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이칼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문화의 기술·형태적 특성과 주변지역과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echno-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lade Industry of the UP in Baikal region with Contiguous Territ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7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appearance of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region can be assumed between 60-30ka. However, the stone tool group of micro core was not yet confirmed by techno-typological, and due to microblade core was found separately, additional group nee...

      The first appearance of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region can be assumed between 60-30ka. However, the stone tool group of micro core was not yet confirmed by techno-typological, and due to microblade core was found separately, additional group needs to be confirmed.
      Microblade industry which based on well formed micro core can be separated by first(20-15ka) and second (15-10ka) period.
      First period of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region was mainly found wedge type core, and most of the stone were produced using long and thick blade as well as flake. This period is less quantity of microblade core, and also active use of microblade is not invisible. However, the range can be regarded as a step in the expanding process.
      Various microblade core has been excavated in second period such as wedge type core based on the bifacial flaking system, sub-wedge core, prismatic core, micro core have an indeterminate form etc. Stone group is similar to first period but smaller, and hunting tools like harpoon and leaf shape point a lot of appear is the character.
      Like this, in the appearance of ancient microblade core,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is later than Yenisei basin, but earlier than Selemdga industry. However the appearance of typical microblade culture is assumed later than Selemdga indusrtry, but about same or bit earlier.
      The phase of Stone group is getting smaller as time goes to later period. But usage of special stone tool as point, end scraper, harpoon are marked, burin's usage is not really showing like in Yenisei basin and Selemdga industry. Also, micro core strongly keeps wedge type core until very end of the UP like Yenisei basin, but we can say it is following trend of North-East 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관점에 따라 약 60-30ka의 어느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아직 기술·형태적으로 이 세형몸돌의 석기군이 확인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세...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관점에 따라 약 60-30ka의 어느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아직 기술·형태적으로 이 세형몸돌의 석기군이 확인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세형몸돌이 발견되어 추가적인 석기군의 확인이 필요하다. 체계화된 세형몸돌을 기반한 세형돌날문화는 세형돌날문화 1기(20-15ka)와 2기(15-10ka)로 구분된다.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 1기에서는 쐐기형 세형몸돌을 주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대부분의 석기들은 격지와 길고 두터운 돌날을 이용해 제작하였다. 이 시기에서는 세형몸돌의 수량도 적고 세형돌날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에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
      2기에서는 세형몸돌은 양면박리원칙의 쐐기형몸돌을 비롯하여 준 쐐기형, 각주형, 부정형, 간단히 능 조정을 한 몸돌 등 다양한 몸돌이 출토된다. 석기군은 1기와 양상이 비슷하지만 소형화가 더 진행되었으며, 특히 작살이나 잎형찌르개 등의 사냥도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는 원시적인 세형몸돌의 출현으로 본다면 예니세이강유역 보다는 늦은 시기에 나타나고 셀렘자문화 보다는 이른 시기에 나타난다. 하지만 전형적인 세형돌날문화의 출현은 셀렘자문화 보다는 늦으며, 예니세이강유역과는 비슷하거나 좀 더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석기군의 양상은 후기로 갈수록 소형화가 진행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찌르개나 끝날긁개, 뼈로 만든 작살 등 특정 석기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예니세이강유역과 셀렘자문화에서처럼 새기개의 적극적인 사용 경향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세형몸돌은 예니세이강유역처럼 쐐기형몸돌이 후기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도 강하게 유지되지만 동북아시아의 경향성을 따라간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84-115, 2015

      2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신석기시대로의 이행과정" 한국상고사학회 1998

      3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최말기와 신석기시대로의 이행기의 문화적성격, 전환기의 고고학" 학연문화사 27-62, 2002

      4 이헌종, "예니세이강 유역과 그 주변지역의 세형돌날문화 문화변동 연구"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65-102, 2015

      5 최몽룡,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주류성 116-144, 2003

      6 Kato. H, "시베리아구석기시대의 세형박리의 분포와 연대에 관한 새로운 자료,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문화 장흥 신북유적"

      7 이헌종, "시베리아 돌날석기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한반도자갈돌석기 전통의 연속성"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12 (12): 1-28, 2008

      8 이헌종, "동아시아 태평양 연안일대의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39-58, 2012

      9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몸돌의 기술체계 비교 연구 - 아무르강 중류 셀렘자 후기구석기문화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8, 2008

