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존대법과 道統論 = Honorific Expressions and the Confucian Theory of Spiritual Enlightenment Found in the Annotation of Fore Book as the Edited Version of Gyojeongch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4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宣祖 18년~21년에 완성된 校正廳本 경서언해서는 조선전기 經學 연구의 최고 결정판이다. 그중 四書諺解는 여러 학설을 통합 절충하되 朱子의 四書章句集註를 臺本으로 편찬되어, 주자성리...

      宣祖 18년~21년에 완성된 校正廳本 경서언해서는 조선전기 經學 연구의 최고 결정판이다. 그중 四書諺解는 여러 학설을 통합 절충하되 朱子의 四書章句集註를 臺本으로 편찬되어, 주자성리학에 입각한 특정 해석을 국가적으로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텍스트이다.
      교정청본 사서언해에서 주목되는 한 가지는 바로 儒家의 道統 전수자들에게 존대법을 구사하는 방식이다. 교정청본 사서언해는 堯舜에서 孟子로 이어지는 도통전수자들의 言行에 모두 존댓말을 사용했는데, 특히顔子와 曾子에 차이를 두어 안자에게는 존댓말을 쓰지 않았지만 증자에게는 孔子앞에서도 압존하지 않았다.
      이는 四書가 儒經의 핵심으로 인식되면서, 四書 저술자로서의 孔子-曾子-子思-孟子로 이어지는 도통계보가 중시된 현상의 반영이라 하겠다. 공자의 宗旨를 후세에 전하지 못한 顔回는 도통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일하게 공자의 宗統을 계승한 증자는四書 중 특히 『대학』이 중시되는 학풍 속에서 더욱 존모되었던 것이다.
      또 교정청본 사서언해는 孔子와 諸侯와의 대화에서 공자에게 존댓말을 쓰되 제후에게는 존대하지 않아, 제후보다 스승 공자를 상위에 둔 것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추측을 낳고 있다.
      여기에는 文宣王 孔子를 聖人에서 聖王으로 대우하는 시대적 추세도 영향을 끼쳤겠지만, 帝王의 권력을 견제하고 공론정치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士林의 정치적 목적도 내재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no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that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Gyojeongcheong between the 18th and 21st years of King Seonjo's reign were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s of such classics release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preparing th...

      The anno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that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Gyojeongcheong between the 18th and 21st years of King Seonjo's reign were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s of such classics release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preparing the Annotation of Fore Books, especially,『Saseojanggujipju』written by Chu-Hsi was used as its main text, even though a variety of academic theories were integrated or coordinated in the preparation. Quite importantly, the annotation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state effectively formalized a fixe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accordace with Chu-Hsi's Sung Confusianism.
      One of the most notable things in the Annotation of Fore Books is how to use honorific expressions towards initiators of the Confucian theory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the annotation, it is found that honorific words are used towards all initiators of the above theory from Yao-Shun to Mencius. Particularly, however, the use of such words was very different between Yen Hui and Tseng-tzu. In other words, honorific words are not used towards the Yen Hui, but too excessively used towards Tseng-tzu.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s one of the Four Books, which were considered quite valuable in the period of Joseon,『The Great Learning』was written by Tseng-tzu, so he was treated as a highly respectable figure in the same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편찬방향
      • 3. 儒家 道統論에 입각한 존대법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편찬방향
      • 3. 儒家 道統論에 입각한 존대법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宋河璟, "李栗谷의 ‘道統論’에 관한 考察" 24 : 202-, 1990

      2 이경무, "유학의 도통과 학적 전통" 대한철학회 92 : 239-264, 2004

      3 이범학, "魏了翁(1178∼1237)의 經世理學과 道統論 -‘道統’과 ‘治統’의 合一" 22 : 125-, 2000

      4 宋靜淑, "韓國에서 『大學章句』의 受容과 展開樣相" 5-6 : 331-, 1990

      5 최석기, "韓國經學 硏究의 回顧와 展望"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158-160, 2003

      6 손성하, "道統試論" 한국철학회 (90) : 36-, 2007

      7 金彦鍾, "退溪의 『論語釋義』 小考" 107-108 : 141-, 2000

      8 丁淳佑, "退溪 道統論의 歷史的 意味" (111) : 6-36, 2002

      9 李忠九, "經書諺解 硏究" 成均館大學校 1990

      10 柳希春, "眉巖集"

      1 宋河璟, "李栗谷의 ‘道統論’에 관한 考察" 24 : 202-, 1990

      2 이경무, "유학의 도통과 학적 전통" 대한철학회 92 : 239-264, 2004

      3 이범학, "魏了翁(1178∼1237)의 經世理學과 道統論 -‘道統’과 ‘治統’의 合一" 22 : 125-, 2000

      4 宋靜淑, "韓國에서 『大學章句』의 受容과 展開樣相" 5-6 : 331-, 1990

      5 최석기, "韓國經學 硏究의 回顧와 展望"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158-160, 2003

      6 손성하, "道統試論" 한국철학회 (90) : 36-, 2007

      7 金彦鍾, "退溪의 『論語釋義』 小考" 107-108 : 141-, 2000

      8 丁淳佑, "退溪 道統論의 歷史的 意味" (111) : 6-36, 2002

      9 李忠九, "經書諺解 硏究" 成均館大學校 1990

      10 柳希春, "眉巖集"

      11 朝鮮史編修會, "眉巖日記草" 國學資料院 2001

      12 유영옥, "眉巖 柳希春의 尊朱子 학풍과 經書諺解" 동양한문학회 26 (26): 249-252, 2008

      13 趙翼, "浦渚集"

      14 한상권, "正祖의 君主觀" 조선시대사학회 (41) : 141-177, 2007

      15 "校正廳本 四書諺解"

      16 兪英玉, "東國通鑑 硏究" 부산대 2004

      17 安鼎福, "東史綱目"

      18 이용주, "朱熹 道統論의 形成과 思想的 課題" (101) : 151-, 1999

      19 지준호, "朱子門人의 道統意識" 동양철학연구회 35 : 360-382, 2003

      20 "朝鮮王朝實錄"

      21 金英心, "朝鮮後期 正統論의 受容과 그 變化 -修山 李種徽의 東史 를 중심으로-" (26) : 175-, 2000

      22 池斗煥, "朝鮮前期 儀禮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7-9, 1994

      23 이영호, "朝鮮中期 經學思想硏究: 16∼17世紀 『大學』註釋書에 대한 分析" 景仁文化社 5-, 2004

      24 崔異敦, "朝鮮中期 士林政治構造硏究" 일조각 264-, 1997

      25 正祖, "弘齋全書"

      26 "小學諺解"

      27 김영두, "宣祖初 文廟從祀 論議와 道統論의 變化" 한국사상사학회 (31) : 343-, 2008

      28 宋時烈, "宋子大全"

      29 李珥, "四書諺解"

      30 李滉, "四書三經釋義"

      31 이영호, "『韓國經學資料集成』의 자료적 특징과그 보완 및 연구의 방향― 『韓國經學資料集成』 所載 『論語』註釋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9) : 89-123, 2005

      32 鄭晩浩, "『四書栗谷先生諺解』 硏究" 槿域漢文學會 20 : 228-232, 2002

      33 金恒洙, "16세기 經書諺解의 思想史的 考察" 10 : 19-,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