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면 시대 대학 온라인 강의 개발 사례 연구 : 교양 글쓰기 교과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Online Lectur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in the Untact Era - Focusing on Liberal Writing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6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의 종식이 지연되면서 온라인 수업이 확장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지를 얻고 있다. 세계 유명 대학은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대학’을 이미 오래전부터 준비하고 있으며 대학 학습...

      코로나19의 종식이 지연되면서 온라인 수업이 확장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지를 얻고 있다. 세계 유명 대학은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대학’을 이미 오래전부터 준비하고 있으며 대학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신지식인으로 성장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은 기술 변화가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급격하게 전환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비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생각보다 빨리 도래할 비대면 교육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에 관한 새로운 교육 시스템과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온라인 강의를 개발할 때는 짧은 영상에 익숙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익숙한 I-Generation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며 부족한 학습 실재감과 교수자의 존재성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 강의를 듣는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내용과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대학 필수 교양 강좌 중 하나인 글쓰기 교과의 온라인 강의 개발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온라인으로 실제 강의를 진행한 경험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서의 플랫폼에 관한 이해를 토대로 커리큘럼을 설계하였으며, 일반 대학에서 보편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e-learning)를 이용하는 교양 강의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로 논의되는 6C 역량을 함께 강화하는 글쓰기 교과 온라인 강의를 개발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cessation of COVID-19 is delaying, there is growing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online courses. Famous universities in the world have for a long time now been making preparations to become “universities that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

      As the cessation of COVID-19 is delaying, there is growing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online courses. Famous universities in the world have for a long time now been making preparations to become “universities that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re dedicated to provide support so that learners in universities can grow into new intellectuals that can adapt to future society. The universities are making these moves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echnological changes will bring a drastic conversion in the overall paradigm of society. Accordingly, a new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have to be developed for online courses in order to be ready for an untact age of education that will arrive sooner than we think. The development of online lectures involve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Generation that is used to short video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nd the insufficient learning presence and presence of a teacher must be supplemented.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 must be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the learners taking the online lec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nline lecture development of a writing curriculum, which is one of the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problem awareness. The curriculum was design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online lectures and understanding the platform in untact online education, and the study focused on general e-learning liberal arts lectures in universities. Furthermore,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writing curriculum online lectures that also reinforce the 6C competences, recently discussed as a value that education should pursue for the edu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경향과 방향성 3. 6C 강화 기반의 글쓰기 교과 온라인 수업 설계 4. 결론
      • 1. 서론 2.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경향과 방향성 3. 6C 강화 기반의 글쓰기 교과 온라인 수업 설계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091-1100, 2020

      2 Roberta M. Golinkoff, "최고의 교육" 예문아카이브 2018

      3 이정기,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 e러닝에 대한 평가, 이용동기,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24) : 76-111, 2014

      4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5 오은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태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23-131, 2019

      6 이정기, "온라인 대학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7 정용균, "성인학습자의 e-러닝 학업지속 장애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서울소재 H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09-122, 2018

      8 Jonathan Haber, "무크 대학의 미래를 뒤바꿀 학습 혁명" 돌베개 2016

      9 Kevin Carey, "대학의 미래-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열린 교육의 탄생" 지식의날개 2016

      10 채민정,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523-548, 2017

      1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091-1100, 2020

      2 Roberta M. Golinkoff, "최고의 교육" 예문아카이브 2018

      3 이정기,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 e러닝에 대한 평가, 이용동기,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24) : 76-111, 2014

      4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5 오은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태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23-131, 2019

      6 이정기, "온라인 대학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7 정용균, "성인학습자의 e-러닝 학업지속 장애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서울소재 H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09-122, 2018

      8 Jonathan Haber, "무크 대학의 미래를 뒤바꿀 학습 혁명" 돌베개 2016

      9 Kevin Carey, "대학의 미래-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열린 교육의 탄생" 지식의날개 2016

      10 채민정,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523-548, 2017

      11 이다운,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양상 연구 - 충남대학교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61-196, 2019

      12 이다운, "글쓰기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강화 및 실제적 문제 개선을 위한 교수자 피드백 방법 연구" 우리어문학회 (64) : 359-386, 2019

      13 John Couch, "공부의 미래" 어크로스 2019

      14 김혜온, "e-러닝의 심리학적 기반" 학지사 2007

      15 김영민, "e-Learning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99-115, 2018

      16 Katrina A. Meyer, "Student Engagement Online: What Works and Why" John Wiley Sons Inc 2014

      17 Deirdre Burke, "Giving Students Effective Written Feedback" McGraw-Hill 2010

      18 김진수, "4차산업혁명과 교육" 공감북스 2019

      19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20 산업자원부, "2005-2006 이러닝백서" 한국U러닝연합회 2006

      21 송상호, "(미래를 생각하는) e-러닝 콘텐츠설계" 서현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