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기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하지 근기능과 발차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4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의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과 발차기 시 발끝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

      이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의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과 발차기 시 발끝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 18명을 대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군과 통제군을 각각 9명으로 설정하였으며, 4주간 주 5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근기능은 등속성 근기능 측정장비(CSMI, USA)를 이용해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굴곡 및 신전력을 측정하였으며, 발차기 속도는 발끝 속도를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LUKOtronic AS202, Austri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을 이용해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 person 상관분석을 .05 수준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중 신근력과 굴근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족관절 등속성 근기능 중 저측굴곡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발차기 시 발끝 속도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하지의 등속성 근기능 중 슬관절 신근력이 발끝 속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기간의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하지 근기능 향상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시합 전 짧은 기간의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결과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aekwondo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Taekwondo players’ athletic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hort term plyometric exercise on muscular functions of lower limbs 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aekwondo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Taekwondo players’ athletic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hort term plyometric exercise on muscular functions of lower limbs and tiptoe speed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their kick techniques. Methods: 18 male Taekwondo players that right feet are dominant in the ones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Jeonnam(the exercise group 9 persons, the control group 9 person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measuring variables are muscular functions of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and tiptoe speed in kicking. For the measured data, repeated measure 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20.0. Results: Extensor and flexor of the knee joi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plyometric exercise. lower flexor strength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plyometric exercise. Changes of tiptoe speed in kicking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iptoe speed and extensor strength of the knee joint. Conclusion: Taken together, short term plyometric exercise has found to have an effect of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of lower limbs and is thought to be suggested as a trai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before games. The effect of short term plyometric exercise on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muscular functions and kicking spe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정, "현대무용수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적용이 슬관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2 (12): 155-164, 2010

      2 조병준,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여고 농구선수의 등속성 슬관절 근력 및 근 파워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4 (44): 1207-1215, 2005

      3 김안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체력 및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0 (10): 201-211, 2012

      4 한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고등학교태권도 선수의 반응시간과 민첩성 및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10 (10): 165-171, 2002

      5 강인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방법이 근 파워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1987

      6 NSCA, "퍼스널 트레이닝의 정수" 대한미디어 2009

      7 박병주, "트레이닝방법의 차이가 태권도 선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 13 (13): 181-195, 2011

      8 유신환, "태권도 훈련기간이 유소년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363-373, 2004

      9 정찬모, "태권도 수련이 중학생의 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협회 12 (12): 11-22, 2010

      10 전희섭,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고정목표물과 움직임목표물에 따른 운동학적 차이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1 이소정, "현대무용수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적용이 슬관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2 (12): 155-164, 2010

      2 조병준,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여고 농구선수의 등속성 슬관절 근력 및 근 파워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4 (44): 1207-1215, 2005

      3 김안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체력 및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0 (10): 201-211, 2012

      4 한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고등학교태권도 선수의 반응시간과 민첩성 및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10 (10): 165-171, 2002

      5 강인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방법이 근 파워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1987

      6 NSCA, "퍼스널 트레이닝의 정수" 대한미디어 2009

      7 박병주, "트레이닝방법의 차이가 태권도 선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 13 (13): 181-195, 2011

      8 유신환, "태권도 훈련기간이 유소년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363-373, 2004

      9 정찬모, "태권도 수련이 중학생의 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협회 12 (12): 11-22, 2010

      10 전희섭,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고정목표물과 움직임목표물에 따른 운동학적 차이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11 지용석, "태권도 몸통 돌려차기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995-1004, 2008

      12 박현식,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시 숙련자와 비숙련자간 단계별 주동근의 동원양상 및 피로도 분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3 정현도, "전자호구를 사용한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경기 내용 비교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30-141, 2014

      14 김민호, "여자 운동선수의 종목별 등속성 하지근 기능의 비교"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5 김은성, "단기간의 체중 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335-344, 2002

      16 성태수, "고교여자 농구선수와 일반학생의 슬관절 등속성 운동 능력 비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17 Van Duvillard, "Stretch shoretning drills for the upper extremities. Thoery and Clinical Application" 17 : 225-239, 1990

      18 Luebbers, P. 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and recovery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and anaerobic power" 17 (17): 704-709, 2003

      19 Bosco, C., "Effect of elastic energy and myoelectrical potentiation of triceps surae during stretch-shortening cycle exercise" 3 (3): 137-140, 1982

      20 윤오남, "12주간 훈련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남녀 태권도선수의 전문체력과 등속성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9 (9): 167-17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