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89 박찬우, "농촌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세분시장 특성에 관한 연구", 국제지 역연구, 14(1), 257-277, 2010

      90 김창수,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지역발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정책학회, 한국관 광정책학회, 11(2), 117-136, 2005

      91 손수진, 신흥철, "관광도시 이미지 홍보 효과로서의 문화축제 제고 방안", 한국문화관광학회, 7(1), 45-69, 2005

      92 채예병, "관광이미지가 사후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관 광연구학회, 23(3), 183-197, 2009

      93 이광희, "지역발전을 위한 지식센터의 확산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한국도 시행정학회, 13(2), 229-252, 2000

      94 정석순, 이준엽(Jun Yup Lee), "전시의 체험요소(4ES), 방문 가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한국 관광연구학회, 25(2), 175-193, 2011

      95 박영선, 서정원, 김종호, 김성학, "산촌 생태마을 유형별 주민 보완 요구 및 기대효과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한국 농촌계획학회, 19(1), 71-80, 2013

      96 허남혁,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개념정립을 중심으로", 농정연 구, 38, 113-140, 2011

      97 권향숙, "지역축제의 브랜드자산이 방문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8 김복일, 오영준, "광주 전남지역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 한국 관광정보학회, 2, 195-226, 1998

      99 이희찬, "농촌 어메니티 관광자원 가치창출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농촌 진흥청, 2008

      100 양봉석, "문화관광지의 관광체험과 고유성, 관광만족의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01 권기철, 주수현, "부산지역 경제의 산업구조 전환에 따른 노동력 수급방안", 한국국민경제학회, 한국 경제통상학회, 6(1), 345-371, 1997

      102 윤병선, "충북지역의 로컬푸드시tm템 도입과 로컬커버넌스의 구축", 한국 행정학회 공동 학술대회, 2198-2209, 2010

      103 김동준, "호텔 브랜드자산이 지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 국외식경영학회, 15(4), 85-104, 2012

      104 강승구, 여호근(Yeo Ho-Keun),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한국관광·레저학회, 한 국관광레저학회, 14(1), 69-84, 2002

      105 김정준, 송광인, "관광객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농촌체험관광 영향관계연 구", 한국농촌계획학회,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2), 47-54, 2009

      106 조문식, 최해수, "단종문화 축제의 참여 동기와 축제 이미지간의 관계 연 구", 한국관광산업학회, 한국관광산업학회, 2004, 439-456, 2004

      107 홍수희, "문화관광지 서비스품질, 관광객 만족 및 반응의 관계 연구", 동아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08 박상수, "기획여행상품의 품질수준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관 광경영학회, 3, 75-88, 1998

      109 조세훈, "로컬푸드(Local Food)운동과 지역순환경제: 학교급식지원센터", 강원도 사회적 기업 토론회 원고, 12. 05, 2008

      110 이순갑, 하규수, "아파트 구매행동에 미치는 지역이미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1), 171-200, 2007

      111 노원중, "축제 서비스 스케이프가 축제 및 축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 국문화관광학회, 16(1), 55-70, 2014

      112 강인호, 이은미 ( Eun Mi Lee ), "관광목적지 이미지와 관광동기가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한국관광산업학회, 24, 47-63, 2007

      113 강인원, "농촌관광 선택속성과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구조관계 분석", 농촌관광연구, 13(4), 1-25, 2009

      114 Berry, L. L., Zeithaml, V. A., Parasuraman, A.,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2), 31-46", 언론자료, 1996

      115 송광인, "농촌관광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사 회과학논총, 22, 111-126, 2006

      116 윤대순, "외래관광자를 위한 민박가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한국외식경영학회, 4(1), 183-202, 2001

      117 박영배, "외식산업 브랜드개성, 관계의 질, 고객만족, 충성도 관계 연구", 한 국외식경영학회, 12(5), 187-204, 2009

      118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111-133, 2011

      119 임지원, "한국 전통음식이 외래 관광객 여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0 송광인, "한국의 그린투어리즘 발전 방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식품연구원, 2(3), 89-92, 2009

