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 전통예능 가부키의 현대화 양상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74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 「일본 전통예능 가부키의 현대화 양상연구」는 일본 전통예능이 어떻게 성공적인 공연물로서 대중에게 특권화 되는지에 초점을 두면서, 특히 예술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국가의 문...

      본 논문 「일본 전통예능 가부키의 현대화 양상연구」는 일본 전통예능이 어떻게 성공적인 공연물로서 대중에게 특권화 되는지에 초점을 두면서, 특히 예술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국가의 문화정책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통해 현대화된 전통예능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단계별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1) 일본 전통예능 가부키의 해외공연, 문화정책에 관해 과거와 현재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문화교류의 가교가 될 수 있는 이유 및 정부의 참여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해외공연은 공적 문화교류 및 우호친선을 목적으로 전전(戦前)에는 1928년 모스크바공연 1회뿐이지만, 전후(戦後)는 중국, 미국, 한국, 싱가포르 등에서 80여회 공연뿐만 아니라 헤세나카무라좌(平成中村座)의 2004, 2007, 2014년 미국 뉴욕공연, 2008년 유럽공연 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문화교류 면에서 상대 국가의 예술가에게 영향을 끼친 예로써 가부키의 미에(見得)가 영화의 몽타쥬 기법으로 활용되었다고 지적되기도 한다. 정책적인 면에서 쇼치쿠(松竹), 정부, 민간단체, 기업이 관여함으로써 정치적 도구로서의 문화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1979년 중일평화우호조약 체결 기념공연, 1985년 미국과의 무역마찰시 메트로폴리탄 공연, 1988년 서울 올림픽 문화예술축전 공연, 2005년 ‘한・일 우정의 해’를 기념 가부키 한국공연 등이 있다. 이들 공연에 관한 서적, 기사, 관계자의 기술, 해외공연보고서, 극평의 분류, 분석을 통해 파급효과에 주목하여 그 영향력 등을 고찰할 것이다.
      2) 극장제도에서는 전통적 극장공간인 쇼치쿠의 「가부키좌(歌舞伎座) 」 「시어터코쿤(シアターコクーン)」 「헤세나카무라좌」의 공연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가부키전용의 근대극장으로 1889년 개설된 이래 2013년 신축된 「가부키좌」는 1년 내내 전통가부키만을 공연하는 쇼치쿠가 경영하는 대표적 극장이다. 다음으로 「고쿤(コクーン)가부키」를 상영하는 「시어터코쿤」은 勘九郎가『東海道四谷怪談』『夏祭浪花鑑』작품을 1-2년에 1회 상연해 오고 있다. 관객층은 일반 가부키 팬이 아니라 이 극장 이용객이라는 점이 주목할 점이며 흙으로 덮인 무대연출 등의 시도가 나무무대 위에서만 이루어지던 가부키의 무대양식을 뒤엎는 장치로서 고전가부키를 새로운 연출로 상연하고 있는 극장이다. 또한, 「헤세나카무라좌」는 에도시대 소극장 나카무라좌의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한 가설극장이다. 전통을 지키면서 실험적인 접근시도로 보이는 이들 극장공간의 실태를 살펴볼 것이다.
      3)「슈퍼가부키」와 「시네마가부키」의 유연한 다각화를 통한 대중화전략에 대한 제반 양상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둔다. 전통예능의 대중성에 관해서는 「슈퍼가부키」와 「시네마가부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슈퍼가부키」는 전통가부키와는 다른 스펙터클한 연출의 현대적 가부키로, 3대 이치카와 엔노스케(市川猿之助)가 1986년에 처음 시작했다. 첫 작품은 「야마토다케루(ヤマトタケル)」이고, 2014년부터 「슈퍼가부키세컨드(スーパー歌舞伎II)」라 하여 4대 엔노스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에는 인기 만화 『원피스(ワンピース)』와 전통예능 가부키의 합작으로 슈퍼가부키세컨드『원피스』가 상연되어 10만 명을 넘는 관객이 동원되었는데,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획기적 시도로 평가되며 폭넓은 세대로부터 지지를 받게 된 배경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의 만남의 의미를 검토할 것이다. 「야마토다케루」는 기발한 발상을 통해 일상적, 대중적으로 연극성이 풍부한 텍스트로 변화시켰는데, 어떻게 원작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대중화가 가능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시네마가부키」란 가부키의 무대공연을 스크린으로 옮긴 영상작품으로 2005년 첫 작품 『野田版 鼠小僧』를 시작으로 2016년 2월까지 23작품(「鷺娘」「春興鏡獅子」「三人吉三」등)을 공개하고 있다. 쇼치쿠가 제작하여 영화와는 다른 루트로 공개하고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통가부키의 대중화 일환으로 의도적으로 제작된 이들의 공연실태와 의미에 대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자 한다.
      4) 21세기 신감각 전통예능으로의 이행기(移後期): 이상 일본 전통예능 가부키의 현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전통문화의 창조원리와 올바른 계승의 문제를 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가부키가 어떻게 독자적 표현법을 확립하고, 어떤 형태로 과거의 전통을 재생하여 현재의 관객에게 계승하고 표현해 왔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전통예능에 대한 미래전략 방안들을 유추하고 전통공연 브랜드화, 무형문화 유산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 및 국립극장의 전통예능 활성화를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