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기업의 아세안 직접투자 결정요인 : 중국 시장 대안으로서의 아세안 투자 환경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8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92, wh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 diplomatic relationship, Korea’s economic dependency on Chin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As China’s government has tried to transform the industry structure and enhance the market competitivenes...

      Since 1992, wh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 diplomatic relationship, Korea’s economic dependency on Chin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As China’s government has tried to transform the industry structure and enhance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local firms, Korean firms’ advantages have been diminished. Moreover, the soft landing of China’s economic growth has affected Korea’s economy as well. Recently, Due to recent geopolitical issues, China has tried to apply economic pressure. Highly dependent economic structure on China was exposed as a Korea economy’s weakness.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for Korean firms to spread the business outside of China and find alternative markets for a new growth engine.

      In 2015, ASEAN Economic Community (AEC) was launched. As the fourth biggest market in the world, ASEAN was spotlighted as an alternative market for Korean firms. Indeed, it was not the first time ASEAN drew attention. It was one the most attractive targets among investors until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2000s. Korean firms have invested countries such as Vietnam or Indonesia for a production base due to China no longer providing an efficient environment for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purpose and scope of foreign investment in ASEAN has been diversified and expanded as the ASEAN economy has grown - i.e. acquiring production bases to developing domestic market and manufacturing to service sector.

      Many institutions lik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o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have actively researched each of the ASEAN markets and their entry strategies for Korean firm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in the Korean firms’ direct investment determinants in ASEAN, especially service sectors which recently became more important. This paper analyzes the macroeconomic perspective, government policy, and social infrastructure of each ASEAN country compared to China. Using a panel regression, the factors of Korean firms’ direct investment inflows in 10 ASEAN countries over the period 2005 to 2016 was explored. It would provide helpful implications for any Korean firms to make decisions to enter the ASEAN markets or reinvest.

      The ASEAN markets are not as attractive as China considering its scale of economy, economic growth and stabilization of prices as well as their foreign exchange rate.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bigger portion of the population under 40 years old. Moreover, wage rates are much lower than Korea and slightly lower than China, except Singapore. Moreover, the ASEAN economic systems are more open to the outside world than China regarding the dependency on international trading.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markets are efficient enough to develop not only manufacturing but also service sectors. The polici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social institutional environment are varied by country. Relatively developed countries like Singapore, Malaysia, or Thailand have well-organized infrastructures of business and are more open to FDI, which the late ASEAN countries do not have. However, in comparison to 10 ASEAN countries, China’s environment level remains the middle: half of ASEAN markets are acceptable and attractive as a destination of FDI.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reveals that the FDI in ASEAN by Korean firms is related to market size (GDP), openness (a portion of trading in GDP), government influence (government expenditure in GDP), social infrastructure (telephone registration),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fficiency and information disclosur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o 2009, institutional factors became more significant than they were during the previous period (2005-2009). Moreover, the FDI in service sectors is affected by market openness, whereas the FDI in manufacturing is affected by the geographic proximity.

      This result would provide objective clues for Korean firms in decision-making - whether they would enter the ASEAN markets, or would invest additional funds to existing businesses or not - by comparing each of the 10 ASEAN countries’ investment environments and tracking significant fa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 수교 25년,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의존도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산업고도화와 로컬기업 경쟁력 향상으로 한국 기업의 우위요소는 약화되고, 중국 경제 연착륙에 따른 ...

      한중 수교 25년,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의존도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산업고도화와 로컬기업 경쟁력 향상으로 한국 기업의 우위요소는 약화되고, 중국 경제 연착륙에 따른 한국 경제 성장률 동반 하락세가 나타나며, 최근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에 기인한 정치·외교적 갈등에 말미암은 경제적 압박까지 발생하자, 높은 중국 시장 의존도는 한국 경제의 약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중국 시장 집중도 분산 및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대안 시장 발굴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아세안경제공동체(AEC)를 출범하며 인구 규모 세계 3위의 경제영토로 확장한 아세안 시장은 중국 시장 대안으로서 한국 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사실 아세안은 신흥시장 투자 열풍이 불었던 90년대부터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0년대 후반까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던 곳이며, 한국 기업도 중국의 생산비 증가에 따른 대안 시장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심의 활발한 투자를 진행해왔다. 그리고 최근 아세안 경제 수준 향상 및 적극적인 외자유치정책에 따라 생산기지 확보 목적의 제조업 투자뿐 아니라 내수 시장 개발 목적의 서비스업 투자로 투자의 목적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아세안 시장 매력도가 확대됨에 따라 각 연구기관에서 아세안 개별 국가 단위의 시장 분석 및 진입전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기업의 아세안 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은 많지 않으며, 특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서비스업에 대한 결정요인 연구는 희소하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 시장 대안으로서의 아세안 투자환경을 거시경제적, 정책적, 사회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기업의 아세안 10개국에 대한 직접투자 결정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아세안 시장 신규진출 또는 재투자를 준비하는 한국 기업의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아세안 시장은 경제규모 및 성장성 측면에서는 중국만큼의 매력을 보이지 않으나, 30대 이하의 젊은 소비층 인구 비중이 높고 싱가포르를 제외한 아세안 국가의 임금 수준이 현저히 낮아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고루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이다. 또한 경제 구조의 대외 의존도가 높아 경기 변동성에 취약한 측면은 존재하나, 그만큼 외국인자본에 대한 경제 개방도가 높은 장점을 지닌다. 외국인투자 정책 및 사업 환경 측면에서는 국가 별 편차 존재하는데 경제 발달 수준이 높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의 경우 제도적 기반이 선진화 되어 있는 반면 공산주의 후발 아세안 국가는 아직 시장 개방도가 낮고 제도적 기반이 열악하다. 중국이 아세안 10개국 중 평균적인 수준임을 감안할 때 아세안 시장의 투자환경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국가에 따라서 중국 대비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한국 기업의 아세안 직접투자 결정요인은 시장 규모(GDP)와 시장 개방도(무역비중), 정부 관여도(정부지출 비중), 인프라(전화등록수) 및 제도 수준(행정절차 용이성 및 정보 투명성) 측면에서 유의성 나타내었다. 또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투자국의 제도 수준 중요성이 확대되었으며, 산업 별로 서비스업에서는 시장 개방도, 제조업에서는 지리적 접근성이 유의미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향후 아세안 국가 진출을 준비하는 한국 기업은 직접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추적하고 아세안 10개 국가 별 투자환경을 비교함으로써 진출 의사결정의 객관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