      121 김경미, "우리농산물을 이용한 학교급식 및 권역별 공동식단 요구도 조 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9, 236-236, 2009

      122 김영철, "로컬푸드와 사회적 기업: 대구경북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경 제",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87-109, 2010

      123 박혜경, "가치의 실제 자기 중요도 및 지각된 사회적 중요도와 행동의 관 계", 한국심리학회, 26(3), 25-43, 2012

      124 이태희, "관여도 수준에 따른 지방축제 관광객 시장 세분화 방법 비교 연 구", 한국관광학회, 26(1), 135-148, 2000

      125 남현욱, "정부권력구조의 문제점과 개혁 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 (KISTI)", 한국공공정책학회, 4, 19-31, 1999

      126 윤병선, 박대호, 우장명, "지역먹거리와 지역경제. 허남혁 등. 먹거리 종 합정책에 관한 연구", 국회사무처, 89-131, 2010

      127 최영창, "청소년 농촌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 만족도 및 충성도의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28 정삼철, "6차산업을 위한 농어촌 향토자원과 충북농촌의 미래발전 대응 방안", 충북동향전망대, 22, 3-12, 2013

      129 김홍범, 장호성, "관광지 방문 후 이미지가 관광개의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2(3), 209-229, 2008

      130 김신애, "브랜드카리스마의 선행요인과 결과: 농식품파워브랜드를 중심으 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1 안광호, "고객자산 구성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6(1), 23-35, 2011

      132 한상겸, "농촌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7(2), 3-16, 2011

      133 안세길(Seh-Kil Ahn), 송광인(Kwang-In Song), "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체험관광 코디네이터 육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행학회, 한국여행학회 여행학연구 22권, 2005

      134 조광익,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 효과 분석", 한국관광학회, 26(2), 31-51, 2000

      135 이용기, "농산물 무역 자유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조화: NTC와 최적시 장 개방",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농업경제학회, 45(2), 29-53, 2004

      136 현혜경, "제주지역 생협조합원들의 ‘로컬푸드(local food)’에 대한 인식과 실천", 탐라문화연구, 36, 261-299, 2010

      137 박재관, "지역축제의 환경단서와 관광체험이 축제개최효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40, 22-35, 2011

      138 민승규, "한국농업의 새로운 경쟁력: 농업벤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벤처기업협회, 109, 12-15, 2007

      139 윤병선, 우장명, "로컬푸드를 활용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관한 연구. 충북 개발연구원", 기본과제 09-13, 2009

      140 박동진, "향토산업육성사업의 현항과 발전과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33(4), 619-628, 2012

      141 민양기, 이윤섭, "농촌관광 선택속성이 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 치는 영향 연구", 한국여행학회, 여행학연구, 33, 73-92, 2012

      142 한학진, "수단-목적사슬(Means-end chain)이론을 적용한 국내 전통주의 가치구조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12(2), 205-227, 2009

      143 이수진, "6차산업 현장 활용을 위한 의식 중심형 농가 레스토랑 만족도 제고 연구", 관광경영학회, 61, 287-306, 2014

      144 이준엽, 이유재, "서비스 품질의 측정과 기대효과에 대한 재고찰:KS-SQI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16(1), 1-26, 2001

      145 손선미, "농촌 전통시장이 관광 상품성, 방문객 만족, 지역 충성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한국호텔관광학회, 53, 79-97, 2014

      146 김용만,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가 서비스만족과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5, 103-124, 2000

      147 황태규, 송철호, "도시브랜드 구성요소가 도시브랜드 개성과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7(2), 185-213, 2011

      148 김수진, "전통마을 공동체적 공간의 의미해석- 전남 영광군 효동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25(3), 94-105, 2007

      149 강석우, 고범석, "대구지역 향토음식의 인식도에 관한연구: 대구 동인동 찜갈비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 10(4), 15-30, 2004

      150 조세훈, "로컬푸드 운동의 목표와 실천방안. 원주협동조합운동협의회 사 무국장, 11", 6 (사)농정연구센터 제 16회 연례 심포지엄, 2008

