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활용한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 탐방 행태 분석 및 관리 방안 제언 = Managerial Implication of Trails in the Teabaeksan National Park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s Using Automatic Visitor Counter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5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uilt a model to predict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18 trails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the auto-counter system data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each trail and classified the trails by v...

      This study built a model to predict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18 trails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the auto-counter system data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each trail and classified the trails by visitors’ behaviors.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of the 18 trails indicated that the events, such as the National Foundation Day celebration of Snow Festival, affected the number of visitors of all of the 18 trails and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d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The long-holidays of three days or longer and other national holidays also affected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the trails. Precipit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number of visitors of trails where the intention of most visitors was for sightseeing or camping instead of hiking, whereas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number of visitors of trails where many visitors intended for hiking. It indicated that visitors who intended for hiking went ahead hiking even if the weather was po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visitors who intended for hiking but a negative effect on the number of visitor to the trails near Danggol Plaza where the Snow Festival was held in each winter, suggesting that the impact of the Snow Festival was the deterministic factor for trail management. Results of K-mean clustering showed that the 18 trails of the Taekbaeksan National Park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ose affected by the Snow Festival (type 1), those that have sightseeing points and so were visited mostly by non-hikers (type 2), and those visited mostly by hikers (type 3). Since visitor behaviors and illegal actions differ according to the trail type,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to prepare a trail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trail characteris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간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를 유형...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간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를 유형화하였다. 일일 탐방객수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 실시한결과, 개천절이나 눈축제 등 행사는 모든 탐방로의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쳐, 태백산국립공원의 일일 탐방객수를 결정하는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3일 이상 휴일이 연속되는 연휴와 일반 공휴일도 대부분의 탐방로의 일일 탐방객수에영향을 미쳤다. 강수량은 비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산행 목적 탐방객들은 날씨가 궂더라도 산행을 강행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기온은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눈축제가 열리는 당골광장인근의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쳐, 눈축제의 영향권인지 여부가 탐방로 관리에 결정적 요인이었다. K-mean clustering을 이용하여 18개 탐방로를 유형 분류한 결과, 태백산국립공원의 탐방로는 눈축제에 영향을 받는 유형(유형 1)과, 가까운 거리에 볼거리가 많아 비산행 탐방객이 많은 유형(유형 2), 그리고 산행을 목적으로 온 탐방객들이 대부분인 유형(유형3)의 3개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탐방로 유형별 탐방객 행태와 불법 행위 유형이 다르므로, 유형별 특성에 맞춰 탐방로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훈, "태백산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을 위한 평가항목 및 가중치 설정"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292-302, 2019

      2 고동욱, "축제평가요인에 의한 지역축제간 만족도 비교 -태백산 눈축제, 쿨시네마, 철쭉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4 (24): 143-158, 2010

      3 남엽,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훼손현황과 환경피해도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605-614, 2015

      4 심재욱, "위치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보행탐방경로와 이용자 행태의 부합성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22 (22): 145-157, 2020

      5 강다인, "북한산국립공원의 탐방객 수와 훼손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9 (19): 81-89, 2016

      6 유기준,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145-151, 2008

      7 조우, "백두대간권역 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의 훼손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827-834, 2012

      8 김사랑,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 이용행태 및 인식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734-747, 2019

      9 유기준, "국립공원에서의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탐방객과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35-43, 2003

      10 조우, "국립공원 입산시간지정제 정착을 위한 정책 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636-644, 2015

      1 신지훈, "태백산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을 위한 평가항목 및 가중치 설정"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292-302, 2019

      2 고동욱, "축제평가요인에 의한 지역축제간 만족도 비교 -태백산 눈축제, 쿨시네마, 철쭉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4 (24): 143-158, 2010

      3 남엽,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훼손현황과 환경피해도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605-614, 2015

      4 심재욱, "위치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보행탐방경로와 이용자 행태의 부합성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22 (22): 145-157, 2020

      5 강다인, "북한산국립공원의 탐방객 수와 훼손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9 (19): 81-89, 2016

      6 유기준,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145-151, 2008

      7 조우, "백두대간권역 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의 훼손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827-834, 2012

      8 김사랑,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 이용행태 및 인식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734-747, 2019

      9 유기준, "국립공원에서의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탐방객과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35-43, 2003

      10 조우, "국립공원 입산시간지정제 정착을 위한 정책 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636-644, 2015

      11 심규원,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국립공원 탐방수요 예측"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124-130, 2011

      12 Kwon, T. H.,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on the mountainous national park using the impact rating class of trail(I)-In the case study of Bukhansan National Park" 115 : 257-266, 2001

      13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Carrying Capacity Management system Research" 2007

      1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kbaeksan National Park Office, "Building a Pa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for Factor Affecting Visitor Management"

      15 Gujarati, D. N.,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2004

      16 Woo, K. D., "Analysis of temporal・spatial use distribution of visito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7 : 53-59, 2003

      17 Hartigan, J.A., "Algorithm AS 136: A K-means clustering algorithm" 28 : 100-108, 1979

      1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A Validation Study on the Status and Use Pattern of National Park Visitor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Big Data" 2017

      1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9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