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의 草地地下部의 生態에 관한 硏究 = An ecological study of the underground part on the grassland veget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41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著者는 1972 : 4월부터 1972년 10월에 걸처서 3個地所(약간 濕한곳, 中性地, 乾性地)에서 主要草地의 地下部生態에 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主要草地(억새-조릿대 군집, 억새-고...

      著者는 1972 : 4월부터 1972년 10월에 걸처서 3個地所(약간 濕한곳, 中性地, 乾性地)에서 主要草地의 地下部生態에 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主要草地(억새-조릿대 군집, 억새-고사리 군집 보리사초-갯멧군집)에서 억새, 새, 잔듸, :, 고사리, 조릿대, 보리사초의 根系에 差異가 있었다.
      2) 吸收系로서 각 種別로 地下部의 深度에 差異가 있었다.
      3) 地下部 根群의 ecological Niche difference를 認知할 수 있었다.
      4) 각 種別의 root pattern에 있어서 각 조사지소 마다 토양단면층, 根系, 根莖 과 뿌리의 重量比, 뿌리의 數에 있어서 뚜렷한 分化度를 나타냈다.
      5) 地下部 生産構造는 地下 10cm 內外에서 높은 値를 나타냈다.
      6) 토양환경요인이 각 조사지소 마다 뚜렷한 差異를 나타냈다.
      즉 지하부의 生態的變移는 立地의 토양환경요인의 勾配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地下部의 分化度에 差異를 가져왔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lgical studies of the underground part on the main grassland vegetation (Miscanthus sinensis-sasa purpurance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pteridium aquilinum Communty, and carex Kobomugi-Calystegia Soldamella Community) were caried out from Apri...

      Ecolgical studies of the underground part on the main grassland vegetation (Miscanthus sinensis-sasa purpurance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pteridium aquilinum Communty, and carex Kobomugi-Calystegia Soldamella Community) were caried out from April, 1972 to October, 1972 at three sites (a little wetted, neutralized soil, and sand ydun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root system of the most prominent herb's (Miscanthus Sinensis, Arundinella hirta, zoysis japonica, Imperata cylindrica, Pteridium aquilium, sasa purpurascens, and Carex Kobomugi) were observed.
      2.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pth in which the root system went among the most prominent herbs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absorption system at each of the sites was observed.
      3. Ecological niche differences of the umderground root's of the different herbs can be recognized.
      4. The root patterns of the main herbs showed a distinct degree of differentiation in the root system, the weight ratio of the rhijomes and roots, the number of roots, and the soil profile at each of the sites.
      5. The productivity of the underground part showed the highest numerical value at the depth of 10 cm.
      6. There were many differnces in the soil elements among the three investigated site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root patterns at each of the site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differnces i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the underground part related to the soil environmental gradia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