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수의 액션러닝 수업개발 경험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with Action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74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한 방편으로 액션러닝을 적용한 교수자들의 수업경험을 분석하여 교수 전문역량 향상 지원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한 방편으로 액션러닝을 적용한 교수자들의 수업경험을 분석하여 교수 전문역량 향상 지원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업에 액션러닝을 운영하는 교수자 5명과의 면담자료를 토대로 교수경험의 실태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14개의 주제묶음과 32개의 주제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경험은 수업도입 목적, 학습자 반응, 자신의 변화 인식, 맞춤형 수업설계 및 운영, 어려움과 극복의 다섯 영역으로 정리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수자들은 기존수업의 대안으로써, 그리고 경험을 통한 지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으로 액션러닝을 도입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달라진 수업태도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학습결과 산출, 긍정적인 학습자 피드백을 보였다. 셋째,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으며, 학습자관을 긍정적으로 형성하게 되었고, 일상생활에서도 러닝코치의 역량을 발휘하게 되었다고 스스로의 변화를 인식하였다. 넷째, 맞춤형 과제개발과 수업계획 및 운영, 학습자 관리에 있어서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보다 전문화된 수업계획과 운영 전략에 대한 개선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액션러닝을 진행하면서 러닝코치로서의 노하우와 경험부족과 같은 본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동료와 학생들의 저항이 있었으나 조력자의 지원과 의미있는 성공경험, 이 교수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업 성찰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교수자들의 이러한 수업개발 경험을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교수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implementing action learning at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Colaizzi. This researc...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implementing action learning at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Colaizzi. This research derived 32 theme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experience and the 14 theme clu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five major findings. First, they began action learning as alternative teaching method to facilitate students’ intellectual growth based on experience and learning interest. Second, learners showed active response, high quality learning outcome and positive feedback of the course.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they established identity as a teacher and positive view point of students. Moreover, they applied learning coaching skill in every day life. Fourth, they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terms of the designing learning task, planning instruction and managing learning teams. Lastly, they overcame the difficulties by peer supporting, faith, reflection and learning. Based on this research, the effective way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university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제언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3 양승애,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이혜원, "액션러닝에 기반한 교직실무수업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33-255, 2012

      5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6 진영은,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47-71, 2009

      7 Polkinghorne, D., "사회과학방법론" 일신사 2003

      8 민혜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51-276, 2012

      9 장경원,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7 (27): 475-505, 2011

      10 노혜란, "대학교육에서의 실천학습 설계 요인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78, 2007

      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3 양승애,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이혜원, "액션러닝에 기반한 교직실무수업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33-255, 2012

      5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6 진영은,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47-71, 2009

      7 Polkinghorne, D., "사회과학방법론" 일신사 2003

      8 민혜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51-276, 2012

      9 장경원,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7 (27): 475-505, 2011

      10 노혜란, "대학교육에서의 실천학습 설계 요인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78, 2007

      11 고은현, "대학교 액션러닝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비인지적 학습성과와의 관계 -학습태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477-501, 2012

      12 조형정, "국․내외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 현황 비교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269-293, 2009

      13 민혜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95-219, 2012

      14 엄채윤, "교사의 변화능력에 대한 의미와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91-215, 2012

      15 강인애,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1-34, 2009

      16 O’Neil, J. A., "Understanding action learning" AMA 2007

      17 Colaizzi. P. F.,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n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18 Sparkes, A. C., "Power,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teacher-initiated innovation" 5 (5): 153-178, 1990

      19 Marquardt, M. J.,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Davies-Black 2004

      20 Lincoln, I. K.,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 1985

      21 Weimer, M., "Learner Centered teaching: Five Key Changes to Practice" Jossey-Bass Publishers 2000

      22 Lea, S. T.,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 cente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28 (28): 321-334, 2003

      23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 Prentice Hall 2000

      24 Duffy, T., "Designing environments for constructivist learning" Springer-Verlag 1993

      25 Fosnot, C. T.,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6

      26 Fullan, M. G., "Change forces: probing the depths of educational reform" Falmer Press 1993

      27 Naftalin, I. H.,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flicting or compatible goals?" 24 (24): 193-205, 1996

      28 Tom, B., "Action learning across a university community" 37 (37): 2-9, 2000

      29 봉현철, "Action Learning 운영단계별 러닝코치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15 : 59-80, 2007

      30 Pike, J., "Action Learning on an academic course, In Action learning in practice" Gower 141-151,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