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에 관한 연구 :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erience in Hiring Released Prisoners - based on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3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출소자 신분을 알고도 직원으로 고용하여 생활지도를 하며 사업장을 경영한 고용주의 경험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경험에 대하여 탐구...

      본 연구는 출소자 신분을 알고도 직원으로 고용하여 생활지도를 하며 사업장을 경영한 고용주의 경험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경험에 대하여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정 복지적 관점에서 출소자의 고용에 대한 인식변화 및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실천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질문으로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경험은 어떠한가?”를 상정하였다. 연구자는 밴 매넌의 네 가지 실존체를 준거로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 경험을 분석한 결과 본질적 주제(4개), 체험분류(12개), 체험내용(30개)을 도출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 가지 실존체를 통하여 드러난 체험적 신체(어색함과 불안함 교차, 받아들임, 강인함으로 포장)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 기회’를, 체험적 타자(특별한 당신, 차별이 아닌 차이, 협력적 동반자)에서 ‘내가 아닌 또다른 주체’를, 체험적 공간(제도적 공간, 무질서, 공동생활 구역)에서 ‘지평의 변화’를, 체험적 시간(깨달음과 기다림, 인고의 시간, 준비 없는 이별)에서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호의’라는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질문으로 상정하였던 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출소자 고용’은 고용주가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였지만 또 다른 기회의 선택이며, 미묘한 갈등, 무질서, 어색함, 불안, 준비 없는 이별 등 이색적 경험이었다. 고용주는 그런 과정을 통하여 출소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부 제도를 알고 활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출소자 직원들의 차이를 인정하고 협력적 동행으로 변화된 환경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해 ‘기다림’과 ‘인고의 시간’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employers who guided their lives by employing them as employees and managed the workplace even when they recognized the status of released pris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mpl...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employers who guided their lives by employing them as employees and managed the workplace even when they recognized the status of released pris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mployers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and based on this,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of released prisoners and their practical meanings in terms of correctional social welfare. And based on interviews as to th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and guidance experiences of the employers who know the status of released prisoners and employ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orrection (矯正) 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at they perceive.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proposed a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xperience of an employer employing a released priso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analyzing experiences of employers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based on Van Mannan s four entities, the researcher derived essential subjects (4), experience classifications (12), and experience contents (30). With a more specific investigation, the essential subjects derived in this study are ‘a opportunity to challenge new things’ from experiential bodies (crossing awkwardness and anxiety, acceptance, packing with strength), revealed through four entities, ‘other subjects not me’ from experiential others (special you, difference other than discrimination, cooperative companions), ‘a change in horizon’ from experiential spaces (institutional spaces, chaos, shared living zones), and ‘a favor for things unfamiliar from experiential time (enlightenment and waiting, time of endurance, parting without prepa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hiring released prisoners, which was suggested as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eleased prisoner employment’ was also part of the employer s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ity, but it was another choice of opportunity, and exotic experiences such as subtle conflict, chaos, awkwardness, anxiety, and unprepared parting. Through this process, employers were made aware of and utilized various schemes related to released prisoners,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s among employees. And to fully accept the changed environment through cooperative walks, they came to realize that ‘waiting’ and ‘time of endurance’ we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과정 Ⅳ. 연구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과정 Ⅳ. 연구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홈페이지"

      2 황지영, "템플스테이 체험과 관광 진정성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van Manen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3 오봉욱,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_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2016

      4 한국경제, "출소한 흉악범 격리 수용하자는 법 재점화"

      5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9 (9): 145-174, 2015

      6 조희원, "출소자의 취업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 2013

      7 박광원, "출소자의 직업적 재사회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19

      8 김정호, "출소자의 고용창출형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9 (9): 127-157, 2015

      9 뉴스타임, "출소자에 새로운 인생 2막을 여는 사회적 협동조합"

      10 민원홍, "출소자를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47) : 1-19, 2017

      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홈페이지"

      2 황지영, "템플스테이 체험과 관광 진정성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van Manen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3 오봉욱,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_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2016

      4 한국경제, "출소한 흉악범 격리 수용하자는 법 재점화"