      151 최수근, 이승익, "패밀리 레스토랑 메뉴 품질이 고객만족, 신뢰, 재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한국조리학회지, 15(1), 16-29, 2009

      152 박중환, 이정실, "패스트푸드 서비스의 품질, 만족, 이미지, 그리고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한국마케팅관리학회, 7(1), 267-291, 2002

      153 박주영, 황지영, 이태숙, "문화관광축제의 진정성 인식이 참가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 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36(7), 95-114, 2012

      154 강신겸, 최승담, "지역사회 애착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개념적 고찰: 관광개발에 대한 시사점", 『사회과학논총』, 20, 203-222, 2001

      155 김혜빈, 이준우, "로컬푸드 직판장 유형별 운영실태 및 출하농가와 소비 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203, 58-77, 2013

      156 김정헌, "지역활성화를 위한 지역 이미지 인식 및 실태, 서울대학교 한국 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2(4), 299-328, 2004

      157 박동균, "호텔 고객의 지각된 품질과 가치, 만족, 애호도,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15(1), 283-302, 2003

      158 전형연, "채널 브랜드 자산 척도깨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케이블 TV 채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8(4), 128-166, 2006

      159 이용기, 장경란, 이학식, "호텔산업의 시장지향성과 사업성과의 관계성 , 그리고 매개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11(4), 1-19, 1999

      160 박석희, 박상곤, "농산물 직거래에 대한 농촌관광의 효과: 농촌관광의 내 새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5(2), 189-206, 2011

      161 한을경, "문화관광축제가 지역 주민에게 미치는 파급효과.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여가관광연구, 2, 519-544, 1998

      162 김형길, 김정희, 안순화, "관광도시브랜드 속성의 관광도시브랜드개성, 관계품질,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져연구』, 22(2), 203-222, 2009

      163 김영면, "농어촌 체험관광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클러스트와 관광네트워크 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41, 25-49, 2009

      164 박병렬, "전통향토음식을 활용한 인제지역의 관광상품화 방안, 한양대학 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12, 123-144, 2000

      165 김상현, "농촌관광 체험활동이 서비스품질 만족과 농촌마을에 대한 태도 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66 이지환, "스키리조트의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 47(6), 479-489, 2008

      167 유창조( Chang Jo Yoo ), 황태규( Tae Gyu Hwang ), 이상현( Sang Hyun Lee), "도시특성평가가 도시브랜드개성과 도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한국마케팅학회, 10(3), 31-57, 2009

      168 강신겸, "농촌관광 새로운 농촌 활성화 전략. 대왕사. 뉴스쉐어 강원본부 유영미(2012. 04. 27)", 아침을 준비하는 원주 새벽시장, 2007

      169 이규진, 조미숙, 이종미, "미국 일간지의 한국음식 관련 기사 내용 분석 연 구: 뉴용타임즈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2), 289-298, 2007

      170 김시현, 하동현, "펜션이용객의 서비스품질, 체험품질, 체험만족, 및 애호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5(1), 1-21, 2010

      171 강신겸, "농촌관광 세계를 만나다 심포지엄: 농촌관광과 국제화 전략. 한 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농촌 관광대학, 2007

      172 최현우, "도시브랜드 구성요인이 소비자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73 박석희, "농촌관광박람회에 대한 참가자의 이미지와 만족도가 농촌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관광학회, 농촌관광연구, 12(2), 73-95, 2005

      174 박혜경,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실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5 서동채, "韓國푸드투어리즘 活性化方案에 관한 硏究. 강원대학교대학원, 농업 자원경제 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76 김자경, "로컬푸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주도민의 식생활 현황과 먹을거리 의식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20(2), 117-161, 2010

      177 부소영,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특성과 관광지 이미지 차이, 경기대학 교 관광종합연구소", 여가관광연구, 5, 47-62, 2003

      178 송건섭, "축제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대구. 경북의 지역축제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8(2), 7-25, 2004

