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지역 고대정치체의 형성기반과 달성토성의 위상 -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 = Formation Foundation of Ancient Politics and Stature of Dalseong earthen ramparts in Daegu Area - Centered on archaeological material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2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구지역에 처음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시기는 월성동 777-2유적에서 좀돌날 석기를 포함한 석기 제작장이 조사된 바 있어 늦어도 후기 구석기시대 전후로 보인다. 그 이후 신석기, 청동기, ...

      대구지역에 처음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시기는 월성동 777-2유적에서 좀돌날 석기를 포함한 석기 제작장이 조사된 바 있어 늦어도 후기 구석기시대 전후로 보인다. 그 이후 신석기, 청동기, 원삼국 시대를 지나면서 하천과 구릉지를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었고, 인구의 증가와 농경이 발달하여 고대 정치체가 형성되게 되었다. ‘대구분지’는 주변 산지의 여러 골짜기에서 발원한 금호강과 대구의 중심을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는 신천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금호강과 신천, 팔거천, 진천천 주변의 충적지와 그 주변으로 발달한 낮은 구릉지를 포괄하는 범위이다.
      한반도 남부지역은 기원전 2세기말이 되면서 고조선 혹은 낙랑지역 주민들의 유이민 파동에 의해 발달된 중국 한(漢)의 철기문화가 급속히 전파되고, 농경을 비롯한 철기제작기술의 발달로 여러 세력사이에 정복과 통합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었다. 철기문화와 함께 무문토기가 주류이던 토기도 와질토기라는 새로운 토기가 등장하여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였다. 그리고 이즈음에 묘제도 지석묘와 석관묘에서 목관묘라는 새로운 묘제로 변화한다. 이 목관묘는 구릉의 중심지에 집중화 되고 한국형동검과 철제무기 및 무엇보다 중요한 철제 농공구 등이 대량으로 부장되는 등 고대 정치체 형성의 기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삼국지』 등이 보여주는 진변한 소국의 형성 징후를 그대로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국가 형성의 징후는 기원전 1세기 전반의 대구 팔달동 유적에서 잘 나타나고, 만촌동과 평리동 등에서도 이시기의 청동제품과 철기들이 출토된바 있어 금호강 유역의 대구지역이 다른 지역 보다 빠른 시기에 소국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대구지역에는 다벌국(多伐國), 혹은 달벌국(達伐國)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이름들은 대구의 고총고분군 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대구지역에서 이러한 소국이 존재했던 곳은 대구 중부의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지구와 화원지구, 다사지구, 팔달동지구, 불로동지구 등이다, 여기에는 달성토성을 비롯하여 화원의 성산토성, 죽곡리 산성, 봉무동토성, 검단토성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소국 중에서 중심은 달성토성이 있는 다벌국 혹은 달벌국이었다. 또 이때의 묘제는 이전까지 목관묘가 주류였으나 점차 정치권력이 확대 되면서 고총고분군으로 이어진다. 대구지역의 주요 고총고분군은 내당 동·비산동고분군, 대명동고분군, 성산리고분군, 문산리고분군, 구암동고분군, 불로동고분군 등이다.
      달성토성은 대구분지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토성이나 점토다짐의 중간에 석축을 교차로 쌓아올린 토석 혼축성이다. 삼국통일 후 신라는 신문왕 9년(689)에 오늘날의 대구광역시 중심부인 달구벌로 수도를 옮기려 하였다. 비록 실행하지는 못하였지만, 아마도 달성토성은 새 수도 궁성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였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time people started living in Daegu seems to be around late Late Paleolithic.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toneworks, including Jomdolnal seoggi, were found in the 777-2 ruins of Wolsung-dong. Since then, villages have been formed around...

      The first time people started living in Daegu seems to be around late Late Paleolithic.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toneworks, including Jomdolnal seoggi, were found in the 777-2 ruins of Wolsung-dong. Since then, villages have been formed around the rivers and hills, passing through the Neolithic, Bronze Age, and the Third World. As a result, population growth and agriculture developed and ancient politics were formed. ‘The Daegu Basin’ covers the alluvial areas around Kumho River, Shincheon, Palgcheon and Jincheon, and the low hills developed around them.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ron culture of Han, which was developed by the migrants of Choson or Nakrang area, spread rapidly in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development of iron and steel making technology, including agriculture, led to the active conquest and integration among the various forces. In addition to iron culture, the earthenware culture changed from Mumuntogi to Wajiltogi. At this time, the mausoleum changes from a stone coffin grave to a wooden coffin. This wood carvings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hill and show the foundation of the formation of ancient politics such as Korean sword and iron weapons, and most important iron farming tools.
      The signs of the formation of the early state appeared well in the Paldal-dong area of ​​Daegu in the first half of 1st century BC. And the bronze products and iron ware were excavated at Munchong-dong and Pyeongri-dong in the same period. It is known that Daegu was a Dabeol country or a Dalbeol country, which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ombs in Daegu.
      In Daegu area, these small areas were Namdang-dong, Vishan-dond, Pyeongry-dong and Hwawon Area, Dasa Area, Paldal-dong, and Bulro-dong. There are the earthen ramparts such as Sungsan, Seongsan, Jiokgok, Bongmudong, Geomdan.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tried to move the capital to the Dalgubel, the center of Daegu Metropolitan City(689). Perhaps Dalseong earthen ramparts, although it could not, was probably the most likely candidate for the new capital 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대구박물관, "압독 사람들의 삶과 죽음" 2000

