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Systematic Review of Art Therapy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3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문헌의 현황 및 특성을 확인하고, 문헌의 질 평가로 선정 문헌의 근거와 근거의 질을 파악하며, 양적 합성으로 전체적인 연구효과를 알아보는...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문헌의 현황 및 특성을 확인하고, 문헌의 질 평가로 선정 문헌의 근거와 근거의 질을 파악하며, 양적 합성으로 전체적인 연구효과를 알아보는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이에 PRISMA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설계, 문헌 선별과정을 거쳐 2008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문헌 총 10편을 선정하였다. RoBANS로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고, 각 연구의 효과를 양적 합성하여 그 결과를 숲 그림(Forest Plot)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정된 문헌은 유사실험연구설계의 집단미술치료 연구로, 미술치료 중재는 주 1-2회, 회기당 90분, 총회기 10-15회 구성이 가장 빈번하였고, 미술치료의 효과는 다양한 심리․정서적 측정도구로 확인하였다. 둘째, 문헌의 질 평가 결과, ‘교란변수’는 높은 비뚤림이, ‘대상군 선정’과 ‘노출측정’, ‘평가자의 눈가림’은 ‘알 수 없음’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적 합성을 통해 연구 간의 이질성을 확인하여, 효과 유형별 하위군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자아탐색(Z= 3.85, p <.001)과 스트레스(Z= 4.17, p <.001)에서 연구 간 효과의 일관성이 관찰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형식 ; 김현정,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 57 (57): 49-59, 2014

      2 이근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5 (15): 271-291, 2019

      3 박선희,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이중문화 스트레스 완화와 또래관계 향상에미치는 영향" 10 (10): 25-51, 2010

      4 진윤달 ; 김형빈 ; 이은주,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925-949, 2019

      5 김정희 ; 김선희, "집단미술치료가 남한 거주 북한이탈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97-219, 2016

      6 김정옥 ; 이근매,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87-106, 2017

      7 김연정,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93-115, 2015

      8 조희정 ; 정여주,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연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7 (17): 223-253, 2021

      9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10 Hogan, S., "임상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The introductory guide to art therapy: Experiential teaching and learning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학지사 2019

      1 안형식 ; 김현정,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 57 (57): 49-59, 2014

      2 이근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5 (15): 271-291, 2019

      3 박선희,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이중문화 스트레스 완화와 또래관계 향상에미치는 영향" 10 (10): 25-51, 2010

      4 진윤달 ; 김형빈 ; 이은주,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925-949, 2019

      5 김정희 ; 김선희, "집단미술치료가 남한 거주 북한이탈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97-219, 2016

      6 김정옥 ; 이근매,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87-106, 2017

      7 김연정,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93-115, 2015

      8 조희정 ; 정여주,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연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7 (17): 223-253, 2021

      9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10 Hogan, S., "임상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The introductory guide to art therapy: Experiential teaching and learning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학지사 2019

      11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12 김수영, "의료기술평가방법론: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20

      13 이혜숙 ; 박경희 ; 송미정,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9 (19): 87-110, 2016

      14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15 김지형, "쉽고 편하게 메타분석" 에스엔씨퍼블리싱 2019

      16 임선숙 ; 전순영,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이중문화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1417-1438, 2015

      17 조홍석,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한양법학회 25 (25): 487-502, 2014

      18 변미희 ; 강기정, "북한이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2 (12): 127-150, 2005

      19 통계청, "법령자료"

      20 Rubin, J. A., "미술치료학 개론[Art therapy:An introduction]" 학지사 2006

      21 남정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양적연구" 2 (2): 107-118, 2014

      22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14

      23 최한 ; 김태은 ; 정여주, "미술치료의 신의료기술평가를 위한 제반사항 및 단계별 전략"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1009-1025, 2019

      24 정여주,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특성과 창의적 과정의 치료적 의미"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1221-1237, 2016

      25 이호정 ; 김혜정 ; 김수연 ; 최한, "미술치료가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참여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659-672, 2021

      26 Malchiodi, C., "미술치료[The Art Therapy Sourcebook]" 서울하우스 2008

      27 Malchiodi, C. A., "미술치료 입문[Handbook of art therapy]" 학지사 2012

      28 이가영 ; 김선희, "미술치료 매체로서 사진 활용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미술치료학회 24 (24): 1289-1307, 2017

      29 Kaplan, F. F., "미술, 과학, 미술치료[Art, Science and Art Therapy]" 시그마프레스 2013

      30 안정아 ; 정여주, "메타분석을 수행한 미술치료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7 (17): 51-73, 2021

      31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9: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55, 2019

      32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8:신규패널설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35, 2018

      33 법무부, "다문화가족지원법"

      34 박순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과 사회적응" 한국아동복지학회 (29) : 125-154, 2009

      35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학생교육지원계획"

      36 정진숙, "다문화가정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덕목 연계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23-48, 2016

      37 천희영 ; 이미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의 유형화 - 개인·가정환경·학교생활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5) : 1-24, 2015

      38 안선정 ; 이현철 ; 임지영,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자녀갈등,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77-91, 2013

      39 이혜진 ; 장석진,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837-858, 2012

      40 이윤미 ; 최희승,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정신간호학회 27 (27): 159-169, 2018

      41 서봉언,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경험 실태 및 비행 참여요인 탐색"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9 (9): 123-150, 2019

      42 정세진 ; 김현정,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1 (11): 27-48, 2021

      43 김수민 ; 김영순, "다문화 내담자를 위한 미술치료의 국내 연구동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71-494, 2019

      44 이근매, "다문화 가족 상담과 미술치료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1 : 57-71, 2011

      45 신민자,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기개념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8 (8): 1-1, 2008

      46 오혜록 ; 도현정 ; 최한, "난임 환자 미술치료의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965-985, 2021

      47 오성배,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 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학연구소 (12) : 33-56, 2007

      48 좌유선 ; 모소현 ; 박인혜, "국내외 마음챙김 기반 미술치료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1 (21): 69-85, 2021

      49 박현영, "국내 임상연구등록시스템 구축 배경과 활성화 방안" 대한의사협회 54 (54): 92-97, 2011

      50 Oxman, A. D., "The science of reviewing research a" 703 (703): 125-134, 1993

      51 Henderson, D. A., "The creative arts in counseling : A multicultural perspective" 25 (25): 183-187, 1998

      52 Uttley, L.,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modelling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mong people with non-psychotic mental health disorders" 19 (19): 2015

      53 Slayton, S. C., "Outcome studies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 A review of findings" 27 (27): 108-118, 2010

      54 김수영, "NECA 연구방법 시리즈: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55 Berman, N. G., "Meta-analysis : neither quick nor easy" 2 (2): 1-9, 2002

      56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2021

      57 Bowling, A., "Handbook of health research methods: investig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McGraw-Hill Education 2005

      58 Petrie, A., "Further statistics in dentistry part 8 :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194 (194): 73-78, 2003

      59 Sue, D. W.,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Theory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2019

      60 Gladding, S. T, "Counseling as an art: The creative arts in counseling"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2

      61 Higgins, J. P.,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John Wiley & Sons 2019

      62 Higgins, J. P,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 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2"

      63 Gilroy, A., "Art therapy, research and evidence-based practice" Sage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