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의 삼차신경 감각핵군에서의 연접특성 = Ultrastructural analysis of tooth pulp afferents terminals in the medullary dorsal horn of the r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1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차연접부위에서 악안면 영역에서 유래하는 유해자극의 전달 및 처리기전을 이해하고자 horseradish pe개xidase를 치수지배 구심성 신경섬유를 표식한 후 연수후각에서 미세구조 및 연절 양상...

      일차연접부위에서 악안면 영역에서 유래하는 유해자극의 전달 및 처리기전을 이해하고자 horseradish pe개xidase를 치수지배 구심성 신경섬유를 표식한 후 연수후각에서 미세구조 및 연절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식종말은 소수의 큰 치밀소포가 관찰되는 종말 (S형) 및 다수의 치밀소포를 함유하는 종말 (LDCV형)등 2종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S형 및 LDCV형 표식종말의 연접양식은 유사하였으며, 다수의 표식종말이 1개 혹은 2개의 neurofile과 연접을 이루어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보였다. 표식종말은 가지돌기체 보다는 다수의 가지돌기가시와 연접을 이루는 빈도가 높았다. 표식종말이 세포체 및 이에 인접한 근심부 가지돌기와 연접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소수의 표식종말에서 p-ending과 연접하는 경우를 보였다.
      표식종말의 체적, 표면적, 사립체의 체적, neurofile과 접하는 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단위표식종말당 연접소포의 수 및 연접소포의 밀도등은 넓은 범위의 계측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5명 및 LDCV형 표식종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연수후각에서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 종말의 연접양식은 고유의 특징을 보이며 이는 신경회로의 기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tle is known about processing mechanism of pain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t the 1st synapse of trigeminal sensory nuclei. Serial ultrathin sections of tooth pulp afferent terminals, identified by the transganglionic transport of 1% wheatgerm a...

      Little is known about processing mechanism of pain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t the 1st synapse of trigeminal sensory nuclei.
      Serial ultrathin sections of tooth pulp afferent terminals, identified by the transganglionic transport of 1% wheatgerm agglutinin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 were investigated wih electron microscope.
      Quantitative ultra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igitizing tablet connected to Macintoshi personal computer (software: NIH Image 1.60, NIH, Bethesda, MD).
      Labeled bouton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y the shapes of containing vesicles : S bouton which contained mainly spherical vesicles (Dia. 45-55 nm) and few large dense cored vesicles (Dia. 80-120nm), and LDCV bouton, which contained spherical vesicles as well as large number of large dense coredd vesicles.
      Most of the parameters on the ultrastruotural characteristic and synaptic organization of labeled boutons were similar between S and LDCV boutons, except shapes of containing vesicles. Majority of the labeled boutons showed simple synaptic arrangement. The labeled bouton were frequency presynaptic to dendritic spine, and to a lesser extent, dendritic shaft. They rarely synapsed with soma and adjacent proximal dendrite. A small proportion of labeled boutons made synaptic contacts with presynaptic pleomorphic vesicless containing endings and synaptic triad.
      Morphometric parameters of labeled boutons including volume and surface area, total apposed area, mitochondrial volume, active zone area, vesicle number and density showed wide variation and the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 and LDCV bout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characteristic features on ultrastructure and synaptic connection of pulpal afferents which may involved in transmission of oral pain sens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연구재료 및 방법
      • III. 연구성적
      • IV. 형태 계측학적 분석
      • IV. 고찰
      • I. 서론
      • II. 연구재료 및 방법
      • III. 연구성적
      • IV. 형태 계측학적 분석
      • IV. 고찰
      • VI.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