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하이브리드 전쟁의 군사적 분석 : 크림반도 군사작전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Russian Hybrid War from the Military Point of view : Focused on the Military Operation in the Crim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0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4년 3월 크림반도를 인명피해가 거의 없는 가운데 합병에 성공한 러시아의 새로운 전쟁수행방식을 서방에서는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으로 규정하고 있다. 선전포고 없이 국가가 동...

      2014년 3월 크림반도를 인명피해가 거의 없는 가운데 합병에 성공한 러시아의 새로운 전쟁수행방식을 서방에서는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으로 규정하고 있다. 선전포고 없이 국가가 동원할 것이라 생각하기 어려운 다양한 비정규부대와 범죄조직을 은밀히 혼합하여 활용하는 러시아의 전쟁방식을 두고 서양에서는 경악했고 학계에서는 그 효과에 주목했다. 특히 여러 가지 전쟁수행 수단을 혼합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인 모호성(Ambiguity)은 국제정치학에서 주목하는 하이브리드 전쟁의 핵심적인 효과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군사사적인 관점에서의 하이브리드 전쟁 연구는 미흡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전장에서의 생산적인 대응방안 논의를 위해서는 전쟁사적인 관점에서 러시아의 전쟁수행방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다양한 전쟁수행 수단들과 이로 인한 효과인 모호성에 주목하는 국제정치학적 측면만이 아니라 시·공간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군사사적인 측면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크림반도에서의 군사작전은 ‘여건조성→중요시설 장악→기정사실화→전쟁종결/안정화’의 각 단계별로 이루어졌다.
      ‘모호성’이 정치적 정책결정자들의 위협 인식을 위해 필요하다면 하이브리드 전쟁의 군사적 분석은 전장에서의 전략가·전술가들을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크림반도 군사작전은 하이브리드 전쟁이 가장 주목받게 되는 계기였으며 하이브리드 전쟁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북한 역시 다양한 비대칭 전쟁수단들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전쟁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분석하고 군사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Hybrid Warfare in the Ukraine War focusing on the military operation in the Crimea. Existing study about Hybrid warfare is to analyze the ambiguity which is revealed by using multiple means of warfare such as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Hybrid Warfare in the Ukraine War focusing on the military operation in the Crimea. Existing study about Hybrid warfare is to analyze the ambiguity which is revealed by using multiple means of warfare such as conventional troops, unconventional unit, terrorist and the criminal groups from the view of the international politics or international law.
      But it is needed to assess ways about simultaneousness and fusion of war organization which is creating synchronization in the war. In order to study this military aspects,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gress of military operation by the time and space. After analysis, it is possible to get some practical lessons.
      In this case-study, I will apply four phase of the operation in the Crimea. "shaping→seizure of the key area→fait accompli→ending/stabilizing" Each phase is related to each other closely from the concept of the Hybrid Warfare. Also, this article will help developing strategy or tactics based on the military asp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한승, "하이브리드 전쟁양상과 북한 급변사태" 한국국방연구원 28 (28): 9-39, 2012

      2 송승종, "하이브리드 전쟁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125-165, 2016

      3 박일송,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 : 새로운 전쟁 양상?" 화랑대연구소 71 (71): 1-32, 2015

      4 우평균, "유라시아 분쟁에서의 러시아의 개입: 조지아 전쟁과 우크라이나 사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73-97, 2014

      5 박영택, "북한의 하이브리드戰 실행 가능성과 전개 양상" 한국국방연구원 27 (27): 95-121, 2012

      6 김경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 -우크라이나사태를 중심으로-"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4 : 63-96, 2018

      7 육군군사연구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개입" 국군인쇄창 2015

      8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은 ‘하이브리드 전쟁’"

      9 송승종, "러시아 하이브리드 전쟁의 이론과 실제" 화랑대연구소 73 (73): 63-94, 2017

      10 Christopher S. Chivvis, "Understanding Russian “Hybrid Warfare”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RAND Corporation 2017

      1 조한승, "하이브리드 전쟁양상과 북한 급변사태" 한국국방연구원 28 (28): 9-39, 2012

      2 송승종, "하이브리드 전쟁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125-165, 2016

