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계고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 연구 = Study about Influence factors on Basic job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0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로 학생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에서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학생의 성별에 따...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로 학생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에서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2016년도 교육부‧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한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학생들의직업기초능력평가 전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인에서 평가에 대한 목적을 인식할수록 평가 만족도가높고,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직업기초능력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마이스터고, 일반고, 특성화고의 순으로 직업기초능력이 높았으며 설립구분에 따른 차이로 사립이 공립보다 높은 직업기초능력을 나타냈고 학교 별 취업률이 높을수록높은 수준의 직업기초능력을 보였다. 반면 학교에서 평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일수록 학생 개인의 직업기초능력은낮았는데 이를 통해 학교에서 평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학생 개인의 직업기초능력을 높이는 것으로는이어지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성별과 관련하여 개인의 영향요인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고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에서는여학교, 남학교, 남녀공학의 순으로 높은 직업능력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 직업기초능력의 함양,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직업기초능력평가문항의 개발 그리고 평가의 시행과 활용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정책적기초자료를 제언함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basic job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student. To do this, we analyzed data on the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Up...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basic job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student. To do this, we analyzed data on the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Upgraded Proficiency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school and Vocational class of General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Chamber & Commerce Industry in 2016. As a result, it was found the higher basic ability of occupation when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valuation and the longer time spent. As for the school factors, the basic job abi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Meister,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 high schoo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showed that the private school had higher basic ability than the public school, and the higher percentage of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as the effort to evaluate the school has been made, the individual's basic job ability has been low but the school has made an effort for evaluation. This does not lead to the actual increase of the individual's basic job ability.
      According to gender, female had higher level of job ability than male. And in school factors, female, male and coeducational schools showed higher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ningful basic polic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job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items of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Upgraded Profici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언, "한국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실태와 형성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1-24, 2006

      2 유가현, "학교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3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고 집단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25-548, 2012

      4 이휘인,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 및 중학생의 특성화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2014 서울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169-190, 2015

      5 윤지영, "특성화고 학생의 인지능력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응 및 조직적응의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97, 2018

      6 최동선, "특성화고 졸업 취업자의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1-21, 2013

      7 류성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계열별 교육에 따른 진로의식 차이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윤지영, "중학생의 과학 흥미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 홍콩, 미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31-356, 2017

      9 이상명,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20, 2013

      10 김기홍,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 임언, "한국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실태와 형성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1-24, 2006

      2 유가현, "학교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3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고 집단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25-548, 2012

      4 이휘인,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 및 중학생의 특성화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2014 서울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169-190, 2015

      5 윤지영, "특성화고 학생의 인지능력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응 및 조직적응의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97, 2018

      6 최동선, "특성화고 졸업 취업자의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1-21, 2013

      7 류성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계열별 교육에 따른 진로의식 차이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윤지영, "중학생의 과학 흥미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 홍콩, 미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31-356, 2017

      9 이상명,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20, 2013

      10 김기홍,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1 이성회, "세계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초·중·고 학교급 별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3, 2017

      12 백운경,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현황과 발전과제" 한국상업교육학회 21 : 39-61, 2008

      13 최호승,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정부의 취업정책과 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503-524, 2013

      14 강혜선, "상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상업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407-433, 2013

      15 배상훈, "마이스터고 학생의 학교소속감, 학교만족도, 학교수업 및 진로지도에 대한 인식: 특성화고 및 일반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155-180, 2011

      16 장수연, "대학생활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5

      17 김진희, "대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자기 통제력과 건강 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17 (17): 81-100, 2016

      18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19 조형정, "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 역량 간 관계에서 자기관리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67-290, 2016

      20 최준열, "대학생의 외부활동경험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2 (12): 63-84, 2017

      21 김안나,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0 (30): 367-392, 2003

      22 홍아정,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89-417, 2015

      23 교육부, "기업이 주목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실시"

      24 김민웅,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직업기초능력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151-171, 2015

      25 김민웅,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177-195, 2016

      26 조영민, "고등학생의 평가인식 유형 분석 : 성취목표지향성, 시험불안 및 학습참여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2017

      27 김소라, "고등학생 근로경험과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 및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71-785, 2013

      28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29 백유미, "건강보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학년과 성별의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273-5281, 2015

      30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31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sntice-hall 1986

      32 Washer, P., "Revisiting key skills: A practical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13 (13): 57-67, 2007

      33 Schiefele, U,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26 (26): 299-323, 1991

      3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