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ipline Styl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91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 원가족에서의 훈육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전이되어 어머니의 훈육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 원가족에서의 훈육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전이되어 어머니의 훈육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2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 비교방법을 사용하여 의미함축과 범주화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어머니들의 상태, 자녀의 기질, 배우자, 경제적 상황이 어머니들의 자녀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들은 원가족에서의 훈육경험을 재구성하여 좋았던 경험은 그대로 사용하고 부정적인 경험은 자녀들에게 사용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어머니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가족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에게 실제적인 지원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원가족에서의 훈육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이과정에서의 어머니 정서 돌아보기와 훈육방식의 교육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he discipline method in the original family is transferred to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and what eff...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he discipline method in the original family is transferred to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and what efforts are made to discipline their children properl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mothers who raised children aged 3 to 5 years. Data were collected in 2019 and 2020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he colled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mantic analysis and categorization. Results The mother’s condition, child’s temperament, spouse, and economic situauion were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mothers’ discipline style. The mothers tried to use the good experience and not to use the negative experience for their children by reconstructing the discipline experience in the original family.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mot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uld 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ir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ways to help the mothers appropriate discipline method for their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정,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양육행동과 또래관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115-141, 2014

      2 김경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검증"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35-49, 2015

      3 심태은,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421-442, 2015

      4 Kostelnik, M. J.,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교문사 2015

      5 안선희, "영유아발달" 창지사 2021

      6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7 김지영,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91-100, 2015

      8 손영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25-144, 2011

      9 김혜순, "어머니들의 자기 보고에 나타난 유아의 일상적 문제 행동에 대한 훈육 행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213-230, 2005

      10 신현정, "아동상담가인 어머니가 체험한 양육에서의 ‘세대 간 전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05-231, 2016

      1 이희정,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양육행동과 또래관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115-141, 2014

      2 김경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검증"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35-49, 2015

      3 심태은,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421-442, 2015

      4 Kostelnik, M. J.,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교문사 2015

      5 안선희, "영유아발달" 창지사 2021

      6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7 김지영,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91-100, 2015

      8 손영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25-144, 2011

      9 김혜순, "어머니들의 자기 보고에 나타난 유아의 일상적 문제 행동에 대한 훈육 행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213-230, 2005

      10 신현정, "아동상담가인 어머니가 체험한 양육에서의 ‘세대 간 전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05-231, 2016

      11 김인지,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본 어머니의 자녀 훈육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인숙, "사회복지사의 "가족"담론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70, 2004

      13 이문희, "부정적 양육의 대물림 극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중년여성의 양육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학회 16 (16): 417-438, 2015

      14 김현정, "부모의 훈육 방식과 아동기 문제 행동에서의 성차" 6 (6): 81-95, 2001

      15 문혁준, "부모 훈육방법의 세대간 전이" 38 (38): 107-120, 2000

      16 이강이, "가정의 소득수준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령기 아동의 자아정체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65-76, 2002

      17 Abidin, R. R.,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21 (21): 407-412, 1992

      18 Thomas, A., "Temperament and development" Brunner/Mazel 1983

      19 Deater-Deckard, K.,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5 (5): 314-332, 1998

      20 Shawler, P. M., "Parental stress, discipline strategie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2 (32): 142-151, 2017

      21 Hawk, C. K., "Meta-parenting: An initial investigation into a new parental social cognition construct" 6 (6): 321-342, 2006

      22 Saunders, R., "Maternal knowledge and behaviors regarding discipline: The effectiveness of a hands-on education program in positive guidance" 22 (22): 322-334, 2012

      23 Swinford, S. P., "Harsh physical discipline in childhood and violence in later romantic involvements: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 behaviors" 62 (62): 508-519, 2000

      24 Marion, M., "Guidance of young children" Merrill Prentice-Hall 2010

      25 Wittmer, D. S., "Encouraging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49 (49): 4-12, 1994

      26 Firmin, M. W., "Early childhood discipline: A review of the literature" 17 (17): 107-129, 2008

      27 Gunnoe, M. L.,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yle, physical discipline, and adjustment in adolescents’ reports" 112 (112): 933-975, 2013

      28 Conger, R., "Angry and aggressive behavior across three generations : A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31 (31): 143-160, 2003

      29 Bandura, A., "Aggression: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s" Academic Press 1-40, 1983

      30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