      10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39 : 53-88, 1998

      1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84-115, 2015

      2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신석기시대로의 이행과정" 한국상고사학회 1998

      3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최말기와 신석기시대로의 이행기의 문화적성격, 전환기의 고고학" 학연문화사 27-62, 2002

      4 이헌종, "예니세이강 유역과 그 주변지역의 세형돌날문화 문화변동 연구"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65-102, 2015

      5 최몽룡,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주류성 116-144, 2003

      6 Kato. H, "시베리아구석기시대의 세형박리의 분포와 연대에 관한 새로운 자료,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문화 장흥 신북유적"

      7 이헌종, "시베리아 돌날석기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한반도자갈돌석기 전통의 연속성"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12 (12): 1-28, 2008

      8 이헌종, "동아시아 태평양 연안일대의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39-58, 2012

      9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몸돌의 기술체계 비교 연구 - 아무르강 중류 셀렘자 후기구석기문화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8, 2008

      10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39 : 53-88, 1998

      11 木村英明, "シベリアの旧石器文化" 北海道大學図書刊行会 233-242, 1997

      12 Васильев. С.Г, "“Поселение Толбага",Природная сред а и древний человек в позднем антропогене"

      13 Васильев. С.А, "палеолитические стоянки в зоне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айнско й ГЕС на Енисее"

      14 Окладников. А.П, "Юго-Восточное Забайкалье в эпоху камня и ран ней бронзы"

      15 Дроздов. Н. И, "Хронострати графия палеолитических памятников среднейСибири-Бассейн р. Енисей"

      16 Мороз. П. В, "Технология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ско-выпуклых бифасовв индустрии Усть-Мензы 1" 54 : 2008

      17 Медведев. Г.И, "Стратиграфия, палеогеография и архео логия юга Средней Сибири"

      18 Васильев. С.А, "Раскопки Майнинской палеолитической стоянки"

      19 Ли Хонджон, "Позднепалеолитические комплексы юга российского Даль него Востока и сопредельних территории (На основе материалов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памяников Селемджи)"

      20 Константинов. М. В, "Палеолитическое поселение Толбага" 2 : 73-89, 1973

      21 Лбова. Л.В, "Палеолит предгорных районов заподного Забайкалья"

      22 Астахов. С. Н, "Палеолит Тувы"

      23 Деревянко А.П, "Палеолит Селемджи"

      24 Абрамова. З. А, "Палеолит СССР"

      25 Абрамова. З. А, "Палеолит Енисея-Кокоревская культура"

      26 Абрамова. З. А, "Палеолит Енисея-Афонтовская культура"

      27 Акимова. Е.В, "Палеолит Енисея Лиственка" Кр асноярск 2005

      28 Деревянко А. П, "Палеолит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Кареи"

      29 Абрамова. З. А, "Пале олит Енисея"

      30 Аксенов. М. П, "Многослойный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памятник МакаровоⅡ"

      31 Артемьев, Е.В, "Микрапласинчатая индустрия верхнепалеолитических памятник ов Средней Сибири" 1996

      32 Константинов. М. В, "Каменный век восточного региона БайкальскойАзии"

      33 Валерьевич. М. П, "Каменные индустрии рубежа плейстоцена и голоцена Запад ного Забайкалья"

      34 Астахов. С. Н, "Голубая 1-позднепалеолитическая стоянка на Енисее" (4) : 1982

      35 Васильев. С. А, "Глиняная палеолитическая статуэтка из Майнинскойст оянки"

      36 Цейтлин. С. М, "Геология палеолита Северной Азии"

      37 Лбова. Л.В, "Гео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объект Санный Мыс: Услови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обстановки обитания древнего человекав За падном Забайкалье" 3 : 80-93, 2007

      38 Natalia Tsydenova, "The transition from theLate Paleolithic to the Initial Neolithic in the Baikal region:Technological aspects of the stoneindustries" Elsevier 101-113, 2015

      39 Derevianko. A.P, "The paleolithic ofSiberia" University of Illinoispress 1998

      40 Астахов. С. Н, "The Paleolithic of Yenisei-Paleolithic sites onthe Afontonva Gora in city Krasnoyarsk"

      41 Goebel. T, "Studenoe-2 and the origins of the microblade technologiesin Transbaikal, Siberia" Antiquity PublicationsLtd 567-575, 2000

      42 Drozdov N.I, "New pages in paleolithic of AfontovaGora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Siberia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66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