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케톤의 탈케탈화 (반응) 의 연구 = A Study on Deketalization of Rigid ${\beta}$-Aminoketo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8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조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 케탈의 탈케탈화 실패요인으로서, 반응 중간체의 정전기적 반발, 구조상 특징에 의한 전이상태의 각스트레인의 증가, 그리고 고정된 구조형태에서 오는 ...

      구조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 케탈의 탈케탈화 실패요인으로서, 반응 중간체의 정전기적 반발, 구조상 특징에 의한 전이상태의 각스트레인의 증가, 그리고 고정된 구조형태에서 오는 물분자의 $SN_2$ 형태공격의 입체적 차단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그들 요인의 중요성을 분리 평가하였다. 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민, N-(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세트 아미드, 그리고 트리메틸-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암모니움 요오드를 합성하여 그들의 탈케탈화 반응을 검토함으로서 이중 양이온의 정전기적 반발요인에 의한 실패요인 정도를 평가하였다. ${\beta}$-아미노기에 전자흡인기인 아세틸기를 넣어 아미노기의 양성자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탈케탈화를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정전기적 반발요인이 ${\beta}$-아미노 케탈화의 탈케탈화 방해요인으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구조상 특징에 의한 방해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구조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beta}$-아미노케탈, 2-아미노-1-에틸렌디옥시아세토페논과 아미노아세탈, 디메틸 아미노 포름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과 2-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의 탈케탈화 및 탈아세탈화 용이도를 검토한 결과 용이하게 탈아세탈화되었다. 이 결과는 구조상 특징에 의한 요인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uses of failure in the deketalization of rigid ${\beta}$-aminoketals were separately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deketalization of 3 ketals, 2-ethylenedioxy-l-acenaphthenylamine (2), N-(2-ethylenedioxy-l-acenaphthenyl)acetamide(13) and trimeth...

      The causes of failure in the deketalization of rigid ${\beta}$-aminoketals were separately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deketalization of 3 ketals, 2-ethylenedioxy-l-acenaphthenylamine (2), N-(2-ethylenedioxy-l-acenaphthenyl)acetamide(13) and trimethyl-2-ethylenedioxy-1-acenaphthenylammonium iodide(14), and by examining the deketalization of non-rigid ${\beta}$-aminoketal, 2-amino-l-ethylenedioxyacetophenone(19) and non-rigid aliphatic acetals, dimethylaminoformaldehyde dimethylacetal (20) and 2-aminoactaldehyde dimethyl acetal(21). While compounds 2 and 14 were not able to be hydrolyzed in the various acidic conditions 13 was easily deketalized. The result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lectrostatic repulsion in the possible dicationic intermediates as a factor of failure in the deketalization. The observations of easy deketalization of compounds 19, 20 and 21 indicate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rigid $\beta-aminoketal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 the hydrolysis of ${\beta}$-aminoketa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