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외 건설엔지니어링산업의 정책평가 및 개선방안 = Policy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Overseas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72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건설경기의 하락과 함께 건설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은 건설업계 및 정부의 핵심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대형 기업들의 해외진출뿐만 아니라 중소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

      국내 건설경기의 하락과 함께 건설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은 건설업계 및 정부의 핵심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대형 기업들의 해외진출뿐만 아니라 중소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주요한 건설정책 및 건설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엔지니어링분야의 해외건설 지원정책을 도출하여 평가한 결과, 시장개척자금 지원사업 정책, 전문인력 육성 및 교육정책, 수주정보 제공 지원정책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해외근무 경력의 인센티브 정책 만족도는 39.6점에 그쳐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정책평가 결과를 통하여 정부측면과 업체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정부측면에서 건설엔지니어링분야의 해외건설지원정책 개선방향으로는 PM, CM, 설계업체의 엔지니어에 맞는 정보제공 방안과 건설엔지니어링분야의 해외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지원정책의 확대로 실무인력 배출방안을 제안하였다. 건설엔지니어링업계 측면에서는 건설엔지니어링의 기술역량 확보를 위한 해외 글로벌 전문인력의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규사업 발굴과 해외건설 시장개척지원 사업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 구축방안과 중소 건설엔지니어링업체가 해외사업을 위한 건설사업관리 역량강화 및 계약 및 리스크 관리의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ownturn in the local construction business, entry into the overseas market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core tasks of the building sector and the government. Thus, entry into overseas markets, not only by large and middle-standing ente...

      Due to the downturn in the local construction business, entry into the overseas market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core tasks of the building sector and the government. Thus, entry into overseas markets, not only by large and middle-standing enterprises, but also b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has recently become a major construction polic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and evaluated overseas construction support polici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ranked them as the policies for developing market development funds, fostering and educating expert workers, and supporting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winning orders. Through these policy assessment results, the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rom the government and from the business side. As for the government viewpoint, a measure of providing information suited to engineers in design companies, project manager (PM), construction manager (CM), a measure of producing skillful workers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 support policies, and the promotion of specialized overseas workforce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sector were proposed.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for securing global expert manpower, sharing performance of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development project, strengthen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apacity, and strengthening risk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엽,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량 계층 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35-43, 2016

      2 정우용,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의 리스크관리 성과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18 (18): 99-107, 2017

      3 박환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베트남 진출전략"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98-108, 2006

      4 Park HP, "Expansion of overseas expan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18 (18): 12-13, 2017

      5 Jang HS, "A case study of the top global design & engineering firms'business strategy innovations for global design market"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70-, 2005

      6 Park HP,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overseas support policies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31-832, 2017

      1 김도엽,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량 계층 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35-43, 2016

      2 정우용,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의 리스크관리 성과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18 (18): 99-107, 2017

      3 박환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베트남 진출전략"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98-108, 2006

      4 Park HP, "Expansion of overseas expan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18 (18): 12-13, 2017

      5 Jang HS, "A case study of the top global design & engineering firms'business strategy innovations for global design market"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70-, 2005

      6 Park HP,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overseas support policies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31-83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6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