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무슬림(穆斯林)계 소수민족의 복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09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hina which is a multiracial country, 10 nationalities among 55 minority nationalities believe in Islam. Among 10 nationalities, the Hui nationality and the Uygur nationality have most of the population, and if the populations of two nationalities ...

      In China which is a multiracial country, 10 nationalities among 55 minority nationalities believe in Islam. Among 10 nationalities, the Hui nationality and the Uygur nationality have most of the population, and if the populations of two nationalities are added up, i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the 90% of the total population of Muslims in China.
      The Hui reside in the west northern area in China, and the representative region is The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The native culture of the Hui is most well maintained in Ningxia. As a basis of the Ethnic Costume of the Hui, there are libaimao, dasidaer, gaitou and zhunbai.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ethnic costumes of the Hui and the Han nationality is the headdress part. The Han don not usually wear white cap, but the Hui are often wear white caps go to any place.
      The Uygur mainly reside in the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in China. The Ethnic Costumes of Uygur are basically the huamao, shirts, qiaban and one-piece. The representative Ethnic Costumes are huamao and the one-piece made out of Atlas silk. And if we look at the part of the pattern, the Uygur tribes used the plant pattern according to Islam. But there were some cases of using the pattern of the animal and the human figure which Islam prohibited, because they inherited the custom of Shamanism and Buddhism before the Islam entering to Xinjiang.
      The Hui most intensively reside in Ningxia, and the Hui are those Muslims spread throughout the regions of the Han population and other nationalities. In this thesis paper, the types of ethnic costumes of the Hui were analyzed by region. According to Hainan Province, Yunnan Province, Tibetan area and The Han nationality area. More than 99% of the Uygur live in Xinjiang. The Uygur ethnic costumes have the difference in the southern part and the northern part in Xinjiang, but it is more uniformity than the Hui.
      The most common feature between the Hui and the Uygur is believing in Islam,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thnic costumes were mostly influenced by Islam. Persia, in other words, Iran area is connected through Silk Road to China, and the interchange with China started in seventh century B. C. And if we see the formation of the Hui, we can see that there is a relation to Iran. So I selected the Iran as the representative of Islamic countries compared with the Hui and the Uygur.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history, distributed areas,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culture of religion of the Hui and the Uygur who are the Muslims, and researched the ethnic costumes of the Hui and the Uygur. Through the ethnic costumes of Muslims which are the Islamic country, find the conclus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nic costumes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of Muslims in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민족 국가인 중국에는 55개 소수민족에서 10개 민족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10개 민족 중에 회족과 위구르족은 인구수가 가장 많고 두 민족의 인구수를 총합하면 중국 무슬림 인구 총수의...

      다민족 국가인 중국에는 55개 소수민족에서 10개 민족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10개 민족 중에 회족과 위구르족은 인구수가 가장 많고 두 민족의 인구수를 총합하면 중국 무슬림 인구 총수의 약 90%를 차지한다.
      회족은 주로 중국 서북부 지역에서 살고 있고 대표적인 지역이 닝샤회족자치구이다. 닝샤에서 회족의 고유문화를 가장 잘 유지하고 있다. 회족 민족 복식의 기본적으로 예배모, 다쓰다얼, 개두, 준바이이다. 회족 복식은 한족 복식과 큰 차이는 두식 부분이다. 한족 사람들은 평소에 흰색 모자를 착용하지 않지만 회족 사람들은 평소에 쓰고 다닌다.
      위구르족은 주로 중국 신강성에서 거주하고 있다. 위구르족 복식의 기본적으로 화모, 셔츠, 챠반, 원피스이다. 대표적인 복식은 화모와 아트라스 실크로 만든 원피스이다. 그리고 문양 부분을 보면 위구르족 사람들이 이슬람교에 따라서 식물 문양을 많이 쓴다. 하지만 이슬람교의 금지한 동물 문양과 인물 문양을 쓰는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이슬람교를 신강에 들어가기 전에 샤머니즘이나 불교를 믿은 시기에 유전했기 때문이다.
      회족은 닝샤에서 가장 집중적인 생활하는데 중국 전국에서 넓게 분포하여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회족 복식의 지역별로 유형을 분석을 하였다. 해남성, 운남성, 장구와 한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서 연구하였다. 위구르족은 99% 이상 신강에서 살기 때문에 남부, 북부의 차이가 있는데 회족보다 단일성은 명확하게 나타난다.
      회족과 위구르족은 가장 공통점이 이슬람교이고 민족 복식의 특징은 대부분이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았다. 고대 페르시아, 즉 현대 이란 지역은 중국과 실크 로드를 통해서 연결이 되었고 기원 7세기경에 중국과 교류가 시작하였으며 중국 회족의 형성을 보면 이란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어 이슬람 국가 중 이란을 비교범위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슬림 민족인 회족과 위구르족의 기원과 역사, 분포지역, 지리환경, 종교문화를 살펴보고 회족과 위구르족의 민족 복식을 연구하였다. 이슬람 국가 무슬림 복식을 통해서 중국 무슬림계 소수민족 복식의 특성을 살펴 결론을 얻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이슬람교 의 이해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이슬람교 의 이해 11
      • 1) 이슬람교의 기원 11
      • 2) 이슬람교 사회의 정치관 14
      • 2. 회족의 개요 15
      • 1) 기원과 역사 배경 15
      • 2) 지리 자연 환경 배경 20
      • 3) 종교 신앙 배경 21
      • 3. 위구르족의 개요 23
      • 1) 기원과 역사 배경 23
      • 2) 지리 자연 환경 배경 26
      • 3) 종교 신앙 배경 27
      • Ⅲ. 중국 무슬림계 소수민족의 복식구성 28
      • 1. 회족의 복식 구성 28
      • 1) 문헌에 나타난 회족 민족복식 28
      • 2) 회족의 민족복식의 분류 31
      • 3) 회족 복식의 지역별 유형 40
      • 2. 위구르족의 복식 구성 48
      • 1) 문헌에 나타난 위구르족 민족복식 48
      • 2) 위구르족의 민족복식의 분류 50
      • 3) 위구르족 복식의 지역별 단일성 60
      • 3. 중국 무슬림과 이슬람 국가 이란의 복식 비교 61
      • 1) 중국 무슬림 민족과 이란의 관계 61
      • 2) 문헌에 나타난 이란 민족복식 72
      • 3) 이란의 민족복식의 분류 75
      • Ⅳ. 중국 무슬림계 소수민족 복식의 특성 91
      • 1. 민족 교류의 영향 91
      • 2. 민족 교류의 의한 복식의 특성 93
      • 3. 의복의 색채에 나타나는 특성 95
      • 4. 종교에 의한 복식의 의미와 특성 96
      • Ⅴ. 결론 100
      • 참고문헌 103
      • 국문초록 110
      • Abstract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