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제부문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과 분석 = Evaluation and Analysis of Cross-border Transportation Services Index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portation Service Index(TSI) is a monthly(quarterly) measures of the volume of services performed by the for-hire transportation sectors; road, railroad, air and maritime mode. In Korea the TSI for domestic transportation modes(except road si...

      The Transportation Service Index(TSI) is a monthly(quarterly) measures of the volume of services performed by the for-hire transportation sectors; road, railroad, air and maritime mode. In Korea the TSI for domestic transportation modes(except road side transportation modes) is estimated and published quarterly since April, 200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nalyze TSI for cross border transportation to extend current TSI. Cross border transport is classified into four sectors: air passenger, maritime passenger, air freight and maritime freight. For each sector, a data collec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a seasonal adjustment model was developed using collected data(traffic volume data from Jan. 1995 to Dec. 2008). Using seasonally adjusted data, the index for each sector was calculated. Passenger index and freight index were calculated by employing the Fisher's ideal index method.
      The cross border TSI is not likely to be useful in forecasting economic activity in future because the monthly TSI proved to be a lagging index. But the cross border TSI is still useful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monitoring of transportation service changes,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ecu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and introduction of new transportation system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운임을 받고 수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산업부문의 수송실적을 지수화한 것으로, 타산업부문 및 국가경제활동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교통산업...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운임을 받고 수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산업부문의 수송실적을 지수화한 것으로, 타산업부문 및 국가경제활동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교통산업부문의 활동수준을 대표할 만한 지수가 없다는 인식에서 산정이 시작되었다. 국외에서는 미국과 프랑스, 일본 등에서 지수를 산정․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5년과 2006년에 수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매 분기별로 교통산업서비스지수가 산정․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 대상 분야를 국제부문으로 확대하기 위해 국제항공여객, 국제해운여객, 국제항공화물, 국제해운화물의 네 가지 세부부문을 지수 산정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각 부문에 대한 기초자료와 계절변동모형의 구축을 통해 세부부문별 지수를 산정하고 가중치의 적용을 통해 국제여객과 국제화물 분야의 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국제부문의 교통산업서비스지수에 대해 주요 시계열 변화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통계청의 국내 경기 기준순환일과의 비교를 통해 경기변동과의 연관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국제부문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전반적으로 국내 경기 변화에 대해 후행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예측 변수로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국제부문의 지수산정체계와 산정방법은 매 분기별 국내 교통산업서비스지수의 산정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제부문의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기존의 국내부문 지수와 함께 국내 교통부문의 단기 변화를 보다 시의성 있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랑스 교통서비스생산지수"

      2 통계청, "최근 경기순환기의 기준순환일 설정, 보도자료"

      3 "미국 교통서비스지수, 미국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4 이긍희, "국민소득통계의 추세 및 순환변동계열 추출방법" 한국은행 (1) : 23-58, 2000

      5 정경옥, "교통산업서비스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5

      6 정경옥,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6

      7 통계청, "2009년 11월 산업활동동향, 보도자료"

      1 "프랑스 교통서비스생산지수"

      2 통계청, "최근 경기순환기의 기준순환일 설정, 보도자료"

      3 "미국 교통서비스지수, 미국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4 이긍희, "국민소득통계의 추세 및 순환변동계열 추출방법" 한국은행 (1) : 23-58, 2000

      5 정경옥, "교통산업서비스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5

      6 정경옥,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6

      7 통계청, "2009년 11월 산업활동동향,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