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근·현대사』교과서 비교 분석 : 금성출판사 「한국 근·현대사」와 기파랑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1436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2010.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90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65 L. : 삽화,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58-62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is an intense dispute about the high school modern history textbook. The core issue of the dispute is that the high school modern history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seriously towards ‘leftism’. Especially, in the ca...

      Recently, there is an intense dispute about the high school modern history textbook. The core issue of the dispute is that the high school modern history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seriously towards ‘leftism’. Especially, in the case of Kumsung publishing company’s textbook which is the mostly selected textbook in high schools, an issue that it has serious ‘bias’ and ‘distortion’ aroused. And for such alternative, a group called Textbook Forum published an alternative textbook, but the textbook is criticized for failing to contain proper perception of history, and also for having contents pertinent to the struggle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study, the core issue of the modern history textbook dispute will be reviewed to suggest directions for history education.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Kumsung’s textbook contains the content pursu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developing students with thinking ability, creativity, and the ability to explore. On the contrary, the alternative textbook shows unsubtle editing. Kumsung’s textbook used the chapter structure exactly a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 textbook contained free chapter structure because it is not an authorized textbook. Kumsung’s textbook focused more on describing the period before Korea’s liberation, and the alternative textbook allocated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in describing th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and economical areas, which is a shift towards proper direction pursuing diversity.
      Kumsung’s textbook did not mention about Korea’s authenticity, and also, it showed an aspect of underestimating Korea’s foundation as a mere incident which certain force, which supported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independent government, came to seize power. On the contrary, the alternative textbook criticized the previous textbooks’ negligence in Korea’s foundation, and described the historical meaning of Korea’s foundation with weight. In addition, regarding the description about the Korean War, Kumsung’s textbook simply depicted the damage of the ethnic tragedy and war in a small amount, and also,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beginning of war, it contained revisionist view. The alternative textbook introduced the dispute of authenticity theory and modified theory, and based on published documents, it described the process of North Korean’s invasion in detail. In addition, it clearly describes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Kumsung’s textbook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focusing on the movements for democratization, and showed dichotomous view of Korea’s modern history, describing it as the conflict between dictatorship and the struggle for democratization. On the contrary, the alternative textbook took a mor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view the positive aspects of Korea’s modern history.
      Regarding North Korea, Kumsung’s textbook included North Korea’s history in modern history, but the alternative textbook arranged it as the main subject. While Kumsung’s textbook ignored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Korea and Korea’s system in the name of unification oriented description, the alternative textbook defined North Korea as a totalitarian system and mainly described about the reality of North Korea. On the contrary, there being no description about unification is a problem, and a clear view about unification should be included.
      Historical view formed during adolescent period influences individual values greatly. Therefore, his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come to have important meaning. In such aspect, the alternative textbook published to search alternatives for history education would be a meaningful event. I hope that the alternative textbook contributes to the diversity of hist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가 아주 심각하게 ‘좌편향’되어 있다는 문제제기�...

      최근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가 아주 심각하게 ‘좌편향’되어 있다는 문제제기였다. 특히 가장 많은 고등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금성교과서의 경우 ‘편향’과 ‘왜곡’이 심각하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과서포럼이란 단체에서 대안교과서를 출판하였는데 이 교과서는 제대로 된 역사 인식을 담지 못하고 있고, 정치적인 이념 투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처지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사 교과서 논쟁의 핵심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역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두 교과서의 본문 구성 체계에 있어 금성교과서는 학생의 사고력, 창의력, 탐구력을 기를 수 있도록 만들어져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대안 교과서는 교과서 편술체제에 있어 아직 미숙함을 보였다. 금성교과서는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단원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고 대안교과서는 검정교과서가 아니므로 단원 구성이 자율적이었다. 금성교과서는 해방 이전 시기에 대한 서술 비중이 높았으며 대안교과서는 해방 이후 시기와 경제 영역 서술에 상당한 지면을 할애했다. 이것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전환이다.
      금성교과서는 대한민국 정통성에 관한 언급이 없었으며 대한민국 건국에 있어서도 미군정과 단정을 지지한 특정 세력이 집권한 사건 정도로 평가 절하하는 측면이 있었다. 반면 대안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가 대한민국 건국에 대해 소홀했던 점을 비판하며 대한민국 성립의 역사적 의의를 비중 있게 서술했다. 6·25전쟁에 관한 서술 또한 금성교과서가 단순히 민족상잔의 비극과 전쟁의 피해만 부각시키고 그마저도 아주 적은 양을 서술했고 전쟁의 발발 원인에 대해서도 수정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대안교과서는 정통설과 수정설의 논쟁을 소개하고 최근 공개된 문서들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북한의 남침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6·25전쟁의 의의에 대해 명확하게 서술하고 있다.
      금성교과서는 민주주의 발전과정을 서술함에 있어 민주화 운동사에 집중되어 있고 우리 현대사가 독재와 그에 대항하는 민주화 항쟁이라는 이분법적 서술을 하고 있다. 반면 대안교과서는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을 하여 우리 현대사의 긍정적인 측면을 함께 보려했다.
      북한사 서술에 있어서 금성교과서는 현대사 내에 북한사를 포함시킨 반면 대안교과서는 보론으로 처리했다. 금성교과서가 통일 지향적 서술이라는 미명하에 북한의 실상과 북한과 우리 체제의 차이점을 외면한 데 반해 대안교과서는 북한을 전체주의 체제로 규정하고 북한의 실상에 대한 서술을 주로 하였다. 반면 통일 관련 부분 서술이 없는 것은 문제이고 통일에 대한 분명한 시각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역사관은 개개인의 가치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의 역사 교육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런 면에서 역사 교육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발간된 대안교과서는 의미 있는 사건이다. 대안교과서가 역사 교육의 다양성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Ⅱ. 편술체제 비교 = 7
      • 1. 단원 개관과 연표, 사진 자료 = 8
      • 2. 본문 구성 = 11
      • Ⅲ. 단원 구성 비교 = 19
      • I. 서론 = 1
      • Ⅱ. 편술체제 비교 = 7
      • 1. 단원 개관과 연표, 사진 자료 = 8
      • 2. 본문 구성 = 11
      • Ⅲ. 단원 구성 비교 = 19
      • 1. 단원 구성 분석 = 19
      • 2. 서술 비중 분석 = 24
      • Ⅳ.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까지 서술 내용 분석 = 28
      • 1.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 = 28
      • 2. 625 전쟁 = 33
      • Ⅴ. 625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서술 내용 분석 = 42
      • 1. 민주주의 발전과정 = 42
      • 2. 분단 이후 북한사 = 49
      • Ⅵ. 결론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