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Natural Toxin의 안전성 평가연구  :  Ochratoxin A의 생식독성에 관한 연구 Reproductive toxicity of ochratoxin A = Safety Evaluation of Natural Tox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8638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Ochratoxin A (OTA)는 Aspergillus와 PeBicillum속에 속하는 진균룬가 생성하는 mycotoxin의 일종으로 엇드, 마우스 및 햄스터를 이용한 invivo시험에서 태자의 체중감소, 골화지연 및 중추신경계 이상이 보...

      Ochratoxin A (OTA)는 Aspergillus와 PeBicillum속에 속하는 진균룬가 생성하는 mycotoxin의 일종으로 엇드, 마우스 및 햄스터를 이용한 invivo시험에서 태자의 체중감소, 골화지연 및 중추신경계 이상이 보고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전배자배양법을 이용하여 OTA가 embryo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embrl·onic mid-brain cells를 이용하여 embryot()xicity의 작용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임신 9.5일째 rat whole embryo에 07,'1(0.5-4tg/mf)를 48 시간 노출시킨 결과 쇼두증(microcephalys)을 일으켰으며, 소두증을 일으키는 농도 (1 및 3f
      g/mf)에서 whole embryo의 protein 및 DNA함략이 감소하였고 DNA합성이 저하되었다. 소두증이 embryonic midbrain cells의 분화 및 증식억제에 의한 결과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신 12일째 rat embrl·o에서 midbrain cells를 분리하여 96시간 OTA에 노출시킨 결과 0.Sfg/mf에서 까포 분화를 50% 억제하였고 세포증식도 저왜귀였다. Smbryotoxicity가 OTA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산회적 손상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whole embryo (1.5 및 3rg/mf OTA:i와 midbrain cells (0.25와 0.Srg/mf OTA)에서 OTA엔 의한 f-91u1am?t-
      transpeptidase activity (γ-GT), glutathione peroxidase (GP보j activ쓿y 및 91utathione content변화를 측정한 결과 γ-GT는 약간 증가한 반면 glutathione 함량은 감소하였고 GP린 활성은 변화가 없었파, 이상의 결과는 1) OTA는 0.Sr9/m1이상의 농도에콕 소두증을 일으키는 embryotoxic하며 2) m전brain 세포분화 띤 증식읔제rl소두증을 일으키는 기전에 부분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되며 3) 07.4의 embryoto온c균y에 있어서 산화적 손상의 역할에 대하여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핏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ratogenic effects of ochratoxin A (OTA) were studied in cultured rat whole embryo from day 9.5 gestation for 48 hrs. All embryos exposed to more than 0.Sfg/mj OTA weredevelopmentally defects. T:he mest effect was seen in head causiug microcephaly. P...

      Teratogenic effects of ochratoxin A (OTA) were studied in cultured rat whole embryo from day 9.5 gestation for 48 hrs. All embryos exposed to more than 0.Sfg/mj OTA weredevelopmentally defects. T:he mest effect was seen in head causiug microcephaly. Protein and DNA con-tent, and DNA syntllesi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OTA. In separated experiment. we eBaminedwhether the microcephaly seen in cultured whote embryo partially results from inhibition ofdiffereBtiation of midbrai:R cetls. Embryonic midbrain cells were extracted from day 12 gestation rat em-bryos, and cultured for 96 hrs. 0_Sfe/mf OTA inhibited cell differe·ntiation about 50% over control, andalso iBhibited cell proliferation significantly, but did Bet change DNA and protein conteBt. We also test-ed whether OTA-induced toxicity in embryos would be associated rrith oxidative damages. We measuredthe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 γ-fT ) and glutathione peroxidase ( GPX ) activites, and glutathi-one (eSH ) content in both cultured whole embryos and embryonir midbraiB cells. OTjt decreased GSHcontent, but slightly increased γ-GT activity, whereas GPX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These ?efults show that OTA caused the microcephaly and its effect may be partially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differentiatioil of embryonie midbrain cells, but the role of oxidative damage is not clear inernbryotoxic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