      5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9 (9): 145-174, 2015

      6 조희원, "출소자의 취업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 2013

      7 박광원, "출소자의 직업적 재사회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19

      8 김정호, "출소자의 고용창출형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9 (9): 127-157, 2015

      9 뉴스타임, "출소자에 새로운 인생 2막을 여는 사회적 협동조합"

      10 민원홍, "출소자를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47) : 1-19, 2017

      11 남재성, "출소자들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와 자립지원을 위한 Micro-Credit의 활성화 방안" 한국교정학회 40 : 55-81, 2008

      12 이은경, "출소자 취업지원관의 경험에 대한 연구: 취업지원 업무, 출소자의 취업과 취업유지" 한국상담학회 17 (17): 477-502, 2016

      13 Van Manen, M, "체험 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현문사 2000

      14 Van Manen, M, "체험 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15 차민규, "지역사회요인에 대한 인식처지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위험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9

      16 공정원, "조선족 돌봄종사자의 노인돌봄체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7 이윤호, "전과자들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경험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3 (13): 2007

      18 형사정책연구원, "재범방지를 위한 교정 보호의 선진화방안연구(Ⅰ): 출소자 주거 및 취업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 설립, 육성방안" 2012

      19 연성진, "재범 방지를 위한 교정보호의 선진화 방안 연구(1) - 출소자 주거 및 취업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설립, 육성방안" 형사정책연구원 2012

      20 임종린, "자살시도를 경험한 여성독거노인의 회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2018

      21 이지열, "시설보호청소년의 미술치료 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18

      22 박경철,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리더스북 2011

      23 김선영, "시간을 파는 상점" 자음과 모음 2012

      24 임봉기, "수용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25 이계선, "수용자 직업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Gilbert와 Specht의 산출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6 오재돌, "수용자 직업훈련과 출소자 취업연계에 관한 소고" 아시아교정포럼 4 (4): 23-34, 2010

      27 김혜미, "사회적응을 위한 출소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28 김봉수, "비행청소년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 교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29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보호대상자용 사회적응 예측지표 개발 연구용역보고서"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2019

      30 파이낸셜 뉴스, "보복범죄 우려... 신변보호조치 1년새 4.5배 급증"

      31 법제처, "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32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2018" 2019

      33 정승민, "범죄두려움에서 지역특성과 경찰활동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43-74, 2007

      34 박지영, "노인 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5 한국일보, "기회의 신 카이로스"

      36 김진영, "교정제도의 개선과 민간참여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37 조희원, "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60) : 149-204, 2019

      38 천정환, "교도소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교정적 의의" 한국교정학회 48 : 193-225, 2010

      39 윤혜진, "관광경험의 상징적 상호작용 현상 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40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공단 합동결혼지원 대상자 가족들의 현항 및 실태조사"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2018

      4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공단 가족지원사업(수형자 가족지원)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검토" 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019

      42 "경찰청 홈페이지"

      43 최윤필, "겹겹의 공간들" 을유문화사 2014

      44 조희원, "갱생보호시설 생활관 입소 출소자를 위한 해결중심 단기치료 사례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141-170, 2015

      45 Van Manen, M, "Transitions from prison to community : Understanding individual pathways" 29 : 89-113, 1994

      46 Baron, S., "Social capital: Critical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7 Boek, T., "Social capital, resilience, and desistance: The ability to be a risk navigator" 6 : 5-20, 2008

      48 Van Manen, M, "Qualitatative Heath Research: an International" 7 (7): 345-369, 1997

      49 Squires, G. D., "Privileged Places : Race, Uneven Development and the Geography of Opportunity in Urban America" 42 (42): 47-68, 2005

      50 Kruttschnitt, C., "Predictors of desisance among sex offenders : The interaction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controls" 17 (17): 61-87, 2000

      51 네이버 블로그, "Opportunity와 Chance의 차이"

      52 Shaw, C.,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2

      53 Claire V., "Foreigners, Crime and Changing Mobilities" 43 : 1-21, 2003

      54 Visher, A., "Ex-offender employment programs and recidivism : A meta-analysis" 1 : 295-31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