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 및 쇠퇴에 관한 연구 =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Decline in Mt. Seunghak'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83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억새군락은 생태계 서비스 중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하나의 경관자원으로 가을이면 전국적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다. 하지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천이의 특성상 빠른 쇠퇴가 진...

      억새군락은 생태계 서비스 중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하나의 경관자원으로 가을이면 전국적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다. 하지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천이의 특성상 빠른 쇠퇴가 진행되는 공간이라 경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며, 인위적 관리가 필요하다. 참억새군락은 척박한 토양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건조지 천이초기식생으로써, 우리나라 산림에서 지속성을 가지는 군락은 아니며, 산림천이과정 중 2차 천이 초기에 발생하는 식물군락으로 기존 산림식생의 훼손이후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군락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숲의 경관다양성을 위해 대도시의 대규모 참억새군락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승학산 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을 조사하고, 억새군락의 급격한 쇠퇴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토양은 승학산 정상부 일대 참억새군락의 경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일반적 산림토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 질소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으로 일반적 산림토양에 비해 비옥한 토양으로 볼 수 있다. 현존식생 현황은 화재 등 교란이후 숲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고, 주요 식물 군락별 면적비율에 있어 리기다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일부 곰솔군락 및 벚나무군락이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었다. 참억새우점군락은 전체면적의 8.7%로 대부분 지역에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칡과 비목나무의 이입으로 인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쇠퇴는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졌다. 식물군집구조 현황에서 당분간은 참억새군락으로 유지될 것이나, 목본식물이 이입되는 과정으로 비목나무의 생장에 따라 참억새 생육에 부정적 영향이 작용할 것이고, 억새-계요등군락은 경관개선을 위해 상부에 식재한 왕벚나무군락의 그늘로 참억새군락은 향후 급격히 쇠퇴할 것이다. 참억새-비목나무군락은 비목의 생육에 따라 참억새의 본격적인 쇠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칡-참억새 군락은 탐방객에게 부정적 영향이 큰 지역이다. 칡 우점군락들은 참억새의 피도는 낮고, 교목과 관목의 유입은 거의 없으나, 칡이 우점 하는 군락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참억새군락은 쇠퇴할 것이다. 경관관리 측면에서 참억새군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승학산 곳곳에 조성된 묘지와 참억새군락 내부 샛길은 억새 생육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반면, 참억새군락의 보호를 위해 조성된 목책 및 로프 울타리는 사람들의 출입을 억제하여 많은 샛길들이 자연스럽게 복원되고 있다. 참억새 경관을 즐기기 위해 상대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지점과 참억새군락을 설정하여 이들 지역을 중점적으로 관리한다면 관리예산을 줄이면서 보다 효과적인 억새군락 관리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t. Seunghak'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not only a landscape resource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within the Ecosystem Services but also a site that is visited by many mountaineers in autumn. As the current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s ...

      Mt. Seunghak'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not only a landscape resource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within the Ecosystem Services but also a site that is visited by many mountaineers in autumn. As the current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s been experiencing a rapid decline due to Korean forest succession characteristics, ongoing artificial management is thought to be needed for landscape resource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he cause of the rapid declin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Mt. Seunghak, which is located inside a large city with a large scale and outstanding accessibility. As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the representative early vegetation that appears temporarily in dry, barren soil,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Korean forest succession tends to be unsustainable. As the current soil on Mt. Seunghak is inappropriately fertile for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other wetland woody plant communities are anticipated to succeed it. I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is needed for Miscanthus sinensis landscape scenery, various alternatives apart from overall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should be determined for cost-effective management. For example, while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affected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growth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of wooden fences and ropes has been a control in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positive effect,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been restored naturally. Through viewable range analysis, as good scenery sites on the observatory have a good viewable range on the main trail as well, if these scenery sites are intensively managed, effective Miscanthus sinensis ccommunity management will be done despite maintenance budget cutback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regarding the alternatives for a sustained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other growth in poor soils of fallow fields and unused 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91 (91): 694-700, 2002

      2 박슬기, "억새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 - 영남지역 대규모 억새군락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13, 2016

      3 김귀순, "서울지역에서 사라져 가는 장억새(Miscanthus changii)의서식환경조사 및 대량번식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12-19, 2008