      2 "삼국사기"

      3 김권구, "대구지역의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사회구조와 위계형성" 2016

      4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대구낙동가람수변역사누림길조성사업부지내유적 발(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

      5 李熙濬, "대구 지역 古代 政治體의 형성과 변천" 26 : 2000

      6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죽곡 한신 休 플러스 공동주택부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5

      7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비산동(406-9번지) 커뮤니티센터 건립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8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연구소, "대구 달성토성 정비복원 기본계획" 2009

      9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달성 정비․활용 시범사업부지 내 유적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6

      10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달성 공영주차장 조성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 국립대구박물관, "압독 사람들의 삶과 죽음" 2000

      2 "삼국사기"

      3 김권구, "대구지역의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사회구조와 위계형성" 2016

      4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대구낙동가람수변역사누림길조성사업부지내유적 발(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

      5 李熙濬, "대구 지역 古代 政治體의 형성과 변천" 26 : 2000

      6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죽곡 한신 休 플러스 공동주택부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5

      7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비산동(406-9번지) 커뮤니티센터 건립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8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연구소, "대구 달성토성 정비복원 기본계획" 2009

      9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달성 정비․활용 시범사업부지 내 유적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6

      10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달성 공영주차장 조성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1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구암동고분군 1호분 발굴성과 보고회"

      12 이청규, "금호강유역 초기사회의 형성" 학연문화사 2015

      13 이청규, "금호강과 길(특별전도록)" 국립대구박물관 2018

      14 김세기, "고분자료로 본 삼국시대 성주지역의 정치적 성격" 신라문화연구소 43 (43): 1-28, 2014

      15 李 熙 濬,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34) : 2004

      16 金宅圭, "鳩岩洞古墳發掘調査報告書" 嶺南大學校博物館 1978

      17 尹容鎭, "韓國靑銅器文化硏究 -大邱 坪里洞 出土 一括遺物 檢討-" 10-11 : 1981

      18 金元龍, "韓國考古學槪說" 一志社 1986

      19 曺華龍, "第一篇 第3章 地形" 1 : 1995

      20 咸舜燮, "碩晤尹容鎭敎授停年記念論叢" 경북대 1996

      21 朝鮮總督府, "昭和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1940

      22 김용성, "新羅의 高塚과 地域集團 –大邱․慶山의 一例-" 춘추각 1998

      23 朱甫暾, "新羅國家形成期 大邱社會의 動向" 8 : 1996

      24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林堂洞遺蹟 Ⅰ" 1999

      25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林堂地域古墳群 Ⅰ" 1991

      26 金龍星, "慶山․大邱地域 三國時代 古墳 階層化와 地域集團" 6 : 1989

      27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慶山 林堂遺蹟 Ⅰ~Ⅵ" 1998

      28 朴普鉉, "威勢品으로 본 古新羅社會의 構造" 慶北大學校 1995

      29 尹容鎭, "大邱의 初期國家 形成過程 –考古學的 資料를 중심으로-" 경북대 1974

      30 尹容鎭, "大邱의 先史文化-先史,古代-" 慶北大學校博物館 1990

      31 尹容鎭, "大邱達城 城壁調査" 9 (9): 1968

      32 大邱市史編纂委員會, "大邱市史 第一卷(通史)"

      33 尹容鎭, "大邱市 晩村洞 出土의 靑銅遺物" 7 (7): 1966

      34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八達洞遺蹟 Ⅰ" 2000

      35 尹容鎭, "大邱伏賢洞古墳群Ⅰ" 慶北大學校博物館 1989

      36 咸舜燮, "大邱 飛山洞37號墳 2石室 出土 冠" 4 : 1995

      37 國立大邱博物館, "大邱 達城遺蹟 Ⅰ-達城 調査報告書-" 2014

      38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西邊洞聚落遺蹟" 2002

      39 慶北大學校博物館, "大邱 花園 城山里1號墳" 2003

      40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大邱 汶山淨水場建設敷地 內 達城 汶山里古墳群Ⅰ地區-大形封土墳 1~4號-" 2004

      41 國立大邱博物館, "大邱 斗山洞古墳 發掘調査報告書" 1999

      42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大邱 不老洞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91․93號墳-" 2004

      43 國立大邱博物館, "大邱 上洞支石墓 發掘調査 報告書" 2000

      44 주보돈, "三韓時代의 大邱" 1 :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