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 Double poverty of time and inc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0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실효성있는 탈빈곤정책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시간을 고려한 대안적 빈곤측정과 분석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실효성있는 탈빈곤정책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시간을 고려한 대안적 빈곤측정과 분석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생계부양자의 연령이 60세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빈곤과 시간빈곤, 그리고 소득과 시간의 이중빈곤을 산출하였다. 더불어 시간빈곤으로 인하여 돌봄서 비스를 시장에서 구매하는 과정에서 추가 지출이 발생함에 따라 소득빈곤이 새롭게 발생하는 상황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빈곤율의 평균수치는 9.5%이고, 시간빈곤율은 15.7%이며, 시간조정 소득빈곤율은 10.8%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으면서 미취학자녀가 있는 한부모가구의 경우, 소득빈곤뿐만 아니라 시간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구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을 통한 빈곤탈출만을 강조하는 복지정책의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사회복지정책이 궁극적으로, 임금노동과 돌봄노동, 그리고 여가 간 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n altern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overty considering income as well as time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antipoverty policy. Based on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 the income poverty, tim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n altern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overty considering income as well as time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antipoverty policy. Based on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 the income poverty, time poverty, and double poverty of household in which householders were under 60 years were measured. Moreover this paper found that households experiencing the time poverty might be faced with additional income poverty because of the necessity to purchase care services in the market to compensate for th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come poverty rate is 9.5%, time poverty rate is 15.7%, and time-adjusted income poverty rate is 10.8%. And low-educated singl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d income as well as time poverty. Therefore, this paper proved that the `welfare to work` policy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s in household could be faced with the limit.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aim at minimizing the tradeoffs among different works and activities, and then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이환, "현대노동시장의 정치사회학" 후마니타스 2006

      2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주은선, "외환위기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한계" 28 : 143-185, 2009

      4 Tilly L. A., "여성 노동 가족" 후마니타스 1987

      5 이상록,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 분석" 1-22, 2008

      6 김교성,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9 : 297-320, 2008

      7 백학영, "비정규노동과 가구빈곤" 276-296, 2008

      8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9 성지미,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1-30, 2006

      10 손문금,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5 : 239-287, 2005

      1 정이환, "현대노동시장의 정치사회학" 후마니타스 2006

      2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주은선, "외환위기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한계" 28 : 143-185, 2009

      4 Tilly L. A., "여성 노동 가족" 후마니타스 1987

      5 이상록,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 분석" 1-22, 2008

      6 김교성,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9 : 297-320, 2008

      7 백학영, "비정규노동과 가구빈곤" 276-296, 2008

      8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9 성지미,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1-30, 2006

      10 손문금,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5 : 239-287, 2005

      11 Hyclak, T., "노동경제학" 시그마프레스 2004

      12 박기남, "기혼 취업 여성의 일ㆍ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 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37-71, 2009

      13 이병희,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동학"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5 (75): 215-244, 2009

      14 이재경,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학회 64 (64): 172-206, 2004

      15 이병희, "고용안전망과 활성화 전략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16 "강연자(2010). “기본소득과 노동시간단축.”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편,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을 뒤집어라. 서울: 매일노동뉴스"

      17 장미혜, "가족: 계급과 성별 불평등의 또 다른 영역: 중간계급과 노동자계급간 및 계급 내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105-146, 2005

      18 이순미, "“‘불균등한’ 가사분담에 대한 ‘공평한’ 인지구조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한울 220-251, 2009

      19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Working Poor in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4

      20 Harvey, A. S., "When Twenty-Four Hours Is Not Enough: Time Poverty of Working Parents" 82 : 52-77, 2007

      21 Vickery,C., "The time poor: A new look at poverty" 12 (12): 27-48, 1977

      22 Drewnowski,J.,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overty" Institute of Social Studies 1976

      23 Bardasi, E., "Poverty Reduction from Full Employment: A Time Use Approach" 73 : 119-134, 2006

      24 Cotter,D., "Poor People in Poor Places" 67 (67): 534-555, 2002

      25 Campbell,M., "New Labour and the Redistribution of Time" 77 (77): 255-264, 2006

      26 Bardasi, E., "Measuring Time Povert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 Concepts and Application to Guinea" 73 : 75-95, 2006

      27 Allison,P.D., "Logistic Regression Using SAS System: Theory and Application" SAS Institute Inc. 2003

      28 Blackden, C. M., "Gender, time use, and poverty: introduction" 73 : 1-10, 2006

      29 Turner, J., "Gender and Time Poverty: The Neglected Social Policy Implications of Gendered Time, Transport and Travel" 9 (9): 129-136, 2000

      30 Kes, A., "Gender and Time Poverty in Sub-Saharan Africa" 73 : 13-32, 2006

      31 Gornick, J. C., "Gender Equality: Transforming Family Divisions of Labor" Verso 2009

      32 Aas.D., "Designs for Large Scale Time Use Studies of the 24 Hour Day" 17-53, 1982

      33 Townsend,P., "Deprivation" 16 (16): 125-146, 1987

      34 Burchardt, T., "Degrees of Exclusion: Developing a Dynamic, Multidimensional Measure" Oxford University Press 30-43, 2002

      35 Warren,T., "Class- and Gender-based Working Time? Time Poverty and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ur" 37 (37): 733-752, 2003

      36 Charmes,J., "A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on Time Use in Africa from UN-sponsored Survey" 73 : 39-7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