      4 전상호, "광산 폐석지 식생복원을 위한 Mycorrhizae 활용" 한국자연보호학회 5 (5): 38-47, 2011

      5 Harvolk, S., "Using existing landscape data to assess the ecological potential of Miscanthus cultivation in a marginal landscape" 6 : 227-241, 2014

      6 Kim, W.,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at the burned area of the pine forest" 12 (12): 285-295, 1989

      7 Nsanganwimana, F., "Suitability of Miscanthus species for managing inorganic and organic contaminated land and restoring ecosystem services. A review" 143 : 123-134, 2014

      8 Cho, Y. H,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 after fire" 15 (15): 337-344, 1992

      9 Seo, S. H., "Relationship between Partitioning Form of Standing Biomass and Soil Respiration Rate on the Temperate Grassland according to the Successional Stag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04

      10 Amougou, N., "Quality and decomposition in soil of rhizome, root and senescent leaf from Miscanthus × giganteus, as affected by harvest date N fertilization" 338 : 83-97, 2011

      1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91 (91): 694-700, 2002

      2 박슬기, "억새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 - 영남지역 대규모 억새군락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13, 2016

      3 김귀순, "서울지역에서 사라져 가는 장억새(Miscanthus changii)의서식환경조사 및 대량번식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12-19, 2008

      4 전상호, "광산 폐석지 식생복원을 위한 Mycorrhizae 활용" 한국자연보호학회 5 (5): 38-47, 2011

      5 Harvolk, S., "Using existing landscape data to assess the ecological potential of Miscanthus cultivation in a marginal landscape" 6 : 227-241, 2014

      6 Kim, W.,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at the burned area of the pine forest" 12 (12): 285-295, 1989

      7 Nsanganwimana, F., "Suitability of Miscanthus species for managing inorganic and organic contaminated land and restoring ecosystem services. A review" 143 : 123-134, 2014

      8 Cho, Y. H,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 after fire" 15 (15): 337-344, 1992

      9 Seo, S. H., "Relationship between Partitioning Form of Standing Biomass and Soil Respiration Rate on the Temperate Grassland according to the Successional Stag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04

      10 Amougou, N., "Quality and decomposition in soil of rhizome, root and senescent leaf from Miscanthus × giganteus, as affected by harvest date N fertilization" 338 : 83-97, 2011

      11 Bang, J. H.,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Water and Soil Using Miscanthus sp. Goeda-Uksae 1, Department of Bio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3

      12 Bro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tion Stunde" Wien 1964

      13 Thetford, M., "Oranmental landscape performance of native and nonnative grasses under low-input conditions" 19 (19): 267-283, 2009

      14 Ng, T. L., "Modelling Miscanthus in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to simulate its quality effects as a bioenergy crop" 44 : 7138-7144, 2010

      15 Lewandowski, I., "Miscanthus: European experience with a novel energy crop" 19 : 209-227, 2000

      16 Tsuyuzaki, S, "Miscanthus sinensis grassland is an indicator plant community to predict forest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on ski slopes in Japan" 5 : 109-115, 2005

      17 Osawa, T., "Management-mediated facilitation: Miscanthus sinensis functions as a nurse plant in Satoyama grassland" 2011

      18 Synonymic List of Vascular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The Plant To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19 Vyn, R. J., "Examin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Miscanthus in Ontario: An application to the greenhouse industry" 50 : 669-676, 2012

      20 Yoo, J. H., "Establishment of Biomass Characters, Lignocellulosic Components and Regeneration System of Collected Miscanthus spp. and Transient Overexpression of Lignin Biosynthesis Related Genes.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2

      21 Jung, Y. S, "Distribution and vitality of Mount Mindung’s Miscanthus colony in Gangwon-do" 25 (25): 33-37, 2002

      22 Jung, D. Y, "Development of Phragmites spp. and Miscanthus spp. sod using natural fiber materials for a vegetational restoration" 28 (28): 54-61, 2000

      23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Hayngmunsa 2003

      24 Kim, J. M,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lsinsa 1987

      25 Yang, L., "Can perennial dominant grassMiscanthus sinensis be nurse plant in recovery of degraded hilly land landscape in South China" 9 : 213-225, 2013

      26 Mu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1974

      27 Lee, G. H,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rly Growth Pennisetum alopecuroides, Phragmites communities and Miscanthus sinensis according to Sowing Method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