      179 윤유식, 박덕병, "농촌관광마을 지역 주민의 사회자본이 농촌관광 개발효 과 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32(2), 193-211, 2008

      180 이혜연, 박덕병, "농촌관광 마을별 농촌관광 체험활동의 특성에 대학 비 교 연구: 상응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관광학회지, 12(1), 141-158, 2005

      181 민혜성, 정삼권, 변정우, "방한 일본인의 여행사품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여행자 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9(1), 219-235, 2010

      182 박동진, 손광영, "관광동기, 이미지, 기대, 만족 및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안동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28(3), 65-83, 2004

      183 김영찬, 김민정 ( Min Jung Kim ), 황세정 ( Se Jung Whang ) , "브랜드 자산과 고객 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세분 시장별 비교", 한국중소기업학회, 한국중소기업학회, 12(2), 93-115, 2009

      184 강승규, "도시(지역)브랜드 관리모텔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브랜드마 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85 권정택, "관광을 통한 지역활성화 운동의 태도에 관한고찰: 일본의 내발 적 발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14, 23-48, 1999

      186 윤유식, "농촌관광 여행 형태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연구: 이단계 군집분 석과 다중 로짓 모델 적용", 대한관광경영학회, 23(4), 337-351, 2009

      187 정우석, "Kitchen staff의 멘토 역량이 프로티제의 조직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급 호텔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88 고종화, "관광지 개발의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부 분 관광지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0(6), 155-176, 2006

      189 송기인, "의류 브랜드의 소비자 가치구조를 이용한 광고 전략개발: 수단- 목적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관공홍보학회, 6(1), 75-112, 2004

      190 강인호, 김명희,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 관광객 만족과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2(3), 359-380, 2007

      191 이흥재,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과 관광개발의 방향: 제 1 분과 지방도 시 문화 행정의 과제와 방향", 한국지방자치학회, 2000(1), 331-342, 2000

      192 변경숙, "패스트푸드점의 가치, 고객만족, 신뢰 및 전환비용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2(2), 37-58, 2007

      193 유승우, "지방자치 단체의 마케팅 전략과 과제, -지방특산물에 대한 마케 팅 전략: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52(601), 33-39, 2003

      194 현용호, "축제 방문동기 집단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9(3), 21-38, 2010

      195 고승익,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평가에 관한 연구:지역사회 애착도, 지역축제 영향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1(4), 177-198, 2007

      196 김동희, "Brand Equity 구성요소가 제품구매에 미치는 과정에 관한 연구, –관여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7 최현우, 이상복 ( Sang Bok Ree ), "농산물과 식품산업의 품질 속성과 지각된 품질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한국품질경영학회, 38(1), 108-114, 2010

      198 김영택, 장대성, "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패스트푸드 브랜드 간 비교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한국품질경영학회, 30(2), 26-46, 2002

      199 최영찬, 이민수, 박덕병, "계층적 회귀분석에 의한 청소년 농촌체험 서비스 품질의 만 족도 영향 결정 요인: 상호작용효과", 한국호텔관광학회, 한국호텔관광학회, 25, 98-113, 2007

      200 이승익, "향토음식 관광상품에 대한 인지도 및 시장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중심으로-",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1(2), 101-123, 2012

      201 이봉구,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후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에 관한 연구: 구조모형에 접근", 한국관광레져학회, 2005, 1-213, 2005

      202 박상규, "지역관광개발영향에 따른 주민의 지각이 애착도에 미치는 관계: 보령. 태안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36, 104-115, 2010

      203 채혜성, 진혜련 ( Hye Ryeon Jin ), "농업, 농촌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농특 산품 포장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3

      204 황영모, "농업, 농촌 유지의 기초단위, 농업 생산자 조직에 주목한다. -윤 종수 지음-, 농업생산조직 사례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205 노경희, 김창수,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축제 적합성과 지역발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시흥 갯골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1(5), 745-745, 2007

