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연의 천기 개념 형성 배경과 시적 형상화의 양상 =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Kim, Chang-heup’s Concept of Cheongi(天氣) and the Aspect of its Poetic Image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im, Chang-Heup’s theory of Cheongi into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his understanding about Cheongi in his poems. In Kim, Chan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im, Chang-Heup’s theory of Cheongi into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his understanding about Cheongi in his poem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concept of Zhuangzi’s Cheongi expresses freedom from Shiyu(嗜慾: preferences and desires) based on the restriction of sensory organs and the subjective knowledge as ‘Wangqi(忘機: forgetting the secular world).’ The concept of Cheongi colligating with Qiwulun(齊物論: discourse on seeing all things as equal) is expressed as the enjoyment to find out the movement of Cheongi vibrant with life of small things and live a satisfactory life.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in Kim Chang-Heup’s poems is cognitively established on Zhou Dunyi’s Tai Chi Theory. He considered that the creation and change of being are derived from Tai Chi, understood the essence of the world as the theory of Ti Yong(體用: Substance-Function), and captured the movement of Cheongi in the private and social life of human beings. Cheongi is will to live(活意) from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形氣), and is heavenly principles are analyzed with their own Nyaya; the life of Cheongi, emerged as th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 in the real world, is positively approved as the mechanism to develop heavenly principles. This concept of Cheongi is colligated with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world was a satisfactory place to accept the true nature of people over their social positions, to appreciate the worth of materials and people, and to enjoy own life based on the own existence principl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The concept of Cheongi analyzed with Tai Chi theory and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 between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shares things in common with Zhuangzi’s Qiwulun. Zhou Dunyi accepted the opinion quoting “其嗜欲深者,其天機淺(More preferences and desires one has, further the one grows away from heavenly principles)” by Zhuangzi; as a resul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view of self-cultiv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삼연 김창흡의 천기 개념을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대별하여 그의 천기에 대한 인식이 시 작품에 표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삼연의 시에서 장자적 천...

      이 글은 삼연 김창흡의 천기 개념을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대별하여 그의 천기에 대한 인식이 시 작품에 표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삼연의 시에서 장자적 천기 개념은 감관의 속박과 기욕에서 벗어난 자유를 ‘망기(忘機)’로 표현하였고, 제물론적 사유와 결부된 천기 개념은 작은 사물의 발랄한 생명성에서 약동하는 천기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즐거운 삶을 누리는 흥으로 표현하였다.
      삼연의 시에서 발견되는 성리학적 천기론은 주돈이의 태극론에 인식적 뿌리를 두고 있다. 삼연은 존재의 생성·변화의 근원을 태극에 두고, 세계의 본질을 체용의 원리로 이해하여 물태에서 천기의 움직임을 포착하였다. 천기는 형기의 ‘활의(活意)’이고 천리는 본연의 ‘정리(正理)’로 해석하여, 현실세계에서 형기로 드러나는 천기는 천리를 발현시키는 기제로서 그 생명력을 긍정적으로 인정하였다. 이러한 천기 개념은 인물성 동론에 결부되는데, 삼연의 시에서는 신분귀천을 넘어 사람의 진솔한 성정을 인정하고 물성과 범인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며 만물이 각자의 존재원리에 따라 생명을 누리는 충만한 세계로 표현되고 있다.
      삼연의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은 그 인식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태극론과 인물성 동론의 관점에서 해석한 천기 개념은 장자의 제물론적 사유와 상통하고, 주자가 장자의 ‘기욕천기론’을 원용한 견해를 수용한 결과 수양론적 관점에서도 유사성이 발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숙, "한국한시론에 있어서 천기에 대한 고찰(3) -朝鮮詩의 完成과 詩人의 才能-" 한국시가학회 28 : 425-454, 2010

      2 김혜숙, "한국한시론에 있어서 천기에 대한 고찰(2)-천기와 성정" 한국한시학회 3 : 1995

      3 진영미, "천기의 개념과 특성" 한국시가학회 5 : 1999

      4 "주자어류"

      5 료명춘,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1994

      6 성백효,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1998

      7 "졸수재집"

      8 민병수, "조선후기 시론 연구-18세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소 11 : 1990

      9 김흥규, "조선후기 시경론과 시의식"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2

      10 張源哲, "조선후기 문학사상의 전개와 천기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3

      1 김혜숙, "한국한시론에 있어서 천기에 대한 고찰(3) -朝鮮詩의 完成과 詩人의 才能-" 한국시가학회 28 : 425-454, 2010

      2 김혜숙, "한국한시론에 있어서 천기에 대한 고찰(2)-천기와 성정" 한국한시학회 3 : 1995

      3 진영미, "천기의 개념과 특성" 한국시가학회 5 : 1999

      4 "주자어류"

      5 료명춘,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1994

      6 성백효,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1998

      7 "졸수재집"

      8 민병수, "조선후기 시론 연구-18세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소 11 : 1990

      9 김흥규, "조선후기 시경론과 시의식"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2

      10 張源哲, "조선후기 문학사상의 전개와 천기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3

      11 이동환, "조선후기 문학사상의 전개와 천기론" 한국한문학회 28 : 2001

      12 조성산,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경세론 연구" 고려대학교 2003

      13 감산, "장자선해" 세계사 1991

      14 "장자"

      15 진제교, "이계 홍양호 문학론-천기론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15 : 1999

      16 "삼연집습유" 한국고전번역원

      17 김창흡, "삼연선생문집" 경인문화사, 문집편찬위원회 1988

      18 이종호, "삼연김창흡의 시론과 그 비평사적 의의" 동양한문학회 19 : 1997

      19 김남기,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2001

      20 김형술, "백악시단의 진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1 "맹자집주"

      22 "농암집"

      23 "근사록"

      24 "계곡집"

      25 金南基, "金昌翕의 산수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6 유호진, "曹偉 詩의 天機描出樣相과 그 意味 - 精神的 自由에의 志向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4 (4): 41-77, 2005

      27 鄭然峰, "張維 詩文學 硏究 : 莊子的 天機論을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28 이훈, "天機論의 史的 變移와 農巖의 ‘天眞’ 개념 再論" 한국한문고전학회 28 (28): 251-278, 2014

      29 정길수, "天機論'의 문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7) : 43-68, 2006

      30 임유경, "18세기 천기론의 특징" 한국한문학회 19 : 1996

      31 손정희, "17세기 조선의 관물론에 나타난 완물과 천기 개념의 연구" 서울대학교 2012

      32 이승수, "17세기 말 천기론의 형성과 인식 기반 연구" 한국한문학회 18 : 1995

      33 강명관, "16세기 말 17세기 초 의고문파의 수용과 진한고문파의 성립" 한국한문학회 18 : 297-299,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4 1.2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