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화에 있어 同視的시각의 조형성 연구 : 多視點의 평면환경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ion in the field of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01960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 弘益大學校 大學院 , 繪畵科 , 2001. 8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3.11 판사항(4)

      • DDC

        750.18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 [2], 106p. : 삽도,도판 ; 26cm .

      • 일반주기명

        부록: 김태은 전: 視覺的封入裝置 1책
        참고문헌: p. 96-99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눈에 의한 시각체계와 이를 바탕으로 전개된 시각예술, 특히 동 시적 시각의 사고를 바탕으로 전개된 회화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영상 분야를 포함, 멀티미디어 분야가 지니고 있...

      본 논문은 눈에 의한 시각체계와 이를 바탕으로 전개된 시각예술, 특히 동 시적 시각의 사고를 바탕으로 전개된 회화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영상 분야를 포함, 멀티미디어 분야가 지니고 있는 동시성의 관계를 회화의 조형성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 졌다. 이러한 주제는 회화의 평면성과 함께 시간과 공간의 여러 가지 접근 방식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다. 회화의 존재방식이라 할 수 있는 평면의 미학은 인간의 시각체계를 통해 생산되어 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역으로 우리의 시각체계의 흐름에 있어 변화의 주체 가 되기도 한다. 동시적 시각의 회화 연구는 단일 시점의 공간체계에 대한 '대안적 시각체계'로서 시간과 공간의 함수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져 왔는데 본 논문도 이러한 시도의 한 맥락으로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15세기 르네상스 원근법 이래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온 시각(視覺)은 세상 을 보는 매개체로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오감(五感)중에서 가장 그 중요도를 더해가고 있다. 현대의 시각체계는 과거 원근법과 비교하여 매우 확장된 영역에까지 와 있다. 그 배후에는 사진기술에 뒤이은 영화의 발전, 비디오, TV 의 전자매체로의 이행, 그리고 지금도 계속 연구되고 있는 디지털의 가상공간이 존재한다. 이 모든 것은 눈에 대한 시각적 장치들이며 인간은 단순한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이 시각적 장치들에 의존하여 시야(視夜)의 범위를 물질세계에서 비 물질세계로까지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매체의 변화에 따른 회화와 시각의 문제를 동시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회화작품에 있어 조형적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적 사고의 전개와 그 표현 방법의 실험들을 중심으로 회화평면의 정지공간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공간과 시점과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입체주의(cubism)와 미래주의(futurism)를 예로서 비(非) 원근법적 시각체계를 분석하고 그들의 기본적 시각체계와 표현에 있어 공통 적인 장치로서 영화의 원리를 연관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영화와 회화의 동시적 조형성과 그 성격을 비교하는 것은 동시적 사고를 연구하는 데 있어 회화의 평면조건과 영화의 평면조건의 근본적 차이점을 구분 짖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매체로의 연구에 앞서 먼저 일차적 시각 체계로서 인간의 눈에 대한 시각현상에 대해 생리학적 접근을 통해 알아보고 회화의 평면성과 시각의 관계에 따라 발생된 원근법과 비(非)원근법을 살펴봄으로서 동시적 사고의 필연성을 추측해 본다. 그리고 입체주의의 동시적 시각에 따른 동시적 공간구성과 미래주의의 움직임에 대한 동시적 시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동시적 시각의 매체확장에 대한 연결고리로서 회화의 꼴라쥬(collage)와 영화 몽타쥬(montage)를 비교한다. 그럼으로 회화로부터 파생된 영상 매체들 간의 기술적이며 조형적 근원의 존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매체간 동시적 사고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접근 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몇 가지 심리학적 이론을 근거로 동시적 사고를 함에 있어 본능적이며 충동적인 본질로도 확대 시켜 연관지으려 한다. 또한 회화에 있어 동시적 시각의 매체 확장에 따른 동시적 징후를 살펴봄으로써 시각예술에 있어서 시각체계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in the field of multi-media, including the visual image in the future, by studying the visual system by eyes and the developed visual arts bas...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in the field of multi-media, including the visual image in the future, by studying the visual system by eyes and the developed visual arts based on the visual system, in particular, by studying the pictures which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hought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These kinds of subjects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various approaches of the time and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lane characteristic of paintings. The aesthetic of plane which can be said as the method of being for paintings has been created and developed, and on the contrary it becomes the main body of changes on the flow of our visual system. The study on the pictures of the simultaneous view point has been studied with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time and the space, as an 'alternative visual system' for the space system of the single point of view. Basically, this study has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those trials so far.
