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0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5명과 학부모 35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및 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5명과 학부모 35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및 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시각중복장애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를 요인별로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지식 요인이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별로는 진로 및 직업 지도가 가장 크고, 눈의 구조ㆍ기능ㆍ질환에 관한 지식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시각중복장애 지원, 교수학습 운영,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 지식, 2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감각 활용 지도, 3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관련서비스 지원 요인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아교육 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뿐 아니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연수 등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competencies to perform teach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95 teachers and 35 parent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competencies to perform teach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95 teachers and 35 parent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that support for visual impair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difference of teaching - learning knowledge factor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The factors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blind children are as follows: support for visual redundancy, teaching and learning operation, respectively. The factor in the second quadrant was sensory teaching, and factors in the lower third quadrant were related service suppor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s well as reeducation programs such as special teacher trai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방법
      • Ⅲ. 결과
      • Ⅳ. 요약 및 논의
      • I. 서론
      • Ⅱ. 방법
      • Ⅲ. 결과
      • Ⅳ. 요약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노진, "핵심 문항들을 활용한 모델링-강의 평가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 (20): 1075-1083, 2009

      2 정동일, "특수교육교사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해균, "특수교육 교사의 수행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427-443, 2003

      4 박순희,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사 역할과 기능에 대한 중요도와 적용정도 탐색 및 개발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57-177, 2008

      5 임안수, "시각장애아 교사의 전문눙력에 관한 연구" 2 (2): 73-95, 2001

      6 왕선,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및 교사효능감에 대한 중국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인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7 교육인적자원부, "교직발전종합방안"

      8 李海均, "視覺障碍兒 敎師의 專門能力에 대한 盲學校 敎師의 評定" 大邱大學校 大學院 1986

      9 이성흠,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17-341, 2010

      10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or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1

      1 박노진, "핵심 문항들을 활용한 모델링-강의 평가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 (20): 1075-1083, 2009

      2 정동일, "특수교육교사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해균, "특수교육 교사의 수행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427-443, 2003

      4 박순희,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사 역할과 기능에 대한 중요도와 적용정도 탐색 및 개발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57-177, 2008

      5 임안수, "시각장애아 교사의 전문눙력에 관한 연구" 2 (2): 73-95, 2001

      6 왕선,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및 교사효능감에 대한 중국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인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7 교육인적자원부, "교직발전종합방안"

      8 李海均, "視覺障碍兒 敎師의 專門能力에 대한 盲學校 敎師의 評定" 大邱大學校 大學院 1986

      9 이성흠,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17-341, 2010

      10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or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1

      11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or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3

      12 Corn, A., "The national agenda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visual impairments, including those with multiple disabilities" AFB 1995

      13 Haltern, P., "The core curriculum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28 (28): 25-32, 1996

      14 Oh, H., "Revisiting importance Performance" 22 : 617-627, 2001

      15 류재숙, "IPA를 이용한 항공사 선택속성 평가- 국내항공사를 사례로 -"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157-171, 2006

      16 Silberman, R. K., "Foundation for education volumne 2" AFB 792-795, 2000

      17 Spungin, S. J., "Foundation for education volumne 2" AFB 785-791, 2000

      18 Reynolds, C. R., "Concise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Wiley 2002

      19 Spungin, S. J., "Competency based curriculum for teacher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 national study" American Foundation for Teacher of the Blind, Inc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