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헤어리베치 유래 Rhizobium의 분리 및 선발 = Screening of Rhizobium, Hairy Vetch Root Nodule Bacteria, with Promotion of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47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로부터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Rhizobium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일곱 군데 헤어리베치 재배 지역에서 수집 후 뿌리혹으로부터 균주를 분...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로부터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Rhizobium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일곱 군데 헤어리베치 재배 지역에서 수집 후 뿌리혹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헤어리베치에 분리 균주를 재접종하여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2개의 Rhizobium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중 0.5% NaCl 농도 이상에서 자라는 Rhizobium은 16균주이었다. 뿌리혹 형성능은 16개 균주 중 Rhizobium sp. RH1, RH3, RH81, RH82, RH84, RH93의 균주를 접종한 시험구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질소 고정능을 확인한 결과 Rhizobium sp. RH84가 가장 높은 acetylene reduction activity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염의 분포가 불균일한 간척지에 적용 시에도 헤어리베치의 생육을 촉진해 녹비 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hizobia from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ith nodulation and excellent nitrogen-fixing ability. Hairy vetch root was collected from 7 of cultivation region of all over the country, rhizobia were isolated from 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hizobia from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ith nodulation and excellent nitrogen-fixing ability. Hairy vetch root was collected from 7 of cultivation region of all over the country, rhizobia were isolated from the root nodules. Isolates were re-inoculated into a hairy vetch separately and studied nodulation and nitrogen-fixing ability. As a result, total of 52 Rhizobium isolates were isolated from the hairy vetch root nodules, among these, 16 isolates were Rhizobium which show good growth at more than 0.5% NaCl concentration. These 16 isolates were re-inoculated separately, 8 weeks after, good root nodule formation was observed from Rhizobium sp. RH1, RH3, RH81, RH82, RH84, and RH93 strain treated samples. Six isolates were positive for nitrogen fixing ability, the highest acetylene reduction activity was shown by Rhizobium sp. RH84. Results suggest that the Rhizobium sp. RH84 could be used as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as a green manure crop of hairy vetches in nonuniform salt distribution reclaimed 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경호,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파 및 혼파가 ‘신고’배의 양분공급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4 (24): 70-75, 2012

      2 구자환, "헤어리베치 수확 시기에 따른 종자 수량, 발아율 및 경실종자 비율 변화 양상"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2 (32): 157-164, 2012

      3 김성진, "파종시기가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품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59-69, 2007

      4 신정남, "자생 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3 (23): 223-228, 2003

      5 양창휴, "수수×수단그라스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새만금간척지 토양환경 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744-748, 2012

      6 전원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가 벼 생육 및 관개량 절약에 미치는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181-186, 2011

      7 류종원,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성" 한국유기농업학회 16 (16): 409-420, 2008

      8 Goar, G. L., "Vetches and related crops for forage. U. C. Coop. Ext. Berkeley"

      9 Walton, G., "Vetches"

      10 "The role of O2-limitation in control of nitrogenase in continuous cultures of Rhizobium sp" 73 : 524-531, 1976

      1 임경호,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파 및 혼파가 ‘신고’배의 양분공급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4 (24): 70-75, 2012

      2 구자환, "헤어리베치 수확 시기에 따른 종자 수량, 발아율 및 경실종자 비율 변화 양상"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2 (32): 157-164, 2012

      3 김성진, "파종시기가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품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59-69, 2007

      4 신정남, "자생 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3 (23): 223-228, 2003

      5 양창휴, "수수×수단그라스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새만금간척지 토양환경 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744-748, 2012

      6 전원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가 벼 생육 및 관개량 절약에 미치는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181-186, 2011

      7 류종원,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성" 한국유기농업학회 16 (16): 409-420, 2008

      8 Goar, G. L., "Vetches and related crops for forage. U. C. Coop. Ext. Berkeley"

      9 Walton, G., "Vetches"

      10 "The role of O2-limitation in control of nitrogenase in continuous cultures of Rhizobium sp" 73 : 524-531, 1976

      11 Ott, T., "Symbiotic leghemoglobins are crucial for nitrogen fixation on legume root nodules but not for general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15 : 531-535, 2005

      12 Seo, J.H., "Study on no-tillage silage corn production with legume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cover" 18 : 43-48, 1998

      13 Kim, J. G.,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duced vetch cultivar" 24 : 177-182, 2004

      14 Long, S. R, "Rhizobium symbiosis: nod factors in perspective" 8 : 1885-1898, 1996

      15 Gharzouli, R., "Relevance of Fucose-rich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Rhizobium sullae strains nodulating Hedysarum coronarium L. legumes" 79 : 1764-1776, 2013

      16 Dazzo, F.B., "Presence of trifoliin A, a rhizobium trifolii binding lectin, in clover root exudate" 16 : 133-138, 1981

      17 Mayfield, A., "Namoi woolly pod vetch dynamic spring pasture" Kondinin Group 1999

      18 Mueller, T., "N-fixation of selected green manure plants in an organic crop rotation" 18 : 345-363, 2001

      19 Elas, J. D. V., "Modern soil microbiology" Marcel Dekker INC. 1997

      20 Alexander, M., "Introduction to soil microbiology" Krieger Pub Co 1991

      21 Bull, B., "Growing vetch bold images" 1992

      22 Provorov, N.A, "Genetic resources for improving nitrogen fixation in legume-rhizobia symbiosis" 50 : 89-99, 2003

      23 Shin, C. N.,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native vetch" 20 : 251-258, 2000

      24 Stewart, B. A., "Advances in soil sciences, In Legume winter cover crops, Vol. 7" Springer-Verlag 95-139,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48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