      The view point,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since the Renaissance perspective in the 15th century,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out of the five senses of a human being as a medium to see the world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odern visual system is pretty advanced comparing to the perspective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 followed by movie technology and the transition of video and TV to the electronic media, as well as the developing cyber space, etc are existing at the back of the advancement. All of these are visual appliances for the eyes and, accordingly, the ranges of vision of human beings are leaping forward even to the non-material world from the material world, relying on these visual appliances, not seeing the world with simple eyes. This study intends to handle the problem of painting and visual s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based on the simultaneous methods from this standpoint.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on-perspective visual system, beginning with the cubism and the futurism, and then review the basic visual system and common appliances by connecting with, and through the principle of movies.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speculate the inevitability of the simultaneous thoughts by reviewing the visual phenomenon for the human eyes as a primary visual system through the physiological approaches and analyzing the perspective and non-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plane delineation of pictures. And I am going to compare the collage of pictures with the montage of movies as a connection ring to the media expansion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as well as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ultaneous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of the cubism and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for the movement of the futurism.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basic existences between the technical screen media derived from pictures, paving the way toward approaching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connect the impulsive nature to the simultaneous thoughts, based on a couple of psychological theories. Finally, I will review the prospects of the visual system on the visual arts by examining the simultaneous symptom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 expansion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on the pic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i
      • 序論 = 1
      • 本論
      • I. 시지각(視知覺)과 동시적 사고 = 5
      • 목차
      • 國文抄錄 = i
      • 序論 = 1
      • 本論
      • I. 시지각(視知覺)과 동시적 사고 = 5
      • 1. 시각현상과 시지각 = 5
      • 가. 시각의 의미와 깊이 지각의 원리 = 5
      • 2. 시지각적(視知覺的) 사고 = 8
      • 가. 시각의 기하학 - 원근법 = 8
      • 나. 비원근법적 사고 = 12
      • 3. 동시적(同視的)사고의 생성 = 15
      • 가. 동시적 충동 = 16
      • (1) 동시적 사고의 생성 = 16
      • (가) 신경망적 분석을 통한 접근 = 16
      • (나) 심리학적 접근 = 18
      • II. 동시적 사고의 조형적 방법론 = 21
      • 1. 입체주의의 시각구성 = 21
      • 가. 세잔느의 조형관과 시각환경 = 21
      • 나. 분할의 개념 = 25
      • 다. 연속성의 문제 = 29
      • 라. 투시 = 33
      • 2. 미래주의의 시각구성 = 35
      • 가. 모네의 연작 = 35
      • 나. 영화와 움직임 = 39
      • (1) 영화의 시간성 = 39
      • (2) 회화 캔바스(canvas)와 영화 스크린(screen) = 41
      • 다. 미래주의 회화와 연속성 = 45
      • 3. 꼴라쥬와 몽타쥬 = 51
      • 가.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꼴라쥬 = 51
      • 나. 꼴라쥬 - 병치와 분할의 공간 = 54
      • 다. 몽타쥬 - 시각정보 = 56
      • (1) 포토 몽타쥬(Photo-montage) = 56
      • (2) 영화 몽타쥬 = 58
      • 라. 회화 꼴라쥬의 병치와 영화 몽타쥬 편집 = 60
      • 4. 매체확장에 따른 동시적 징후 = 63
      • 가. 매체의 확장 = 63
      • (1) 매체간의 접합 = 63
      • 나.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 = 66
      • (1) 텔레비젼과 비디오 = 67
      • (2) 인터랙티브와 가상공간에 대한 동시성의 의문점 = 70
      • III. 동시적 조형환경 - 다시점의 화면(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74
      • 1. 기계적 감성 = 76
      • 2. 작품의 전개 = 76
      • 가. 기하조작 = 76
      • 나. 움직임의 분할화면 = 79
      • 다. 기계적 기호들 = 82
      • 3. 연속성과 착시 효과 = 83
      • 가. 빛에 의한 착시현상 = 84
      • 나. 동시적인 화면의 실험 = 87
      • 結論 = 91
      • 참고문헌 = 96
      • 도판 = 100
      • Abstract = 1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