      206 이정갑, 임용택, "향토산업육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고창 군 복분자 천일염의 향토산업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섬)학회, 한국도서(섬)학회, 23(3), 55-80, 2011

      207 강승구, "관광이벤트의 사전, 사후 이미지와 만족, 추천의도의 관계: 제 8 회 부산국제영화제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컨벤션학회, 7, 37-58, 2004

      208 문승일, 윤동환, "브랜드 확장을 통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 청도 소싸움 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19(1), 3-14, 2007

      209 박석희, 김병국, 김용기, "농촌관광 이미지가 관광객 만족 및 재방문 의 도에 미치는 영향: 완주 창포마을과 아산 외암마을 사례로", 한국관광 학회, 37(1), 303-324, 2013

      210 고호석, 선종갑, "지역축제의 브랜드 자산, 브랜드 가치, 브랜드 애호도 의 영향 관계: 2010 한국의 술과 떡잔치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 회, 38. 77-88, 2010

      211 라선아, 이유재, "브랜드 퍼스낼리터,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자산 모 형-,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7(3), 1-32, 2002

      212 김흥렬, 이태희, 윤설민, "축제와 관광지 매력의 영향관계와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춘천국제마임축제와 위도 관광지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한국호 텔외식경영학회, 15(5), 243-260, 2006

      213 최경선, "함께 살아가는 세상 사회적기업이 해법이다, 땅과 생명을 살리는 착한 기업-청주 생명살림 올리 이혜정 대표.", 홍주일보, 2012

      214 오정근, "축제의 체험 속성과 환경단서가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체 험축제와 관람형 축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2(4), 301-324, 2008

      215 이성호, "고객 시민 행동의 주요 선행 및 결과 변수에 관한 연구: 기업과 고객간의 장기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11(4), 1-19, 2000

      216 박수경, 차태훈, 박지혜,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만족도,재방문에 미치는 영향: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76, 55-78, 2007

      217 박청인, "국립공원 취락지구 주민의 귀속감이 공원관리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적 연구: 계룡산국립공원 취락지구의 사례연구", 대한국토도시계 획학회, 35(1), 129-138, 2000

      218 윤유식, 지경배, "농촌관광마을 방문객 선호체험프로그램과 방문만족도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강원도 농촌관광마을 방문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한 국호텔관광학회, 27, 317-331, 2008

      219 김재홍, 백미영, 이혜연, "호텔 서비스의 관계혜택이 고객만족, 전환의도 및 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 대한관광경영학회, 대한관광경 영학회, 27(4), 117-139, 2012

      220 송태갑,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업추진 현황 및 개 선 방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주거 학회, 21(1), 131-139, 2010

      221 강신겸, "농촌민박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평창지역 농촌 민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 총, 22(1), 205-221, 2010

      222 하동현, "대구경북외래관광객의체험이체험의즐거움체험만족및애호도에미치는영향Pine과Gilmore의체험경제이론ExperienceEconomy을중심으로", 광고연구, 24(5), 359-380, 2009

      223 고동우, 김용만, "2002 한,일 월드컵 스폰서십 활동과 지각된 품질, 브랜 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의 인과 관계. 체육과학 연 구원", 체육과학연구, 14(4), 79-96, 2003

      224 유승우, "지역브랜드가 경쟁력이다. 파워브랜드의 육성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 이천의 쌀. 도자기. 시민장학회를 중심으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55(630), 52-61, 2006

      225 김상균, "관광정보와 방문동기에 따른 관광 이미지 형성과 관광지 충 성도간의 구조모델분석: 영국록그룹 “비틀즈” 테마시티 방문객을 대상 으로", 한국관광학회, 30(2), 299-319, 2006

      226 전대희, 김창수, "지역축제의 핵심 프로그램 가치가 고객기반 축제 브랜 드자산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령머드축제 핵심프로그램 참가 자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5(5), 349-373, 2011

      227 김영수, "지역농업특성화사업의 의미와 성과. 농정연구, 50(0), 79-96. 김영주․성야민․손은일(2012).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향토산업육성사업의 추 진모형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8(3), 1-1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