      3 박일송,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 : 새로운 전쟁 양상?" 화랑대연구소 71 (71): 1-32, 2015

      4 우평균, "유라시아 분쟁에서의 러시아의 개입: 조지아 전쟁과 우크라이나 사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73-97, 2014

      5 박영택, "북한의 하이브리드戰 실행 가능성과 전개 양상" 한국국방연구원 27 (27): 95-121, 2012

      6 김경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 -우크라이나사태를 중심으로-"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4 : 63-96, 2018

      7 육군군사연구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개입" 국군인쇄창 2015

      8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은 ‘하이브리드 전쟁’"

      9 송승종, "러시아 하이브리드 전쟁의 이론과 실제" 화랑대연구소 73 (73): 63-94, 2017

      10 Christopher S. Chivvis, "Understanding Russian “Hybrid Warfare”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RAND Corporation 2017

      11 Patrick, J. Cullen, "Understanding Hybrid Warfare, Multin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Campaign" 2017

      12 Howard Amos, "Ukraine : Sevastopol Installs Pro-Russian Mayor as Separatism Fears Grow"

      13 Vincent L. Morelli, "Ukraine : Current Issues and U.S. Policy, Congressional Reserach Service"

      14 Andrew Monaghan, "The ‘War’ in Russia`s ‘Hybrid Warfare’" U.S. Army War College Press 2016

      15 Frank Hoffman, "The Contemporary Spectrum of Conflict : Protracted, Gray Zone, Ambigious, and Hybrid Modes of War" Index of US Military Strength. The Heritage Foundation 2015

      16 Andres Racz, "Russia`s Hybrid War in Ukraine : Breaking the Enemy`s Ability to Resist" Finnish Institue of International Affairs 2015

      17 Bettina Renz. Hanna, "Russia and Hybrid Warfare-going beyond the label" Aleksanteri Papers 2016

      18 "Russia Ups the Ante in Crimea by Sending in the ‘Night Wolves’"

      19 "Russia Stages a Coup in Crimea"

      20 "RPT-INSIGHT-How the separatists delivered Crimea to Moscow"

      21 "Putin was ready to put nuclear weapons on alery in Crimea crisis"

      22 "Over a dozen towns held by pro-Russian rebels in east Ukraine"

      23 Antulio J. Echevarria, "Operating in the gray zone : An alternavive paridigm for U.S. military strategy" U.S. Army War College Press 2016

      24 "National Security Strategy"

      25 "National Denfense Strategy"

      26 "Multi-Domain Battle :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27 Frans-Paul van Putten, "Minke Meijnders. Sico van der Meer and Tony van der Togt, Hybrid Conflict : The Roles of Russia, North Korea and China, Dutch National Network of Safety and Security Analysts" 2018

      28 "Meet the Night Wolves–Putin’s Hell’s Angels"

      29 Michael J. Mazarr, "Mastering The Gray Zone : Understanding A hanging Era of Conflict" Army War College Press 2015

      30 Michael Kofman, "Lessons from Russia`s Operations in Crimea and Eastern Ukraine" RAND Corporation 2017

      31 Andrew Radin, "Hybrid Warfare in the Baltics : Threat and Potential Responses" RAND Corporation 2017

      32 Shane Harriss, "Hacks Attack" 2014

      33 "Gunmen Seize Government Building in Crimea"

      34 Charles K. Bartles, "Getting Gerasimov Right" 2016

      35 John Chambers, "Countering Gray-Zone Hybrid Threats, Modern War Institue At West Point"

      36 Bettina Renz, "Contemporary Politics" Routledge Taylor & Group 2017

      37 David Maxwell, "Congress Has Embraced Unconventional Warfare :will “the US Military and The Reet of the US Government?" 2015

      38 Frank Hoffman,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 The Rise of Hybrid Wars"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

      39 Howard, Colby, "Brothers armed: military aspects of the crisis in Ukraine" East View Press 2014

      40 "Archrival Is Freed as Ukraine Leader Flees"

      41 "ADP 3-0 Unified Land Oper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